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11일, 쇠사슬을 둘러 서로 몸을 엮은 밀양 할머니들은 산속 농성장에서 끌려 나왔다. 천막은 부서졌다. 고도 400~500m 높이에 있던 그 천막에서 할머니들은 서로에게 바싹 붙어 웅크리고 잠들었다. 765㎸ 송전탑 건설에 끝까지 반대했던 할머니들이다. 이 할머니들은 이 산의 주인이 풀이고 짐승이고, 앞으로 살아갈 아기들이라고 생각했다. 밤이면 냉기가 굽은 척추를 타고 기어올랐고, 바람과 짐승 소리가 섞였다. 그런 송곳니 같은 밤엔 80년을 산 할머니들도 두려웠다. 그런 밤, 천막 밖에서 빛이 들어온다. “우리 왔어요.” 연대자들이었다. 바나나를 가지고 왔다. “내 평생 그렇게 맛있는 것은 먹어본 적이 없는 거 같은 기라.”(책 ‘전기, 밀양-서울’ 중에서)
김영희 연세대 국문과 교수가 2014~2019년 밀양 탈송전탑·탈핵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인터뷰를 토대로 쓴 이 책을 보면, 할머니들과 연대자들은 이 산속 천막을 ‘즐거운 나의 집’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이 천막에 화목난로를 놓고 양은냄비며 접시를 들였다. 용식이라는 개가 사는 집도 있다. 그 천막에서 사람들은 된장찌개를 끓이고 고등어를 함께 구웠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그 기막히게 좋았던 고등어 맛을 기억한다. 사람들은 이제 곧 경찰이 들이닥칠지 알면서도 찌그러진 양은냄비를 반짝반짝 닦았다. 농성장이 부서지고 난 뒤, 이 낡은 세간살이들을, 천막이 섰던 자리의 낙엽을, 할머니들의 맨살에 닿았던 쇠사슬까지 고이 모아 간직했다.
수도권의 밤을 대낮처럼 밝히는 전기를 올려보내려고 밀양의 100여 가구는 오늘도 윙윙 울리는 송전탑 아래 산다. 마을은 산산조각 나버렸다. 할머니들에게 모욕은 일상이 됐다. 그래도 할머니들은 혼자가 아니다. 지금까지도 연대자들은 할머니들 곁에 있다. 함께 바느질했다. 호두껍데기로 머리를 만든 밀양할매 키링, 냉이꽃을 수놓은 에코백, 벚꽃이 핀 손수건 등을 만든다. 이들은 아직 지지 않았다. 전국을 돌며 ‘전기, 밀양-서울’을 함께 읽는 탈탈낭독회를 연다.
천막농성장을 오르락내리락하며 다리 근육을 키운, 바느질로 손가락에 군살이 박인 여자들이 2024년 11월 은모래마을책방에 왔다. 경남 남해 어린이책시민연대 사람들이다. 남해부터 밀양 산속 농성장까지 오갔던 이 여자들은 당시 대중교통이 끊기면 ‘백악관모텔’에서 일박하고 집에 갔다며 웃었다. 이 여자들은 30년 지기다. 한 여자가 둘째 아이를 낳았을 때, 다른 여자는 꽃게를 삶았다. “저 언니가 그 게 다리를 자기 입으로 깨서 줬잖아.” 책을 쓴 김영희 교수는 다리에 깁스를 한 채 비행기를 타고 서울에서 왔다. 남해에서 탈탈낭독회를 하러 모인 날이다.
경기도 용인에서 2024년 남해로 이사 온 은하(별명)가 먼저 낭독했다. 읽다 말고 자꾸 고개를 젖힌다. 머뭇거린다. “수도권에서 살 때, 전기 팡팡 썼어요…. 그게 죄스러운 일인지…, 몰랐어요…. 할머니들이 살던 마을을… 파괴하는 일인지… 몰랐어요.” 그가 울먹이자 옆에 앉은 콩풀(별명), 작고 동그란 여자가 따라 울고, 그 옆에 “꽃 한 송이만 봐도 행복한데 왜 꽃 한 송이 볼 여유가 없을까” 한탄했던 다른 여자가 산속 농성장에서 함께하지 못했다며 따라 울고, 그러자 나도 울고, 다들 울기 시작했다. 노안에 눈물까지 고여 더듬더듬 다음 낭송을 이어가던 콩풀이 물기 어린 눈망울로 진열해 놓은 검은 원피스를 훔쳐본다. 검은 원피스엔 바느질연대가 수놓은 분홍색 꽃 한 송이가 피어있다. “남해에 내려와 소비를 줄이고 자연과 더불어 자급자족하려고 (훌쩍) 했는데 (훌쩍) 자꾸 저 원피스에 눈이 가고 (훌쩍)….” 그러자 옆에 ‘꽃 한 송이 만족’ 여자가 웃고, 그 옆에 은하가 웃고, 그 옆에 꽃게를 이로 깨는 여자가 웃고, 그 꽃게의 하얀 속살을 쏙쏙 받아먹던 여자가 웃고, 백악관모텔을 기억하는 여자가 웃고, 다들 웃기 시작했다. 콩풀이 검은 원피스를 입어봤다. 다들 “딱 네 옷이다. 진짜 예쁘다” 난리였다. 울음과 웃음, 입을 동그랗게 오므리며 시작하는 낱말, ○으로 만들어진 이 낱말들은 수평으로 사람을 이었다. 그 동그라미 안쪽은 이상하게 따뜻해서 11월 스산한 남해의 바닷바람마저 다정하게 만든다. 한 남해 여자가 할 말이 있다면서 일어섰다. 노래했다. 김민기의 ‘아름다운 사람’. “어두운 비 내려오면/ 처마 밑에 한 아이 울고 서 있네/ 그 맑은 두 눈에 빗물 고이면/ 음 아름다운 그이는 사람이어라.”
그리고 일주일 뒤, 비상계엄이 선포됐다. 그 밤, 회사 단톡방이 계속 울렸다. 처음엔 회사에 비상이 생긴 줄 알았다. 그 뒤 남해읍 사거리에 매일 사람들이 모였다. 20여 명이 사거리 네 귀퉁이에 서서 노래했다. 나는 지드래곤 노래를 듣고 곁에 선 사람에게 ‘아이유 노래냐’고 물으며, 속으로 ‘역시 떼창엔 소방차지’라고 생각하며, 세대를 인증했다. 12월14일 윤석열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던 날, 개표 두 시간 전부터 사람들이 읍에 모였다. 분홍색 티셔츠를 맞춰 입은 초등학생들이 춤을 췄다. 같은 반 남자아이들은 놀리는 건지 응원하는 건지 여자아이들의 이름을 불렀다. “4학년 ○반 ○번 ○○!” 그러고는 쑥스러워 낄낄거린다. 어묵과 계란, 떡이 돌았다. 탄핵 찬성, 204란 숫자를 듣고 곁에 있던 사람이 누구건 끌어안았다. 앞사람 어깨에 손을 얹은 기차는 강강술래로 바뀌었다. 한 바퀴, 두 바퀴, 세 바퀴, 네 바퀴… 원을 그리며 돌았다. 어두운 비 내려오면, 처마 밑에 한 아이를, 우리는 울게 두지 않지, 그 아이의 어깨에 손을 얹고, 기차놀이를 하지, 칙칙폭폭 하늘에 수많은 ○들을 올려보내지. 웃음의 ○, 눈물의 ○.
그 꿈을 처음 꾼 게 언제인지 모르겠다. 어릴 때 반복해서 꿨다. 어린 나는 갈림길 앞에 서 있다. 집에 가려고 한다. 어느 쪽으로 가야 할까 불안하다. 이 꿈을 하도 자주 꿔서 뭔가 잘못됐다는 걸 안다. 불안해진다. 점점 살풍경으로 변한다. 낭떠러지에 도착한다. 낭떠러지 저쪽 끝에 낡은 아파트가 서 있다. 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가는 전선이 걸려 있다. 나는 그 전선을 붙들고 낭떠러지를 건넌다. 죽기 살기로 맞은편 끝에 도착했는데, 우리 집이 아니다. 낡은 아파트는 폐가다.
11월 동그란 여자들과 함께 글을 읽고, 12월 타인의 어깨 위에 손을 얹어 큰 동그라미를 만들면서, 어쩌면 그 꿈에서 나는 집에 도착했던 것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이 사람들과 폐가에 찌그러진 양은냄비를 들이고, 개집도 만들고, 화목난로도 세워 고등어를 굽고 된장찌개를 끓인다면 말이다.
글·사진 김소민 은모래마을책방 지기/희망제작소 연구위원
*‘인간관계 신생아’인 중년 여성과 간식 말곤 관심 없는 개의 도시 탈출 합동 도전기. 경남 남해에서도 남쪽 끝 작은 마을 상주에서 동네책방으로 망하지 않고 연결의 꿈을 이룰 수 있을까? 4주에 한 번 연재합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법원,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검찰, 26일 내 기소할 듯
[속보] 중앙지법, 윤석열 구속 연장 불허…“수사 계속할 이유 없어”
‘내란 나비’ 김흥국, 무면허 운전 벌금 100만원…음주·뺑소니 전력
검찰, 윤석열 구속연장 불허에 당혹…연장 재신청·기소 모두 검토
귀국한 전광훈 “체포하려면 한번 해봐라…특임전도사 잘 몰라”
[속보] 서부지법 방화 시도 ‘투블럭남’ 10대였다…구속 기로
인천공항 ‘비상’, 폭설 때보다 혼잡…공항공사 “출국까지 3시간”
검찰, 윤석열 구속 기소 본격 채비…주말 대면조사 ‘물밑조율’
도리도리, 끼어들기, 가르마…윤석열 ‘헌재 6시간’ 주요 장면
[단독] 경찰 ‘전광훈 전담팀’ 꾸렸다…법원 난입 연관성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