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사망하고 한 달, 부활할 수 있다

죽은 보험의 보험금 받는 법
등록 2013-12-05 15:09 수정 2020-05-03 04:27

12월이다. 어릴 때는 눈 내리기를 기다렸던 것만큼이나 크리스마스를 기다렸다. 그날 자체보다는 그즈음 느껴지는 온기와 즐거움 때문이었던 것 같다. 교회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은 부활절이 아니라 겨울 크리스마스시즌(?)에만 부활하셨다. 부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남을 뜻하는 명사다. 죽었던 보험계약도 부활된다. 그렇다, 보험계약도 죽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쉽게 죽는다. 대부분의 보험계약은 두 달만 보험료를 내지 않으면 죽는다. 다만 심한 방부제 처리를 하기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죽은 지 2년을 넘기지 않으면 다시 살릴 수 있다. 문제는 보험계약을 아직 부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보험가입자에게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한 푼의 보험금도 받을 수 없다는 사실이다. 당연하다. 죽어 있는 보험계약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보험계약의 죽음과 부활 사이에는 사람들이 모르는 놀라운 기적이 숨어 있다. 어떤 사람이 10월, 11월 두 달간 보험료를 못 냈다. 보험회사는 당연히 12월1일자로 해당 보험의 사망(해지)을 통지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보험가입자가 해지 한 달도 지나지 않은 12월15일쯤에 암진단을 받았다. 만약 보험계약이 살아 있었다면 수천만원의 보험금을 받았을 거라며 눈물을 흘린다. 정작 보험이 죽었을 때는 울지 않았으면서. 하지만 이제 눈물을 멈추시라. 죽은 보험으로도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보험료를 못 내서 보험이 사망한 달에(이게 중요하다!) 암을 포함한 질병 또는 사고가 발행했다면 재빨리 그달 안에 밀린 보험료를 납부해서 일단 보험계약을 부활시켜라. 부활 처리가 되고 나면 뻔뻔하게 보험금을 청구하라. 그러면 보험이 죽어 있을 때 발생했던 사건에 대해서도 보험금이 지급된다. 정말이다. 이 어찌 기적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한 보험회사에서만 이 기적이 발생하지 않는다. 스크루지 영감이 그 회사 대표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 회사만 약관에 들어 있는 보험회사의 의무를 제대로 지키기 때문이다(이 부분은 좀 복잡해서 나중에 따로 알려드리겠다).
아무튼 대부분의 보험계약은 죽은 그달 안에만 부활시키면 그사이에 발생한 사망을 제외한 모든 질병과 사고에 대해 보험금이 지급된다. 이 기간 중에 보험계약은 이미 사망 통지는 받았지만 실제로는 아직 숨이 붙어 있는 상태인 것이다. 이 놀라운 기적을 믿고 안 믿고는 당신의 자유다. 하지만 보험계약이 사망(해지)한 그달에 재빨리 보험계약을 부활시킨 뒤 보험금을 청구하는 극소수의 분들만 지금 이 순간에도 보험금을 받고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보험가입자들이(보험설계사를 포함해서) 보험을 부활시켜놓고도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 모르니까. 아니, 알려주지 않으니까.

윤용찬 보험금숨은그림찾기 교육센터장, 저자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