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이 땅에 내려섰다. 크레인에 올라선 지 309일이 되던 지난 11월10일 오후 3시27분이었다. 같은 시각 은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 85호 크레인에 올랐다. 환영 인파를 뒤로하고 삐걱거리는 예순두 개의 계단을 올라 중간 난간이 있는 곳에 다다랐다. 가빠진 숨을 잡았다. 본격적으로 오르는 것은 여기서부터다. 수직으로 꼭대기에 이르는 통로의 문 앞에 섰다. 309일 전 새벽, 김 위원은 황막한 조선소 겨울바람을 맞으며 쇠톱으로 그 문의 잠금장치를 잘라냈다. 3시간이 걸렸다. 어른 키 높이의 철문은 그렇게 입장을 허락했다. 김진숙 위원은 그 안에 들어가 문을 잠갔다. 김 위원이 떠난 그 문을 열고 기자가 들어섰다. 깜깜했다. 고개를 쳐들었다. 수직으로, 김 위원이 올라간 크레인의 끝이 보였다. 빠끔히 보이는 그곳의 햇살이 올라가는 지점을 알리는 유일한 빛이었다. 그곳을 김 위원은 묵묵히 올랐을 것이다. 그 계단을 기자도 올랐다. 문턱까지 수직으로 가파르게 이어진 예순한 개의 사다리 계단을 올라, 그가 머물던 곳에 도착했다. 바람이 차고 셌다. 그 바람에 크레인이 흔들렸다. 환영행사의 노랫소리가 윙윙거렸다.
| |
크레인에 오르며 메모를 남긴 사람
“나 없으면 따뜻하게 지내. 밥 잘 먹고. 평소처럼 많이 웃고.”(김진숙 지도위원이 함께 살던 황이라씨에게 남긴 메모)
두어 달 전 황이라(31)씨는 “김 지도”(황이라씨는 김진숙 지도위원을 꼭 ‘김 지도’라고 부른다)와 나눈 얘기, 그간 겪은 얘기를 되짚는 글을 에 전달하기로 돼 있었다. “편지 형식으로 쓰겠다”고 했다. 하지만 당시 85호 크레인을 둘러싼 긴박한 상황 탓에 기고는 미뤄졌다. 지난 11월9일, 김 지도위원이 내려오기로 돼 있던 308일째 되던 날, 다시 기고를 요청했지만 김 지도위원이 내려오면 그가 곁에서 지켜야 하기 때문에 도저히 시간이 나질 않는다고 했다. 더구나 경찰은 돌연 김 위원이 내려오자마자 체포하겠다며 크레인 밑을 에워쌌다. 황씨는 펜을 잡을 여유가 없었다. 은 그의 구술을 편지로 재구성하기로 했다.
트위터의 김여진, 거리의 희망버스, 그리고 크레인에 밥을 올리는 황씨는 한진중공업 노조 조합원들과 함께 김 위원에게 숨을 불어넣은 309일의 생명줄이었다. 김 위원은 내려와 한진중공업 노조원들과 인사를 마치자마자 김여진씨를 오른쪽에, 황씨를 왼쪽에 세웠고 희망버스에 감사하다는 말을 꺼냈다. 농성 기간 중에 황씨는 김 지도위원의 모든 끼니를 챙겼다. 그뿐만 아니다. 음식, 대·소변, 철을 달리하는 옷가지 등을 밧줄에 달아 올리고 내렸다. 김 위원이 털어놓는 35m 위의 고충을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그가 유일했다.
| |
스물여섯, 동갑내기 해고자들
황씨는 김 위원이 올라간 그날부터 단 하루도 김 위원의 85호 크레인 주변을 떠나지 않았다. 크레인에서 가까운 노조사무실, 농성장 등에서 숙식을 해결했다. 가장 힘든 시기는 언제였을까. 6월27일. 법원이 김 위원에게 퇴거명령을 내리고 행정대집행이 있었던 날이다.
| |
강제집행이 있은 뒤 85호 크레인 위에는 김 위원과 그 아래를 지키는 8명의 노조원이 남았다. 회사 쪽에서 고용한 경비용역 수백 명이 에워쌌고, 전기와 음식 등의 공급을 중단했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나섰다. 최소한의 음식과 물을 넣도록 협상했고, 단 한 사람만 하루 세 번 밧줄에 물품을 달아 올릴 수 있게 통행을 허가했다. 그 한 사람이 황이라씨다. 그는 민주노총 부산지역본부 선전부장이다. 김 위원의 동료인 셈이지만 김 위원에게는 그 이상이다. 김 위원과 함께 수년 동안 동거해온 사이이기도 하다. 황씨는 2006년 부산지하철 비정규직 해고자로 김 위원을 만났다. 황씨도, 김 위원도 20년을 걸러 스물여섯 살이라는 같은 나이에 해고자가 됐다는 이유 하나로 친구가 됐다. 황씨는 김 지도위원을 ‘김 지도’라고 불렀다. 그에게 ‘지도’라는 호칭은 직책의 줄임말이 아니다. 아무것도 몰랐던 젊은 시절 그를 이끈 ‘맵’(map)이기도 하고, ‘진숙’을 대신하는 애칭이기도 하다.
| |
사람의 온기를 그리워한 당신
| |
85호 크레인 조종실로 다가갔다. 통로 좌우로 파이프로 이은 난간이 휑하다. 김 위원이 크레인에 올라간 직후 했던 ‘다리가 떨려 발을 내딛기 힘들었다’는 말을 실감했다. 철문에서 열여섯 걸음, 조종실에 앉으니 35m 아래 조선소 바닥이 떠오르는 듯 현기증이 일었다. 크레인 조종석 발 아래를 작업하기 편리하라고 유리로 만들어서 울렁거림은 증폭 됐다. 아래로 환영행사가 보인다. 김 지도위원이 꽃다발을 들고 황씨를 부둥켜안는다. 1차 희망버스 인파가 금세 크레인으로 뛰어올라 다들 함께 부둥켜안을 것 같다던 김 위원의 말을 이제야 알아듣겠다.
| |
“우리 그냥 평범하게 살아요”
조종실에 걸려 있는 달력은 1월에 멈춰 있고, 조종석 뒤로 이불 한 채가 반으로 접혀서 깔려 있다. 김 위원이 몸을 누이고 비바람을 피한 공간이었다. 아래로 발이 위로는 머리가 닿을 정도다. 좌우로는 양팔을 뻗을 수 없다. 아래 도로에서 큰 트럭이 지날 때 바닥이 울리고, 환영행사 앰프 소리로 크레인 철벽이 울렸다. 309일의 짐을 싸는 데는 10분이 걸리지 않았다. 베개 하나, 요 두개를 개고, 이불을 챙겼다. 그것만으로도 조종실이 텅 비었다. 마지막으로, 조종석 옆 한 뼘쯤 하는 화초가 자리를 잡았다. ‘호야’였다. 김 위원은 내려가기 전 마지막으로 물을 주었던 모양이다. 화분이 물기로 촉촉했다.
| |
내려오는 길, 아래로 통하는 철문 옆으로 스티로폼으로 만든 화단이 눈에 들어왔다. 김 위원이 트위터를 통해 알린 방울토마토, 상추, 딸기를 키운 곳인 듯했다. 단번에 안아 올릴 수 있을 만큼 작았다. 이미 세 알을 수확했다는 방울토마토는 보이지 않았고, 상추도 더 이상 심지 않은 듯했다. 지금은 딸기로 보이는 묘종 흔적만 남아 있었다.
| |
봄에는 함께 딸기밭 가기를
김 위원의 글에 등장하는 딸기밭에 가고 싶어 하는 청춘이 바로 황이라씨다. 김 위원은 내년 봄 황씨에게 삼랑진 딸기밭에 함께 가자는 약속을 했다. 309일의 흔적이 곳곳에 밴 계단과 통로, 몸을 잠시 누일 수 있는 공간까지 최소한의 배려만 존재했던 85호 크레인은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그는 그 속에서 약속대로 살아 내려왔다. 11월11일 현재 김 지도위원은 부산 동아대 병원에 입원해 정밀 건강검진을 받고 있다. 경찰은 구속영장을 신청할 계획이라고 했다. 그 옆을 황이라씨가 여전히 지키고 있다. 내년 봄, 그들은 약속대로 딸기밭 산보를 가야 한다. 이제 노조와 회사가 나눈 땅의 약속이 지켜져야 한다.
부산=글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1호 헌법연구관’ 이석연, 이재명 판결에 “부관참시…균형 잃어”
[단독] 경호처 말바꾸기…관저 유령건물에 “스크린골프 검토했다 취소”
홍철호 사과에도 “무례한 기자” 파문 확산…“왕으로 모시란 발언”
이재명 선거법 유죄 판결 ‘정당’ 43% vs ‘부당’ 42% [갤럽]
‘자녀 입시비리’ 의혹 조국 12월12일 대법 선고
“우크라군, 러시아 ICBM 발사”
육군 훈련병 뜀걸음 중 의식 잃고 숨져…입소 사흘째
푸틴 “우크라에 ICBM 아닌 중거리미사일 발사”…러 “미국에 사전통보”
“박정훈 항명 무죄” 탄원 서명, 하루도 안 돼 1만5천명 돌파
검찰, 이재명 ‘선거법 위반’ 1심 판결에 항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