그는 자신을 껴안으려 강원도 고성에 왔다.
호수 송지호에서 500m쯤 가면 나오는 왕곡마을엔 150여 년 된 전통가옥 50여 가구가 있다. 한국에서 유일하게 북방식 전통가옥이 모인 곳이다. 이 중 마당에 접시꽃 흐드러진 방 두 개짜리 한옥이 ‘화인당’ 게스트하우스다. ‘곡식을 나눠 먹는 사이 좋은 인연으로 가득한 곳.’ 김다인(40)씨가 외할머니 집에 붙인 이름이다.
“접시꽃에 벌이 들어가면 할머니가 꽃잎을 딱 모아 묶어요. 제가 그걸 빙빙 돌리며 놀았어요. 벌이 앵앵거리다 약간 기절하면 놔주고요. 그렇게 재밌었는데 지금 보니 곤충 학대네요.” 설탕에 재워놓은 딸기의 맛, 고향의 전설을 들려주던 할머니 목소리, 떠나는 그의 뒷모습을 하염없이 바라보던 할머니 얼굴…. 농사일로 부모님은 바빴다. 이 작은 한옥에 다인씨의 그 모든 어린 시절 기억이 스몄다. 1999년 할머니가 숨지고 이 집도 허물어져갔다. 이제 할머니가 좋아하던 접시꽃은 다인씨 정성에 만발하다.
다인씨와 부모님 모두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 ‘작은상나말집’ 둘째 딸과 ‘큰백촌집’ 둘째 아들이 결혼해 딸 넷을 낳았다. 막내인 그를 동네 사람들은 ‘갓난아기’의 방언인 ‘햇아’라 불렀다. 고등학교는 속초에서 자취하며 다닌 ‘햇아’는 더 멀리 떠나고 싶었다. “시골이, 한국이, 억압적인 분위기가 싫었어요. 외국에서 살고 싶었어요.” 서울에서 항공사 오퍼레이터, 영업, 마케팅 등을 맡아 10여 년 직장을 다닌 뒤 그는 외국계 기업에 취직해 그 꿈을 이뤘다. 체코 오스트라바에서 2년 살며 화물영업을 담당했다. “유일한 한국인이었고 동유럽 5개 나라를 맡았어요. 한 달에 보름 이상 출장을 다녔어요. 치열하게 살았어요. 한국을 떠나면 좋을 줄 알았는데 현타가 오더라고요. 여기 회사에도 이권 다툼, 정치적 알력이 소용돌이쳤어요.”
그때 그는 할머니 집 마당이 그리웠다. 본질적인 질문이 떠올랐다. ‘나는 왜 그렇게 떠나고 싶었나.’ “인정 욕구, 애정 결핍으로 점철된 인생이더라고요. 그 결핍을 채우려고 ‘안 되는 건 되게 하라’는 신념으로 저랑 안 맞는 직장에 꾸역꾸역 다녔고, 이민 가서 살고 싶다고 했던 거더라고요. 사회적 인정으로 저를 채우고 살아남으려고 발버둥 쳤던 거 같아요. 저 자신과 화해부터 시작해야 했어요. 저를 만들어준 곳, 제 어린 시절 힐링 공간으로 돌아가기로 했어요. 저를 지탱하는 힘의 원천으로요.”
2020년 그는 왕곡마을로 돌아왔다. 한옥은 사람을 닮았다. 온기가 끊기면 부스러진다. 사람 발길이 끊기면 풀은 무섭게 자란다. 할머니 집 흙벽은 무너지고 문짝은 휘었다. “우리 마을은 특별한 매력이 있는데 살리지 못하는 게 안타까웠어요. 어릴 때부터 언니들이랑 할머니 집에서 뭘 해보잔 얘긴 많이 했는데 엄두를 못 냈죠. 경제적 기회가 다 서울에 있으니까요.”
40일 동안 팝업 카페를 열어 수박주스와 옥수수를 팔았다. 천장에서 흙가루가 떨어졌지만, 손님 반응은 좋았다. 그는 혼자 리모델링을 시작했다. “부모님이 반대했어요. 동네에서 말 나온다고. 그래도 밀고 나갔죠. 저는 무모한 사람이니까요.”
1988년 왕곡마을이 전통건조물 보존지구로 선정돼 할머니 집도 1990년대 중반 ‘복원’됐다. 날림공사였다. 구들에 건축폐기물을 쑤셔 넣고 미장해버렸다. 연기가 나가는 통로인 고래나 기단 돌을 빼돌렸다. 기둥을 잘라내 전체적으로 집이 주저앉았다. “전통가옥은 불을 때 습기를 제거해야 하는데 기름보일러로는 안 돼요. 온돌이 집 전체를 보호했던 거예요.” 빼간 기단은 회수하지 못했고 구들은 결국 고칠 수 없었다.
“제가 ‘화인당’을 출산했습니다.” 마루에 놓인 키에 작은 풋사과들이 놓여 있다. 소반 위 화병엔 들꽃이 피었다. 화인당 로고까지 이 공간의 모든 구석구석이 바로 그다. 단열재를 넣고 핸디코트를 덧칠했다. 예닐곱 겹 벽지를 뜯어내니 일제강점기 교과서가 나왔다. 외양간을 화장실로 고치고 입식 부엌을 설치하는 덴 강원도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을 받았다. “천장 단열만 해도 서까래 모양에 따라 하나하나 잘라 붙여야 해요. 공정이 어마어마해요. 리모델링할 업체를 찾을 수 없었어요. 브랜딩 기획, 로고 디자인… 전부 다 제가 했어요. 그만두고 싶었던 적, 없었어요.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게 재밌어요. 제 창의력을 다 쏟아부었어요.”
바람과 햇볕을 들이고 정성을 들여 가꾸며 모든 한옥엔 각자의 표정이 돌아온다. 오랜만에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보고 많이 바뀌었다고 했다. “예전엔 다양한 사람들을 잘 받아들이지 못했어요. 싫고 좋은 게 분명했죠. 지금은 웬만하면 속상하지 않아요. 자신에게 더 집중하니 다른 사람에게 집착하지 않아요.”
화인당 마당엔 개양귀비, 끈끈이대나물, 고구마가 자란다. 길고양이들이 제집처럼 드러누웠다. 자기가 만든 화인당 면티에 ‘몸뻬’ 바지를 입고 그는 온종일 바쁘다. 아직 때때로 일하는 큰언니 아르바이트 임금 주기도 빠듯하다.
“역사를 담은 갤러리형 체험 스테이로 만들고 싶어요. 안방 안쪽 작은방은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공간, 옛날 곡식 창고였던 고방은 미니바로 꾸미고…. 옛 사진들로 이 공간의 변천사를 담고 싶어요. 한 개인, 마을, 지역의 성장소설 같은 공간으로 만들려고요. 외가는 그리움이잖아요. 언제나 날 환영해주는 곳, 어리광을 부리며 자신이어도 되는 뿌리요. 다른 사람들에게도 여기가 외가 같은 곳이 됐으면 좋겠어요. 예술가들은 결국 자기 얘기를 한다죠. 이 공간이 제 이야기입니다.”
그는 이 마당에서 자기처럼 아이들이 뛰놀며 ‘작은상나말집’ 이야기를 보태가길 바란다. 멀리 돌아온 그의 에스엔에스(SNS) 아이디는 ‘햇아’다.
글·사진 김소민 희망제작소 연구위원*X의 지역작당 : 경쟁이 아닌 연대, 개인이 존중받는 공동체, 자연을 해치지 않는 인간의 삶을 찾아 다 아는 길 대신 미지의 X를 택한 사람들. 4주마다 연재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내란대행’ 한덕수 석달 전 본심 인터뷰 “윤석열은 대인, 계엄령은 괴담”
“백령도 통째 날아갈 뻔…권력 지키려 목숨을 수단처럼 쓰다니”
새 해운대구청 터 팠더니 쏟아져 나온 이것…누구 소행인가?
한덕수, ‘200표 미만’ 탄핵안 가결땐 버틸 수도…국회, 권한쟁의 소송내야
한덕수의 궤변…대법·헌재 문제없다는데 “여야 합의 필요” 억지
헌재, 탄핵심판 일단 ‘6인 체제’ 출발…윤은 여전히 보이콧
국힘 김상욱·김예지·조경태·한지아, 헌법재판관 선출안 표결 참여
분노한 시민들 “헌법 재판관 임명 보류 한덕수 퇴진하라” 긴급 집회
‘오징어 게임2’ 시즌1과 비슷한 듯 다르다…관전 포인트는?
[단독] 문상호 “계엄요원 38명 명단 일방 통보받아 황당” 선발 관여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