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꿈길 가듯 절망을 도강하다

친북·반북 논쟁에서 벗어나 탈북자 문제를

중국동포 소년의 눈에 비춰 국제적 관점으로 바라본 영화 <두만강>
등록 2011-03-17 11:00 수정 2020-05-03 04:26

은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화면에 담아온 중국동포 감독 장률의 6번째 영화다. 영화는 두만강을 경계로 북한과 인접한 중국동포 마을을 배경으로 소년의 눈에 비친 탈북의 문제를 보여준다. 영화가 시작되면 얼어붙은 두만강에서 한 소년(창호)이 시체놀이를 한다. 이는 탈북자들의 주검이 발견되는 흉흉한 공기에 반응하는 소년의 몸짓이다. 창호는 마을 폐건물에서 마주친 탈북 소년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함께 공을 차다 정진과 친해진다. 정진은 창호네에서 밥을 먹고, 먹을 것을 가져다 다시 두만강을 넘어 아픈 동생을 돌본다. 어느 날 밤 창호 집에 탈북자가 찾아와 애원하자 누나는 온정을 베푼다. 그러나 탈북자는 북한 체제를 찬양하는 TV 방송을 보다 격앙돼 말 못하는 누나를 성폭행한다. 마을에는 탈북자들로 인한 피해가 늘어간다. 탈북자를 동정하던 인심도 변해, “굶다 보면 애비·에미도 팔아먹는다”며 경계하고, 촌장은 장려금을 준다며 신고를 권장한다. 창호 역시 누나가 탈북자에게 성폭행당한 사실을 알고는 정진과 탈북 소년들을 때린다. 누나의 배려로 둘의 우정은 회복되지만, 창호의 다른 친구는 탈북 행위를 도운 혐의로 체포된 아버지를 석방시키려고 정진을 밀고한다. 창호는 정진의 체포를 막기 위해 지붕에서 뛰어내리고, 그 순간 중절수술을 받던 누나는 말문이 트여 “창호야”를 외친다.

가장 흔한 탈북자의 모습 조명해

1980년대 초부터 식량배급이 줄어들던 북한은 1987년 미국의 경제제재와 동구권 붕괴로 심각한 식량난을 맞는다. 1990년대 중반의 홍수 피해는 기아 사태로 이어져, 탈북 러시가 벌어진다. 2000년대 들어서선 북한 주민의 남한 유입도 가파르게 상승해, 현재 한 해 3천 명이 입국한다. 이를 배경으로 등 탈북자를 다룬 영화가 만들어졌다. 이 영화들은 대개 남한 사회의 탈북자를 그린다(예외적으로 는 몽골의 탈북자를, 은 동남아의 탈북자를 그린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남한 사회의 탈북자 수가 2만 명인 데 비해, 재외 탈북자 수는 5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며, 대다수는 중국 지린성에 집중돼 있다. 은 가장 흔한 탈북자의 모습을 조명하고 있으며, 남한 사회의 (친북과 반북 사이, 탈북자 문제를 남북한 정부 관계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사고하는) 논점을 벗어나 국제적 안목에서 사유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한다.

<두만강>

<두만강>

에서 ‘두만강’은 국경이자, 국경이 아니다. 노인들은 과거에 두만강을 건너온 사람들이다. 할아버지는 두만강가에 묻어 달라 말하고, 치매 할머니는 자꾸만 도강한다. 이들의 정서는 “두만강 푸른 물에~” 하는 “쓸쓸한” 노래가 대변한다. 마을 사람들은 탈북자를 인류애와 동포애로 대한다. 굶은 친구에게 쌀을 퍼주었다고 말해도 나무라지 않고, 염소를 훔쳤다며 탈북 소년들을 때리는 아이들에게 “염소가 뭐라고 사람을 때리누?” 하고 나무란다. 이는 아직 덜 자본주의화된, 덜 각박한 사회의 일면을 엿보게 한다.

하지만 두만강은 “장백산 줄기줄기~ 압록강 굽이굽이~” 하는 “힘있는” 노래로 대변되듯, 김일성이 넘었다는 ‘민족의 강’이기도 하다. 탈북 남성이 북한 TV 방송 때문에 폭력적으로 돌변해 누나를 성폭행하는 것은 국가 체제의 피해 남성이 억눌린 공격성을 성적으로 풀려는 욕망의 발현이다. 이것은 두만강 양안에 공히 존재하는 가부장적 문화와도 관련 있다. 정진은 “계집애가 부끄러움이 없다”고 말하고, 촌장은 좁은 마을에서 버젓이 시앗을 둔다. 성폭행 사건에 대한 남매의 반응은 흥미롭다. 소년(남성)은 가해자와 정진을 탈북자라는 한 묶음으로 이해해, 정진과 다른 탈북자를 때린다. 그러나 직접적 피해자인 누나(여성)는 개별로 사고하며 정진을 여전히 따뜻이 대한다. 남성적 인식은 이쪽과 저쪽을 경계짓고, 폭력으로 관철하는 국가 체계를 이룬다.

중국 정부는 1982년 가입한 유엔난민지위협약에도 불구하고 2001년부터 탈북자 단속을 강화하고 신고포상제를 실시해 한 해 약 5천 명의 탈북자를 북한으로 강제 송환한다. 중국은 이들이 정치적 난민이 아닌 경제적 이주민이어서 보호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들이 송환될 경우 박해가 가해질 게 명백한 상태에서 사실상의 난민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여론이다.

영화 속 마을에는 남한으로 일하러 간 사람들이 유난히 많다. 창호 어머니도 한국에 있고, 친구의 삼촌 부부는 한국에서 일하다 창고에 불이 나 죽었다(이천 냉동창고 화재사건?). 우체국 여직원도 한국에 갔다 왔으며, 두부방 아주머니도 한국행을 준비 중이다. 한국행 이주노동은 등에도 나와 있듯 중국동포 사회의 보편적 광경이다. 2007년 ‘방문취업제’ 도입 이후, 한국 내 중국동포 이주노동자 수는 전체 이주노동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

살기 위해 강을 넘고 바다를 건넌다

은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이 너무 힘들고, 죽을 수도 있으며, 약값도 비싸고, 비자를 사려면 빚을 내야 한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가게 앞에서 낮술을 마시는 남자들이나 명태 말리기를 요긴한 수입원으로 반기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듯, 이곳에는 일자리가 없다. 북한 주민은 밥을 찾아 ‘두만강’을 넘고, 중국동포는 일을 찾아 ‘황해’를 넘는 것이 신자유주의 시대의 일상적 풍경이다.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건조한 리얼리즘을 고수하던 영화는 마지막에 이르러 작은 판타지 하나를 선사한다. 영화는 치매에 걸려 강의 저쪽으로 자꾸만 건너가던 동네 할머니의 기억을 따라 누나가 연필로 그린 다리 위로, 할머니가 천천히 건너는 모습을 길게 비추며 끝난다. 이쪽과 저쪽의 경계가 이어진 가느다란 연필 선 같은 다리를 따라, 할머니 지나가신다. 꿈길을 가듯.

황진미 영화평론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