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창석 기자 kimcs@hani.co.kr
“그날은 오리라, 자유의 넋으로 살아/ 벗이여 고이 가소서, 그대 뒤를 따르리니/ 그날은 오리라, 해방으로 물결 춤추는/ 벗이여 고이 가소서, 투쟁으로 함께하리니/ 그대 타는 불길로/ 반역의 어두움 뒤집어, 새날 새날을 여는구나~.”
<벗이여 해방이 온다>는 80년대 민중가요 중 가장 많이 불린 노래 가운데 하나다. 1986년 반미시위 도중 자신의 몸을 불살라 숨진 고 김세진·이재호씨의 추모곡이다. 노래를 작곡한 이창학(42)씨는 필명인 ‘이성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이씨는 20년 전 일이지만, “지금도 우연히 신림4거리 가야쇼핑 근처를 지나게 되면 섬뜩함과 아련함이 동시에 밀려온다”고 했다. 당시 그는 두 죽음 소식을 듣고 허구한 날 울면서 한달 동안 미친 듯이 곡을 썼다고 한다.
광고
20년이 지나는 동안 그에게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80년대 말에 미국으로 건너가 물리학 박사가 됐다. 전혀 다른 삶을 살 줄 알았지만, 역시 음악은 그를 가만두지 않았다. 90년대 초 미국에서 동포청년들이 하던 문화행사에 참여해 공연 연출도 하고, 간간이 ‘노찾사’ 음반에 곡을 올리기도 했다. 97년 귀국한 뒤 강사 생활을 하는 등 음악과 동떨어진 일을 하던 그가 지난 5월27일 음반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증거 능력’ 엄밀히 따진 헌재…윤석열 쪽 ‘불복 논리’ 차단했다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윤석열 파면 뒤 김건희 검색했더니…달라진 인물 정보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파면’ 다음날도 집회…서울 곳곳서 “탄핵 자축” “불복종 투쟁”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
계엄→탄핵→구속→석방→파면…정의, 험난한 길 완주했다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