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중·일 3국은 전근대 시기보다 더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일국의 역사만으로는 왜 한반도에서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일어났고, 그 파장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이 책은 각국 역사의 한계를 넘어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근현대 동아시아사를 국제관계사의 맥락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힌다. 아직도 역사 갈등이 여전한 한·중·일 3국의 학자들과 시민사회가 역사 인식의 공통 지반을 넓히려 애쓴 결과다.
E. H. 카 지음, 이태규 옮김, 이매진(02-3141-1917) 펴냄, 3만원
20세기의 걸출한 역사가이자 뛰어난 전기작가인 E. H. 카는 이 책에서 치밀한 조사를 거처 추린 전기적 사실과 여러 언어로 된 문헌 자료에 독자적 해석을 더해 ‘아나키즘의 아버지’인 혁명가 미하일 바쿠닌의 초상을 완성한다. 카는 바쿠닌의 인간적 면모나 실천 활동에 줄곧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기는 하지만, 역사를 살다 간 한 인물의 진면목을 드러내는 전기가 지녀야 할 미덕을 구현하고 있다. 바쿠닌과 함께 프루동, 크로포트킨, 마르크스 등도 함께 등장한다.
‘사랑과 혁명의 시인’ 김남주. 그가 떠난 지 20여 년이 흘렀다. 이 시집은 김남주의 시 세계에 대한 헌사다. 백무산·송경동·박남준·허수경 등 58명의 시인들은 ‘지금-여기’에서 김남주를 다시 호출하는 동시에, 그의 시 세계를 변형하고 계승해내고 있다. 추모시집에 머무는 것을 경계하며, 김남주를 통해 현실에 대한 뜨거운 탐색을 시도한 까닭이다.
자연염색·염료·먹 등 우리 고유의 미술 재료를 꾸준히 연구해온 이승철 교수(동덕여대 미술학과)가 20년 동안 모은 자료를 바탕으로 한지와 관련한 것들을 집대성했다. 6개월간 한지 공장을 직접 운영하며 전통 한지를 직접 만들어보고, 쪽물 들인 감지를 만들려고 쪽을 심어 물들이는 공정까지 직접 체험한 저자의 관심은, 1천 년의 세월에도 변하지 않는 우리 종이 ‘한지’의 우수성을 현대에 되살리는 데 있다. 그 노력으로 한글판과 영문판(3만5천원)을 동시에 출간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시민 10만명, 체감 -10도에도 “내란 안 끝나” 분노의 집회
“작은 윤석열까지 몰아내자” 대학생들 극우 비판 시국선언 [영상]
건물도면 올리고 “척살” 선동…‘헌재 난동’ 모의 커뮤니티 수사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박지원 “고래싸움에 새우 등? 대왕고래에 윤석열 등 터져”
“한국이 소중히 여기지 않았다”…린샤오쥔 응원하는 중국 [아오아오 하얼빈]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