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토로 살리기에 뛰어든 솔 그룹 ‘윈드시티’의 외침
론칭공연 끝내고 7월17일 성금 모금을 위한 콘서트 펼친다
▣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6월18일 론칭 공연에 우토로 돕기 모금이 얼마 모이지 않아 섭섭했어요. 강남의 하드락카페에 900여명이 왔고, 서명에 참가한 사람은 150명 정도였는데, 액수는 말하기도 부끄러울 정도예요. 강남에서 하면 되레 돈이 더 안 모인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모금 액수를 밝힐 때, 솔(Soul) 그룹 ‘윈드시티’의 리더인 김반장(30)의 얼굴이 잠깐 붉어졌다. 6월부터 우토로 살리기 캠페인에 나선 윈디시티는 적은 모금 액수에 정말로 미안해했다. 윈디시티에겐 우토로 살리기 캠페인이 다른 연예인이나 가수처럼 이미지를 가꾸기 위한 ‘사회봉사’가 아니었다. 그룹의 모토인 ‘사랑과 힘, 그리고 통일’(Love, Power and Unity)처럼, 이들은 사랑의 힘으로 노래하려는 듯했다.
광고
<한겨레21> 읽고 “이런 사람들이…”
발라드, 댄스, 록 등 몇 가지 장르로 정형화됐던 한국 음악계에 흑인음악의 솔을 표방하며 회오리를 일으켰던 ‘아소토 유니온’. 윈디시티는 김반장을 필두로 한 멤버들이 아소토 유니온을 해체하고 재결성한 그룹이다. 지난 6월2일 데뷔음반인 <러브 레코드>(Love record)를 낸 이들은 드럼과 보컬을 맡은 김반장과 베이스 김태국(37), 기타 윤갑열(29), 키보드 조명진(25), 퍼커션 정상권(21) 등 5명이다.
전혀 정치적이지 않을 것 같은 솔 그룹이 우토로 살리기에 뛰어들게 된 이유는 뭘까? 윈디시티가 우토로와 인연을 맺게 된 계기는 연습실에 굴러다니는 <한겨레21> 때문이었다. 김 반장과 정상권씨는 다름 아닌 <한겨레21>의 애독자.
광고
“지난 5월 실린 우토로 표지 기사를 보고, ‘아, 이런 사람들이 있구나!’ 싶었어요. 그래서 우토로 홈페이지에 들어갔고 관련 내용을 윈디시티 홈페이지에 퍼올렸어요.”
정씨가 퍼올린 글은 바로 윈디시티 멤버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5명은 곧장 인터넷에서 ‘우토로 살리기’ 서명을 하고는 매니저에게 전화를 걸었다. “우리, 우토로 운동해도 돼지요?”
며칠 뒤 윈디시티 멤버 3명은 직접 서울 공덕동의 우토로 국제대책회의 사무실에 찾아갔다. 그리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없겠냐’고 물었다.
광고
“상황을 보니까 너무 힘들더라고요. 우토로 땅값 55억원을 모아야 하는데 실제 일할 수 있는 사무국 사람들이 서너명밖에 안 되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가 보탬이 될 수 있는 만큼 함께하기로 했죠.”
윈디시티는 오는 7월17일 오후 6시 홍익대 롤링홀에서 열리는 콘서트에서도 우토로 캠페인을 벌인다. 공연장 앞에 모금 가판을 설치하고, 공연 중에 관객들에게 모금을 호소할 예정이다. 이 행사가 끝난 다음주에는 홍익대 근처에서 우토로를 살리는 길거리 공연을 연다. 우토로 노래도 작곡하기로 했다. 이 곡은 ‘디지털 싱글’ 형태로 인터넷에서 판매돼 수익금은 우토로 모금에 보태진다.
“이번 공연 때는 확성기를 가지고 갈 거예요. 그리고 공연장 앞에서 ‘기부하세요’라고 외칠 거예요. 풋 유어 핸즈 업(Put your hands up)! 힙합을 하듯이 재미있게!”
사족 하나. 윈디시티는 아티스트이자 정치선동가다. 아니, 알고 느끼는 만큼 그룹 홈페이지와 공연 중에 국가와 사회에 대해서 말한다. 하지만 ‘오버’하지 않는다. 단지 공화국 시민으로서 의무를 다하는 것이다. 윈디시티는 자신들의 활동이 너무 과장돼 포장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부탁했다. 김반장은 홈페이지에 이렇게 썼다. ‘과거사 청산은 국내에서부터, 완성은 미국에서.’
![]() | ||||
![]() | 동포를 버리지 말아주십시오 |
우토로 강제징용자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우토로에 사는 최중규(89)씨가 노무현 대통령에게 전해달라며 7월1일 <한겨레21>에 편지를 보내왔다. 대구에서 태어난 최씨는 26살 때 강제 징용돼 후쿠오카의 광산에서 중노동을 했다. 우토로에는 1967년부터 들어와 살고 있다.


![]() | ||||
![]() | 힘이 쌓이고 있습니다 |
여러분이 내신 성금이 우토로 주민의 강제퇴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성금이 한푼두푼 쌓일 때마다 우토로의 역사적 책임을 회피하는 일본 정부가 느끼는 부담은 커질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 우토로를 살려주세요!
계좌이체: 우리은행 1002-629-966152 예금주: 배지원(우토로국제대책회의)
휴대전화 결제: 우토로국제대책회의 홈페이지 http://www.utoro.net
주관: 우토로국제대책회의, <한겨레21>
문의: (02)713-5803, utoro@freechal.com
모금자 명단
윈디시티 론칭공연 16만8천원, 이은지 12만원, 김말순 2만원, 서주현 3만원, 추창훈 1만원, 최희선 5만원, 박상규 5만원, 정명희 5만원, 김복현 5만원, 유민학 3만원, 강건 7만원, 권미해 3만원, 임성찬 1만원, 정정국 1만원, 이중윤 5만원, 김성연 10만원, 힘내세요 3만원, 수원 영덕고 2학년 10만원, 소화나무 2만원, 0222031278 5만원, 김경순 1만원, 이주옥 10만원, 신삼복 1만원, 김순남 5만원, 공형청 1만원,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50만원, 성민영 2만원, 정인자 2만원, 고려대 경영대 민주동문회 100만원, 김래영 10만원, 박진성 1만원, 장석규 1만원, 임옥희 5만원, 김흥식 10만원, 손명헌 2만원, 박수원 3만원, 서기룡 3만원, 김덕희 3만원, 임영기 10만원, 신지은 2만원, 노정남 1만원, 강귀석 1만원, 구자숙 3만원, 신은영 3만원, 김명희 5만원, 익명 10만원, 우세관 2만원
휴대전화 결제
신낭구 1만원, 서보근 5천원, 문미숙 3만원, 심혜진 1만원, 추창훈 1만원, 변재구 5천원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외신 “‘아메리칸 파이’ 노래했던 보수주의자, 극적으로 퇴진”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
[전문] ‘윤석열 파면’ 헌법재판소 결정문 ①
[속보] 중국, 미국산 수입품에 34% 추가 보복관세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
시장도 환호했다…헌재 결정 20분간 원화가치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