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전파사에 고등학생으로 보이는, 교복 입은 아이가 찾아왔다. 아이는 가방에 단 노란 리본을 매만지며 물었다. “아저씨. 이제 1년이네요.” 그렇구나, 나는 힘없이 대답했다. “그런데 왜 세상은 벌써 아무런 일도 없었던 것처럼 굴죠? 그때 약속했던 일들은 아직 저 바다 밑에 잠겨 있는데.” 그러게 말이다, 내 목소리는 더욱 작아졌다. “아저씨 그날 TV에는 뭐가 나올까요?” 나는 한숨을 쉬었다. 그게 참 어려운 일이란다.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게 TV의 큰 역할이니. 아픈 기억을 들춰내는 일은 주저하게 되지. “정말로 그런 건가요? 나라면 그러지 않을 거예요. 이런 방송을 만들 거예요.” 아이는 말을 이어갔다.
은 그 녀석을 대신할 사람을 찾는 것도 좋지만, 그 아이들을 대신할 사람은 없다는 걸 보여주세요. 나라면 기울어가는 선박의 모형 속에 멤버들을 집어넣겠어요. 그리고 물이 차오를 때 어떻게 대피해야 하는지, 미션을 같이 해보는 거예요. 그때의 아픈 기억이 되살아날 수도 있겠죠. 특히나 유가족들에겐. 하지만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왜 ‘가만있으라’고 하면 안 되는지 알려줬으면 좋겠어요. 진짜 극한의 일터에서 선장과 승무원들은 어떻게 해야 했는지 알려주면 안 되나요.
은 이날 하루만은 멤버들의 이름표 떼기를 멈춰주세요. 내가 살아남기 위해 누군가의 이름을 지워야 한다는 건 무서운 일이잖아요. 대신 아이들과 희생자들의 이름표를 붙여주세요. 거대한 선박에 들어가 깜깜하게 불 꺼진 선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사람들을 찾아 이름표를 붙여주세요. 무섭고도 힘들 거예요. 300명이 넘으니까. 하지만 슬픔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눈물만이 아니라 땀도 함께 흘리는 게 좋대요.
깔깔대고 뜀박질을 해야 하는 예능에선 부담스러운 일인가요? 몸이 어렵다면 말로라도 해주세요. 에서는 당연히 세월호 가족들을 불러줘야죠. 그 아이들이 남긴 일기, 그림, 사진을 보여줘요. 가능한 한 즐거운 모습으로. 그다음에 가족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어떻게 슬픔을 삭여왔는지, 그 목소리 한번 같이 들어주면 안 되나요. 까칠한 이야기 쏟아내는 도 초대할 사람들 많아요. 거짓 인터뷰 논란 홍가혜, 의 안해룡 감독, 이상호 기자… 그리고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이야기도 듣고 싶네요. 정부로선 어떤 게 정말 힘들었는지. 부담스러운가요, 무리인가요? 그럼, 은 어때요? 독한 소리 하는 거 참 좋아하시잖아요. 1년 전에 그렇게 떠들었던 국가 개조 프로젝트가 지금 어떻게 되었는지 자근자근 썰어주세요.
아마도 그날 손석희 앵커만큼은 팽목항으로 가겠죠. 모두 거기로 가서 함께 눈물바다에 빠지자는 건 아니에요. 세상은 비극에 지면 안 돼요. 우리는 여전히 웃고 떠들며 살아갈 수 있다는 걸 보여주어야 해요. 그래도 제 마음은 그래요. 작은 이야기 하나씩만 덧붙여주세요. 에선 외국 친구들이 이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그 나라에서는 어떻게 했을 것 같은지 이야기해주세요. 에선 이제 학교에 다녀올 수 없는 친구들에게 그 또래가 전하는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찾아가보는 것까진 바라지 않아요.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박지원, 정대철에게 “너 왜 그러냐” 물었더니 대답이…
국힘 ‘반쪽 경선’ 김문수-한동훈 결선행…한덕수와 단일화 거쳐야
[단독] ‘한나라당’ 출신 권오을 전 의원, 오늘 경북서 이재명 지지 선언
이재명 상고심 ‘속전속결’ 1일 선고…대선 최대 분수령
한덕수 부른 국민이 도대체 누군데요…“출마 반대·부적절” 여론 압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상고심 5월1일 오후 3시 선고
이낙연이 어쩌다 한덕수와…“정치적 무덤, 시대의 엇박자”
홍준표 “제 역할은 여기까지”…탈당·정계은퇴 선언
김문수 “6개”, 한동훈 “어렵잖게 30개”…국힘 때아닌 턱걸이 매치?
‘경선 탈락’ 홍준표 정계은퇴…“오늘로써 정치인생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