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3대 세습을 위한 경영 변주곡



태광그룹, 회장의 16살 아들이 2대 주주로…

경영권 승계 위해 편법 상속·증여 및 수천억원 비자금 조성 의혹
등록 2010-10-22 10:50 수정 2020-05-03 04:26
태광그룹 이호진(48·사진) 회장.한겨레 자료

태광그룹 이호진(48·사진) 회장.한겨레 자료

3대 세습이 결국 말썽이다. 북한 얘기가 아니다. 최근 검찰이 압수수색을 단행한 태광그룹이다.

서울 서부지검은 10월13일 태광산업의 서울 장충동 본사를 비롯해 광화문의 흥국생명보험, 부산의 고려상호저축은행 등을 압수수색했다. 다음날에는 그룹 회계 담당 임직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태광그룹은 이호진(48·사진) 회장이 아들 현준(16)군에게 가업을 승계토록 하려고 편법 상속·증여를 한 것을 비롯해 이 회장이 상속과 차명주식 등을 통해 수천억원의 비자금을 모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여기에 케이블TV 사업자인 티브로드를 거느린 태광그룹이 경쟁 업체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정·관계 인사를 상대로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태광그룹 주요 계열사 출자 구조

태광그룹 주요 계열사 출자 구조

은둔형 기업, 악재 터졌을 때만 모습 드러내

아들 현준군에게 계열사 지분이 넘어가는 과정은 비상장 자회사 지분을 헐값에 넘기거나 내부자 거래로 오너 가족 회사에 이익을 몰아준 삼성그룹 등 재벌의 행태를 빼닮았다는 지적이 많다. 현준군은 초등학교 6학년인 2006년 태광그룹의 주요 비상장 계열사에 2대 주주로 등극했다.

이런 식이다. 태광그룹의 시스템통합업체인 티시스(당시 태광시스템즈)는 2006년 운영자금 조달을 이유로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한다. 그리고 9600주를 발행해 주당 1만8955원씩 총 1억8200여만원에 현준군에게 팔았다. 현준군은 티시스 주식의 48.98%를 보유해 아버지인 이 회장(51.02%)에 이어 2대 주주가 됐다. 그룹 건물 관리업체인 티알엠도 마찬가지다. 같은 해 유상증자로 9600주를 8254만800원(주당 8598원)에 사 2대 주주가 됐다. 그의 나이로 미뤄볼 때 두 회사의 주식 인수자금에 필요한 2억6천여만원을 땀 흘려 번 것 같지는 않다.

이 회장과 현준군이 소유한 비상장기업은 비약적으로 성장한다. 2003년 두산그룹으로부터 인수한 한국도서보급은 2006년 1월 이 회장과 티시스에 각각 11억원과 18억원을 빌려줬다. 이 회장은 이 돈으로 아들이 티시스와 티알엠 등의 주식을 인수하는 데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돈을 빌린 티시스는 2006년 태광그룹에서 두 번째로 큰 계열사인 대한화섬의 주식 약 2만 주를 사들였다.

이 회장과 아들 현준군이 100% 지분을 소유한 한국도서보급은 지난 9월13일 대한화섬 지분 17.74%를 사들여 태광산업의 1대 주주로 등극했다. 한국도서보급이 태광산업 주식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1대 주주가 누리는 ‘경영권 프리미엄’(통상 매각대금의 30%)은 계산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소액주주들은 그만큼의 손해를 주주들에게 끼쳤다고 주장한다. 결국 현준군은 2006년 갑작스럽게 태광그룹 안 주요 비상장기업의 2대 주주로 등극한 데 이어 올해에는 이들 기업이 그룹 내 주요 기업의 1대 주주가 되면서 이 회장의 뒤를 잇는 후계자 자리를 굳히게 됐다. 검찰은 기업 오너의 승계 과정에서 불법적인 요소가 없는지 수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도 태광그룹은 창업주인 이임룡 회장이 사망한 뒤 이호진 회장이 물려받은 태광산업 주식을 전·현직 임직원의 이름을 빌려 보유했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케이블TV 1위 사업자인 티브로드를 보유한 태광그룹이 6위 사업자인 큐릭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특정 사업자가 전국 방송권역의 5분의 1 이상을 소유할 수 없다’는 방송법 시행령을 개정하도록 정·관계 로비를 한 의혹도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그동안 태광그룹은 재계에서 ‘은둔기업’으로 불려왔다. 재계 40위(자산 약 4조8천억원·금융계열사 제외)로 52개 계열사를 거느리는 대기업 집단이면서도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호진 회장은 2004년 회장에 오른 이후 현재까지 언론과 접촉한 적이 없다. 심지어 그룹 행사나 외부 행사에도 일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왔다.

베일에 가려진 태광그룹이 간혹 언론에 등장할 때가 있다. 대부분 악재가 터졌을 때다. 2006년 장하성 고려대 경영대 학장이 이끄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일명 장하성펀드)가 태광산업에 지분 참여를 하면서 투명경영과 주주권익 확대를 요구해 주목을 끌었다.

지난해에는 청와대 행정관과 방송통신위원회 직원을 상대로 그룹 계열사인 티브로드 직원이 ‘성접대 로비’를 펼친 사실이 드러나 곤욕을 치렀다. 이같은 의혹은 뚜렷한 결말이 나오지 않은 채 흐지부지되거나 직원들이 처벌받는 선에서 끝났다.

하지만 최근 불거진 의혹과 검찰의 수사 양상은 과거와 다르다. 오너 일가를 직접 겨냥하고 있다. 검찰이 압수수색을 한 바로 다음날 임원진을 소환한 것을 보면, 검찰이 이들을 추궁할 만한 단서를 어느 정도 확보했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그럴 경우 다음 절차는 이호진 회장의 소환이다. 세상의 눈길을 피해 은둔해온 오너가 검찰의 포토라인에 서는 불명예스러운 일로 ‘데뷔’를 할지도 모른다. 이호진 회장은 검찰의 압수수색 이틀 전인 10월11일 출국했다.

태광그룹 가계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태광그룹 가계도 (※클릭하시면 더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중대표소송제 등으로 견제 필요

“기업을 성공시키려면 근검해야 하고, 성실해야 하며, 정직해야 한다. 남을 속여서도 안 되고 자기가 속임을 당해서도 안 된다.” 태광그룹 창업주인 고 이임룡 회장의 지론이다. 하지만 아들 이호진 회장은 부친의 지론을 거슬러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의혹의 대상에는 어느 날 갑자기 태광그룹 2인자로 부상한 손자 현준군도 포함돼 있다.

태광은 비상장 계열사를 동원한 불법·편법 증여와 물량 몰아주기 등의 삼성과 현대를 닮아갈 것인가.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번 의혹과 검찰 수사를 계기로 상장기업으로서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고 주주 이익을 배려하는 경영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태광그룹은 오너 일가의 내부 지분율이 높고 비상장 계열사가 많아 시장에서 제어하기 어렵다”며 “모회사의 주주가 자회사의 이사에게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이중대표소송제와 회사에 이익이 될 수 있는 사업 기회를 대주주 등 개인에게 몰아주는 것을 막는 회사기회유용 금지 등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것이 태광그룹과 그룹의 오너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김 소장의 충고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태광그룹은?
섬유회사로 출발해 현금 탄탄한 그룹으로

태광그룹은 1954년 고 이임룡 회장이 부인인 이선애(82)씨와 부산에 마련한 모직공장 태광산업사에서 출발했다. 이후 섬유를 기반으로 성공을 거둬 1970년대에는 국내 최대 섬유업체로 성장했다. 이후 1973년 흥국생명을 시작으로 대한화섬, 고려상호신용금고, 천일사 등을 인수해 그룹의 모습을 갖춰갔다.
1970년대 말부터 이기택 야당 총재가 처남이라는 이유로 매년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기도 했다. 이때 태광그룹은 길게는 7개월 동안 지속된, 사찰에 가까운 세무조사를 받았고 은행 거래마저 중지되기도 했다.
이런 경영 외적인 환경은 태광그룹을 빚을 지지 않는 ‘무차입경영’으로 내몰았다. 그러다 보니 현금유동성이 풍부한 그룹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대기업들도 휘청이거나 쓰러졌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절에도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1996년 창업주인 이임룡 회장이 사망했다. 처남인 이기화 회장이 넘겨받았다. 이임룡 회장의 장남인 석진씨가 부회장을 맡았다. 2002년 이기화 회장이 사임하고 석진씨마저 세상을 등지자 2004년 삼남인 이호진 회장이 취임했다. 창업주이자 이호진 회장의 모친인 이선애씨는 현재 태광산업의 이사로 등재돼 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