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어느 불행했던 역사학자의 일기

강만길 교수 자서전 <역사가의 시간>… 지식인의 삶에 녹아든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
등록 2010-06-03 23:49 수정 2020-05-03 04:26

“분단된 민족사회의 다른 한쪽을 적이 아닌 동족으로 생각하는 역사 인식의 소유자로서, 그리고 평화주의자로서, 냉혹한 민족분단 시대를, 그것도 엄혹했던 군사독재 시기를 살지 않을 수 없었던 역사학 전공자는 모름지기 불행한 사람들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해직교수 시절, 전공 분야를 바꾸다

강만길 교수 자서전 〈역사가의 시간〉. 창비 제공

강만길 교수 자서전 〈역사가의 시간〉. 창비 제공

원로 사학자 강만길(77) 교수가 자서전 (창비 펴냄)을 썼다. 강 교수는 자서전 집필을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가 살아온 세상은 너무 험난해, 일기를 제대로 남길 수 없었다. 군사정권은 수없이 지식인들의 서재를 검열했다. 에는 강 교수가 쓰지 못한 일기와 하지 못한 말들이 흘러넘친다. 지식인의 삶과 역사가 서로 겹치고 충돌한다.

은 일제강점기의 끝자락을 산 이야기, 국민학교 6학년 때 해방을 맞은 이야기, 중학교 5학년 때 6·25 전쟁을 당한 이야기, 대학원생으로 4·19와 5·16을 겪은 이야기, 유신독재, 서울의 봄, 해직교수 시절, 6·15 남북 공동선언 등의 이야기로 구성돼 있다. 모든 이야기에서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이 느껴진다.

전두환 정권의 압력으로 해직교수가 된 1980년부터 1984년까지는 강 교수의 학문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복직하자마자 그는 전공 분야를 중세사에서 근현대사로 바꿨다. 해직 기간에 그는 세상의 변화에 일조하기 위해 근현대사를 쉽게 풀어 써서 널리 읽히자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와 를 썼다. 1984년에 간행된 두 책은 의외로 반응이 좋았다. 역사학자 강만길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이 두 책은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대한 두 가지 신선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는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을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으로 보았다. 분단 상황 때문에 남에서는 좌익운동을, 북에서는 우익운동을 독립운동으로 인정하지 않는 상황을 강 교수는 ‘분단시대 역사 인식의 표본’이라고 부른다. 는 보통 4·19 혁명에서 멈추는 현대사 서술 범위를 5·16 쿠데타 이후 군사정권으로 확장했다. 탄압을 받는 한이 있어도 동시대사를 객관적으로 서술할 수 있을 때 그 시대의 역사학이 제구실을 다하는 것이라고 강 교수는 생각했다.

고문당하는 황지우를 보며 치를 떨다

광주항쟁 이후 항의 성명을 작성한 혐의로 서울 성북경찰서 유치장에 갇혔던 경험도 강 교수의 인생에서 중요한 계기다. 그는 대학원생이던 황지우 시인과 같은 감방을 썼고 옆방에는 고려대생 조성우·설훈 등이 있었다. 한 달간 유치장에 갇혀 있으면서 그는 많은 경험을 했다. 어느 날 밤중에 광주 출신 경찰 간부가 “제가 교수님이 계시는 그 자리에 있어야 합니다”라는 말을 건네고 가기도 했고, 또 어느 날은 유치장을 지키는 경찰관이 냉수라며 갖다준 소주를 마시며 그래도 살 만한 세상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러나 제일 괴로운 일은 ‘동거인’ 황지우가 매일 불려나가 심한 고문을 당하고 오는 것이었다. 동생 황광우의 소재를 말하라며 황지우를 날마다 불러내 고문하는 자들을 보며 강 교수는 치를 떨었다.

노학자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의지는 단단하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공동상임의장으로 6·15 남북 정상회담에 참석한 경험이나,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 날 남북역사학자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평양에 있으면서 평양 사람들의 노무현 정권에 대한 호의적 반응을 기록한 일이 눈길을 끈다. 책의 부록으로 실린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일지’는 진상규명위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쓴 비망록이다.

유현산 기자 bretolt@hani.co.kr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