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아버지가 남긴 평생 정치 보험

김기춘-현경대-김삼천 등 정수장학생 출신 네트워크…

한국문화재단, 육영재단 등에 최순실씨 흔적도 뚜렷
등록 2017-01-17 17:12 수정 2020-05-03 04:28
정수장학회의 전신 ‘5·16장학회’는 박정희가 부산의 기업가 김지태씨의 재산을 강탈해 만든 것이다. 박근혜는 정수장학회 이사장 등을 지내며 알맹이를 고스란히 빼먹었다. 김지태씨 유족이 2012년 10월 정수장학회 사무실을 찾았다가 굳게 닫힌 철문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한겨레 강재훈 기자

정수장학회의 전신 ‘5·16장학회’는 박정희가 부산의 기업가 김지태씨의 재산을 강탈해 만든 것이다. 박근혜는 정수장학회 이사장 등을 지내며 알맹이를 고스란히 빼먹었다. 김지태씨 유족이 2012년 10월 정수장학회 사무실을 찾았다가 굳게 닫힌 철문 앞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한겨레 강재훈 기자

김종필(92) 전 국무총리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대통령 박근혜(65)를 ‘정서적으로 정돈된 여자가 아니다’라고 혹평했다. “(박 대통령이) 저 혼자만 똑똑하고 나머지는 다 병신들(이라고 생각한다)” “지독한 사람” “회복 불능”이라는 거친 표현도 마다하지 않았다. 김 전 총리는 대통령 박근혜의 사촌형부이자, ‘정치 9단의 경지를 넘었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또 다른 ‘정치 9단’ 김영삼(1927~2015) 전 대통령도 2012년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경선 후보를 향해 “칠푼이다. (경선 후보로서) 별것 아닐 것”이라고 인간적, 정치적 면을 모두 혹독하게 깎아내렸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박정희가 남긴 재단·법인 4곳</font></font>

전직 대통령 박정희에게 박근혜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그러나 주위 사람들에게 ‘어딘가 결핍됐다’는 평가를 받는 아이였다. 그는 이런 딸을 위해 4개의 재단·법인을 ‘보험’으로 남겼다. 영남학원, 한국문화재단, 육영재단, 정수장학회가 그것이다. 2012년 공시지가 기준, 이 4개 재단·법인의 재산 가치는 87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1980년부터 2012년에 걸쳐 이들 재단의 이사장을 번갈아 맡아왔다.

영남대는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67년 대구대와 청구대를 합병해 만들어졌다. 대구대의 사실상 주인이던 삼성의 이병철 당시 회장과 청구대 이사진이 학교 비리를 빌미로 모두 정권에 강제 헌납한 것이다.

한국문화재단은 1979년 삼양식품 전중윤 전 회장이 설립했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1980년부터 32년간 ‘박근혜 이사장’ 체제가 유지됐다. 2012년 대통령선거 때 선거 비선 조직이란 의혹이 빚어지면서 급히 해산됐지만, 13억원대 재산은 고스란히 박 대통령의 어머니를 위한 육영수여사기념사업회로 넘겼다.

‘박근혜·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의 공동정범으로 지목된 최순실(60·개명 뒤 이름 최서원)씨가 이 재단의 연구원 부원장이었다는 공식 기록이 남았다. 실제 운영자가 최순실이었고, 건물 관리에 대통령 박근혜의 ‘문고리’ 이춘상·안봉근 등이 직접 나섰다는 관련자들의 증언도 있다.

육영재단은 대통령 박근혜의 어머니 육영수(1925~74)씨가 1969년 설립한 어린이복지재단이다. 박근혜 이사장 체제가 1982년부터 1990년까지 유지됐다. 최순실씨가 육영재단 발행잡지 의 편집장을 맡으며 부당한 수익을 챙긴 혐의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4개 보험’ 가운데서도 정수장학회는 박정희 사후 박 대통령의 가장 확실한 ‘뒷배’였다. 정수장학회는 박정희가 부산의 기업가 김지태로부터 강탈한 재산을 밑천으로 1962년 만든 ‘5·16장학회’의 후신이다. ‘국가정보원 과거사건 진실규명을 통한 발전위원회’(국정원 과거사위)의 2005년 조사보고서를 보면, 정수장학회가 김씨의 재산을 강탈해 만들어진 근거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50여 쪽에 걸쳐 조목조목 적고 있다.

“김지태가 부일장학회를 설립하여 재산의 사회 환원 의지를 실천에 옮기고 있었으나, 국내재산도피방지법 등 위반 혐의로 구속되어 수사를 받자 석방을 조건으로 소유재산을 공익 목적에 사용하도록 헌납하고 대신 처벌을 면하도록 하라는 제의를 수용, 그에 따라 그가 소유하고 있던 재산 가운데 부일장학회·부산일보·부산문화방송·한국문화방송 등 공익적인 성격의 재산을 국가에 헌납하게 되었음.

헌납한 재산은 당연히 공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어야 하나 실제로는 5·16장학회를 거쳐 정수장학회로 이어져왔으며 그 과정에서 사유재산처럼 관리되어왔고, 장학회의 이름에서도 특정한 집단이나 개인을 내세웠으며 그동안 이사진도 대체로 박 대통령에 의해 선임되었고 그의 사후에도 유족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왔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박근혜의 든든한 ‘금고’ 역할</font></font>

국가의 불법적이고 폭력적인 행태로 설립된 장학회라곤 하지만, ‘아버지 박정희’의 의도만큼은 맞아떨어졌다. 정수장학회는 딸 박근혜의 든든한 ‘금고’ 구실을 했다. 2012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당시 박홍근 민주통합당 의원이 낸 정수장학회 결산 분석 결과를 보면, 당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1995~2005년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재직하면서 11억3720만원을 받았다. 2000년 이전에는 비상근으로만 근무했는데도, 매해 평균 1억원 이상 거액을 챙겨간 것이다.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은 보수 지급 대상을 상근 임직원으로 제한했다. 1998년부터 국회의원으로 공직자가 됐는데도 정수장학회에서 받은 돈은 사용처가 모호했다. 박 의원은 “정수장학회가 박 의원의 자금 제공처로 사유물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더 큰 문제는 정수장학회 장학생 상당수가 정치·법조·학계·재계로 진출했고, 이 가운데 일부가 설립자 일가에게 ‘정치적 보은’을 했다는 점이다. 박정희-박근혜 일가의 의도대로, 자기 돈 한 푼 들이지 않고 정치·경제적으로 ‘평생 보험’ 구실을 해준 셈이다.

우선 정수장학회는 탄탄한 인적 조직 기반을 만들었다. 정수장학생은 2012년까지 연인원 4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장학생은 장학금 수혜 재학생 모임 ‘청오회’와 장학생들의 범동창회 조직 ‘상청회’로 구분된다.

청오회는 중앙임원단을 중심으로 각 지역 11개 지회를 나눠 일사불란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별로 청오회 선배 격인 정수장학생 출신 현직 교수 13명이 ‘청오회 지도교수’를 맡고 있다. 지도위원장은 강용찬 목원대 교수로 2012년 대선 때 대전·충청대학교수 박근혜 후보 지지 선언에 앞장섰던 인물이자, 정수장학생 범동창모임인 상청회 자문위원, 상청봉사기금공동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해마다 현역 정수장학생 400여 명을 신규 회원으로 받는다.

청오회칙을 보면, 대학과 대학원생은 정회원, 중·고등학교 재학생은 준회원으로 삼는다. 청호회원들이 장학금을 받는 일반 과정도 별다를 게 없다. ‘정수장학회 장학생 지원서’에는 나이, 학과, 학력사항, 타 장학금 수혜 여부, 어학능력, 봉사활동 같은 것을 적도록 돼 있다. 이와 별도로 ‘학습계획서’를 내도록 돼 있다. 본인의 인생관, 사회 진출 포부(직업관), 재학 또는 졸업 후 사회와 국가에 대한 봉사활동 계획 등이 A4용지 2장 분량으로 기록한다. 지도교수의 추천서가 첨부된다. 전년 학기 평점 4.0 이상, 학업 석차 5%라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정수장학회는 장학금을 빌미로 ‘친박정희 일가 의식’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2012년 국정조사 자료를 보면, 서류 합격이 된 이들은 1박2일짜리 면접에서 진짜 ‘정수장학회원’이 되는 과정이 시작된다. 면접 과정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받는다. 정수장학회의 각종 행사에 참여해야 한다는 서약도 한다.

청오회 회원들은 해마다 박정희 생가 방문이나 육영수 추도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돼 있다. 하계수련회(2박3일), 학술대회, 송년회 등 필수 참석 행사만 5개에 이른다. 청오회 부산지부 회칙에는 “공식 모임에 2회 이상 연속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장학금 지급을 중단한다”고 정했다.

유기홍 당시 민주통합당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에서 제출받은 ‘2010~2011년 청오회 소식지(청오이야기)’ 분석 결과를 보면, 청오전국수련회 이후 대학생 박아무개씨는 기고에서 “옛날 고(故) 박정희 대통령님께서 우리나라에 있는 인재들을 널리 향상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당시 경제적 우위를 점하고 있던 기업인들을 도모해서 이러한 단체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 단체를 만드신 박정희 대통령님 모두가 너무나 고맙고 이런 은혜를 꼭 나중에 갚겠다고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왔다”고 적었다. 또 다른 청오회원 최아무개씨는 “경북대에서 식사를 하고 고 박정희 대통령의 동상에 묵념 후… 장학증서 수여식에 와서 좋은 분들의 말씀을 듣고 박정희 전 대통령과 정수장학회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다”고 했다.

정수장학회가 청오회 활동 지원 명목으로 ‘지도비’를 해마다 3천만원 안팎 쓰는 까닭도 이런 효과 때문이다. 정수장학회 쪽은 “재학생 간 우의를 돈독히 하고, 선후배 간 유대 강화는 물론 건전한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정수장학회 쪽 통계를 보면, 지도비로만 1966~92년 4억7천만원이 지급됐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은혜를 꼭 나중에 갚겠다”</font></font>
정수장학회는 단순한 장학재단이 아니다. 부일장학회 재산을 강탈해 정수장학회를 만드는 데 핵심 구실을 했던 황용주는 <정수장학회 30년지> 축사에 “바라건대 고인(박정희 전 대통령)의 한을 잊지 마소서”라며 소름 돋는 글귀를 남겼다. 홍석재 기자

정수장학회는 단순한 장학재단이 아니다. 부일장학회 재산을 강탈해 정수장학회를 만드는 데 핵심 구실을 했던 황용주는 <정수장학회 30년지> 축사에 “바라건대 고인(박정희 전 대통령)의 한을 잊지 마소서”라며 소름 돋는 글귀를 남겼다. 홍석재 기자

정수장학회가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수장학생 동창모임 ‘상청회’를 통해서다. 상청회는 1966년 12월18일 발기인 일동 명의로 된 설립 취지에서 “5·16장학생들은 안으로는 우리들 상호 간의 긴밀한 친목 도모와 상부상조의 호혜활동을 유기적으로 영속하면서 재단법인 5·16장학회(정수장학회 전신)의 숭고한 이념과 목적을 조장·후원하며 밖으로는 발전 도약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초석과 동량 지역으로 진출하여”라고 밝혔다. 상청회원 가운데 꽤 많은 이들이 ‘박정희-박근혜’ 부녀와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고리를 맺고 있다.

상청회원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법조계 인맥이다. 김기춘(78)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대표적이다. 김 전 비서실장은 1963년 서울대 법학대학원 1학년생으로 정수장학회 1기 장학금을 받았다. 정수장학회를 통해 전 대통령 박정희와 첫 인연의 끈을 엮은 김 전 비서실장은 3공화국과 유신 시절에만 육영수씨 저격사건 담당검사,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부장을 거쳤다. 유신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대를 이어 대통령 박근혜는 한나라당 대표 시절 김 전 비서실장에게 여의도연구소장, 2007년 대선 경선에서 캠프 법률지원당장을 맡겼다.

김기춘 전 비서실장은 ‘상청회’에서도 19~21대까지 최장수 회장을 맡았다. 법무부 장관 시절인 1991년 첫 상청회장을 맡아 수도권 조직을 동부(8개)·서부(8개)·남부(10개)·북부(8개)로 나누고, 지방 조직을 부산·대구·광주·대전 등 14개 조직으로 재편해 마치 검찰 조직처럼 일사불란한 체계를 만들었다. 그는 축사에서 “구국이념과 인간계발의 숭고한 정신을 전하고자, 민족중흥의 철학을 바탕으로 정수장학회가 창립됐다”고 썼다.

40여 년간 ‘박정희-박근혜’ 일가와 인연을 맺어온 김 전 비서실장은 2013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대통령 박근혜의 비서실장을 했다. 최순실씨의 국정 농단이 시작되고 정점으로 향하던 시점이었다. 통합진보당 해산에 깊이 관여하고, 세월호 참사가 터졌을 때도 대통령을 대신해 실패한 구조 작업을 사실상 진두지휘했을 것이란 의심을 받고 있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법조계, 학계, 정계, 교계… 장학생 곳곳에</font></font>

김 전 비서실장과 같이 1기 대학 장학금 수혜자 가운데 하나가 현경대 전 국회의원이다. 김 전 비서실장과 동갑이자 서울대 법대 동문, 정수장학회 1기 장학금 수혜자, 1기 상청회원이라는 점에서 닮았다.

현 전 의원 역시 박정희 정권 시절 법무부 검사를 지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돼 일찌감치 ‘상청회 출신 첫 국회의원’ 타이틀도 가졌다. 2012년 대선 때 후보 박근혜의 자문그룹 ‘7인회’ 멤버로 대통령 당선에 기여했고, 최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구인난을 겪던 대통령비서실장 자리에 ‘구원투수’로 이름이 거론되기도 했다.

그 밖에도 신승남 전 검찰총장, 주선회 전 헌법재판관, 심일동 전 서울지법 부장판사, 안승군 전 서울고검 형사부장, 임성재 전 서울지검 공판부장, 허만 전 부산고법 부장판사, 성영훈 현 국민권익위원장 등이 모두 상청회 출신 법조인이다.

학계 인맥도 만만치 않다. 2010년 기준 상청회원 가운데 교수만 400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고려대와 건국대 법학전문대 교수이자 과거 국가정보원장, 법무부 장관을 지낸 김성호씨가 2013년부터 지금까지 상청회장을 맡고 있다. 여기에 초·중·고 교사를 더하면 전체 회원의 20% 정도가 교육계에 종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계에는 새누리당 김재경 의원과 김기도, 강성구 전 의원을 비롯해 야권 쪽에서도 손봉숙, 채수찬, 오제세, 박선영 등 전·현직 의원들이 꽤 있다. 교계에서는 보수 성향의 뉴라이트전국연합 상임고문을 지낸 김진홍 두레마을 목사가 눈에 띄고, 기업인 가운데는 김삼천 JSN코리아 대표가 눈길을 끈다.

특히 김삼천 대표는 현 정수장학회 이사장으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상청회장(26~27대)을 지냈고, 정수장학회로 자리를 옮기기 이전 3년간 한국문화재단에서 감사로 일했다. 최근 12년 동안 박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지켰던 인물이다. 2005년부터 박근혜 당시 의원에게 해마다 500만원의 기부금을 내기도 했다.

청오·상청회를 통한 ‘박정희-박근혜 인적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지적해온 유기홍 전 의원은 “정수장학회가 장학금 제공을 명분으로 정수장학회의 입장과 박정희의 철학을 강요하고, 5·16 쿠데타와 유신체제에 대한 잘못된 역사인식을 전파해왔다. 청오회는 1990년대 중반까지 장학증서 수여식 이외의 행사는 거의 없었고 강제성도 없었을 정도로 일반 장학재단과 유사했지만, 2007년 전후 출석부 작성, 행사 후기 작성 등 멤버십을 강조하며 회원관리를 했다. 시기적으로,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본격적인 대선 활동을 하던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청오회와 함께 상청회는 선거철만 되면 박근혜 지지 조직 의혹을 사고 있다”고 지적했다.

<font size="4"><font color="#008ABD">“고인의 한을 잊지 마소서”</font></font>

는 정수장학회가 1994년 9월 467쪽 분량으로 낸 첫 공식 자료집이다. 이후에는 각종 논란을 의식한 듯 따로 공개 자료집을 내지 않았다. 이 책의 두 번째 장에 전직 대통령 박정희가 쓴 ‘음수사원’(飮水思原)이란 휘호가 적혀 있다. ‘물을 마시며 그 근원을 생각한다’는 뜻이다.

첫 장에는 박정희의 사진을 걸어 ‘설립자 박정희 대통령’이라고 썼다. 장학재단의 수혜를 입었으니, 설립자 일가에 평생 ‘보은’하라는 뜻이었을까? 부일장학회 재산을 강탈해 정수장학회를 만드는 데 핵심 구실을 했던 황용주는 책에서 “이제 30년을 두고 배출해낸 인재들이 이 나라의 고급 인력을 구성하고 있다. 바라건대 고인의 한을 잊지 마소서”라는 섬뜩한 글귀를 적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font color="#C21A1A">http://bit.ly/1HZ0DmD</font>
카톡 선물하기▶ <font color="#C21A1A">http://bit.ly/1UELpok</font>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