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그릇이 숨을 쉬어야 음식도 숨을 쉬지요

4대째 120년간 가마솥 만들어온 경기 안성 주물장 김정훈씨 부자

1850℃ 이상 설설 끓는 쇳물에 숨을 불어넣는 장인의 고집과 열정
등록 2012-09-27 16:19 수정 2020-05-03 04:26
안성주물 직원들이 초대형 가마솥 틀에서 뚜껑을 분리해 나르고 있다. 아직 벌건 가마솥이 식어가고 있다.

안성주물 직원들이 초대형 가마솥 틀에서 뚜껑을 분리해 나르고 있다. 아직 벌건 가마솥이 식어가고 있다.

도심의 일상을 접고 노랗게 익어가는 들판에 서봅니다. 좀 늦은 오후인가 싶은데 벌써 해는 짧아져 산그늘이 길게 몸을 눕힙니다. 문득 옛 풍경이 그리워집니다. 저물녘이면 집집마다 밥 짓는 연기가 피어올라야 하는데 오늘의 농가는 굴뚝조차 사라졌습니다.

그 밥내 나는 풍경을 만들어내던 것이 가마솥과 아궁이였지요. 달이 차올라 한가위가 다가오면 가마솥은 들먹들먹 바빴습니다. 솔잎을 깔고 먹음직한 송편을 쪄냈으며, 막 캔 고구마를 삶아내던 것도 이맘때입니다. 마술처럼 콩 누룽지를 득득 긁어내던 곳도 가마솥이었지요.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그 자리를 전기밥솥이 차지해 가마솥은 추억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경기도 안성의 주물공장을 다녀왔습니다. 4대째 120년간 가마솥을 만들어온 곳의 주물장 김정훈(81·경기도 무형 문화재 45호)씨와 아들 성태(48)씨. “한번 사면 30년 이상 쓰기 때문에 단골이 없어요. 철기도 옹기와 같이 숨을 쉽니다. 그릇이 숨을 쉬어야 음식도 숨을 쉬며 깊은 맛을 내지요.” 철판 두께를 고르게 하는 것이 기술이라며 환하게 웃는 김성태 대표의 미소 속에는 1850℃ 이상 설설 끓는 쇳물의 고집과 열정이 고스란히 배어 있었습니다.

안성=사진·글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안성주물 직원이 작업이 끝난 가마솥 틀에 흑연을 바르고 있다. 흑연은 가마솥 틀에 쇳물이 붙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안성주물 직원이 작업이 끝난 가마솥 틀에 흑연을 바르고 있다. 흑연은 가마솥 틀에 쇳물이 붙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45호 주물장 김정훈(왼쪽)씨가 아들 성태(가운데)씨. 직원과 함께 신제품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45호 주물장 김정훈(왼쪽)씨가 아들 성태(가운데)씨. 직원과 함께 신제품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초대형 가마솥 틀에 쇳물을 붓고 있다. 대형 솥이어서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하지 않으면 실패한다.

초대형 가마솥 틀에 쇳물을 붓고 있다. 대형 솥이어서 여러 명이 함께 작업하지 않으면 실패한다.

어른 한 사람이 들어가도 될 만큼 큰 가마솥에서 직원이 주물사를 퍼내고 있다.

어른 한 사람이 들어가도 될 만큼 큰 가마솥에서 직원이 주물사를 퍼내고 있다.

가마솥 형틀이 곳곳에 자리한 안성주물 공장 내부.

가마솥 형틀이 곳곳에 자리한 안성주물 공장 내부.

가마솥 원료인 쇳덩이가 공장 한쪽에 쌓여 있다. 작업 중에 실패한 가마솥 뚜껑도 재활용 신세가 된다.

가마솥 원료인 쇳덩이가 공장 한쪽에 쌓여 있다. 작업 중에 실패한 가마솥 뚜껑도 재활용 신세가 된다.

주물장 김정훈씨의 조부 김대성씨의 1920년대 사진. 120년을 이어온 안성주물의 시조다.

주물장 김정훈씨의 조부 김대성씨의 1920년대 사진. 120년을 이어온 안성주물의 시조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