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은 왜 영문 이니셜(MH)로 불리지 않았던 걸까요?(독자 김재용)
노무현 전 대통령이 13일 오후 경남 김해 진영읍 봉하마을 마을회관에서 열린 지역주민들과의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진영/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독자 JY님 반갑습니다. 위키피디아를 보면 이니셜은 라틴어 ‘이니티알리스’(Initialis)에서 유래합니다. ‘맨 앞에 서 있는’이라는 뜻입니다. 챕터나 단락 맨 앞글자를 아주 크게 표기했던 것이 이니셜 용법의 시작입니다. 3~4세기께 시작되죠. 사람이나 동물 그림으로 이니셜을 장식하기도 했답니다. 고대 성경 그림 이니셜을 보니, 뭔가 있어 보이는군요. 하긴 의미심장합니다. 챕터의 첫 글자였던 이니셜처럼, 정치인도 집단의 우두머리이니 이니셜로 불리게 된 걸까요?
일단,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일했던 한 민주통합당 당직자에게 전화부터 걸어봤습니다. “(정치인 이니셜의) 시작은 독재정권 시절 김대중 전 대통령, 김영삼 전 대통령 등 탄압받던 인물을 은어로 부르며 시작했다고 알고 있어요. 탄압하던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이니셜이 없잖아요. 언론에서도 쓰고 (지지자들) 자체적으로도 쓰기 시작한 거죠. ‘김대중’ 이렇게 쓰면 지면을 많이 차지해서 줄인 것도 있고.”
광고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이니셜로 부르지 않는다는 사실이 새삼스럽습니다. 1985년 한 종합일간지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한 논설위원께 물었습니다. “글쎄, 기원은 나도 모르겠다. 나 기자 생활 시작할 때부터 언론이 DJ·YS·JP라고 써왔는데. 3김에 대한 애칭이지 뭐.”
정치인 이니셜 문화의 시작이 ‘3김’이라는 점은 비교적 분명해 보입니다. 다만, 그 시작이 애칭인지 탄압인지는 명확지 않습니다. 어쨌든 역사는 오래된 를 검색해봤습니다. 1978년 11월21일치에 ‘JP “최 총리에게 많이 배웠다”’는 기사가 보입니다. 의외로 김대중 전 대통령을 가리키는 DJ는 1988년 4월7일치(‘DJ 바람 점화 성공’), 김영삼 전 대통령을 가리키는 YS는 1988년 4월10일치에 처음 등장합니다. 1971년 4월 대통령 선거 때 기사 제목에도 ‘김대중 후보 유세’라는 표현이 사용됩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뒤 잠시 언론 자유의 숨통이 트였던 1980년 5월6일치 신문을 봤습니다. 여전히 제목에 김종필·김영삼 등 풀네임이 사용됩니다.
두 가지는 명확해 보입니다. 첫째, DJ·YS·JP 가운데 JP가 먼저 사용됐다. 둘째, 1987년 뒤 널리 사용된다. 민주화 이후엔 정치인들이 마케팅의 일환으로 스스로 이니셜을 쓰기 시작합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이니셜 HQ가 행복지수(Happiness Quotient)를 의미한다고 선전했죠.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의 지지자 모임은 ‘MJ21’입니다.
그럼 노무현 전 대통령은? 다시 민주통합당 당직자의 말입니다. “독재가 지난 뒤 이니셜 문화가 바뀌었죠. 노 전 대통령은 이니셜을 쓸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굳이 영문으로 쓰면 Roh로 썼지. 노 전 대통령 주변에서도 (정치인) 이니셜 문화에 부정적이었고요.”
광고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엠에이치’에는 받침(종성)이 있어서 발음이 불편합니다. ‘치읓’도 썩 듣기 좋은 음가는 아닙니다. 무엇보다, 그에게는 ‘노짱’이라는 애칭이 있었습니다. ‘엠에이치’와 ‘노짱’을 비교해보세요. 이상, 1등 주간지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파면 이틀째 ‘관저정치’ 중…“대통령 아니라 집단 보스”
세계가 놀란 ‘민주주의 열정’, 새로운 도약의 불꽃으로
“주가폭락에 퇴직연금 증발 중…트럼프는 골프 중” 부글대는 미국
‘윤석열 파면’에 길에서 오열한 김상욱 “4월4일을 국경일로”
윤석열 파면 직후 대선 승리 다짐한 국힘…“뻔뻔” “해산해야”
윤석열, 오늘은 나경원 1시간가량 독대 “고맙다, 수고했다”
‘탄핵 불복’ 이장우 대전시장, 윤석열 파면 뒤 “시민 보호 최선” 돌변
“토하고 또 토했다…그래도 큐를 놓을 수 없었다”
이재명, ‘대장동 증인 불출석’ 과태료 처분에 이의 신청
기쁨 담아 나부낀 색색깔 깃발들…“이제 사회 대개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