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무(28)씨는 광주과학기술원 정보통신공학과 박사 과정생이다. 그의 전공은 ‘컴퓨터 비전’으로, 간단히 말해 같은 3D 영화의 입력 정보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한다.
1. 박사과정이면 월·화·수·목·금금금으로 일하나.
=박사과정이라고 해서 쉬는 날도 없이 매일 일하는 것은 아니다. 따로 정해진 근무시간 없이 자유롭게 연구를 하기 때문에 밖에서 보기엔 쉬는 시간이 없어 보일 수는 있겠다.
2. ‘컴퓨터 비전’을 설명해준다면.=영상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어내는 걸 연구하는 분야다. 굉장히 포괄적인 분야인데, 우리 연구실에서는 영상에서 3차원 정보를 얻어내는 걸 주로 연구하고 있다.
3. 잡지는 언제부터 구독했나.
=2009년 11월부터지만, 부모님께서 예전부터 구독을 하셔서 그 전에도 종종 봤다.
4. 과학자들이 별로 시사에 관심이 없잖나.
=주 관심사가 각자의 연구라 세세한 시사 문제에까지 신경 쓰지 못할 뿐이지, 이슈가 되는 사건에 대해서는 주위 사람들과 종종 이야기를 나눈다.
5. 의 과학 기사는 어떤가.
=천안함 보도 같은 기사는 정확한 실험 데이터를 들며 전문적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게 좋았지만, 각 결과의 의미에 대한 설명이 조금 부족해 보였다. 직접적으로 그 분야에 관련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구체적인 수치보다는 그 수치가 지닌 의미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쉬울 듯하다.
6. 마침 ‘천안함 보도’에 대해 물어보고 싶었다.=천안함 사건은 정부 쪽에서 조사 과정을 계속 감추고 있는 한 결론이 나지 않을 문제라고 생각한다. 과학적 증거를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숨기고 있는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7. 최근 관심 있게 본 기사는.
=836호 특집 ‘저항하라! 놀면서 재미있게!’다. 사건 자체가 재밌고, 그들의 자유로운 발상이 흥미로웠다.
8. ‘아름다운 동행’으로 민족문제연구소를 후원하는데.=민족문제연구소는 발간을 계기로 알게 되었다. 친일 문제는 우리나라가 민주국가로 발전해나가기 위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을 통해 재정적 이유로 인명사전 발간이 힘들었다는 기사를 봤는데, 마침 을 정기구독하면서 민족문제연구소를 후원할 수 있다고 해서 내친김에(?) 하게 됐다.
9. 에 바라는 점은.=다른 언론매체에서는 보기 힘든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을 통해 많이 알게 됐다. 항상 변함없이 대변해줄 사람 없는 이들을 위한 언론으로 남아줬으면 한다.
10. 잘생겼다. 결혼했나.
=안 했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윤체이탈’ 윤석열…“살인 미수로 끝나면 아무 일 없었던 게 되냐”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계엄 ‘수거 대상’ 천주교 신부 “순교할 기회 감사”
홍장원 “내가 피의자로 조사받는 거 아니잖냐” 받아친 까닭
윤석열, 의원 아닌 “간첩 싹 잡아들이라 한 것” 누가 믿겠나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WSJ “트럼프, 불법이민자 관타나모 수용소 이송…군대 투입”
김용현 “애국청년 위로하려”...‘서부지법 난동’ 30여명에 영치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