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가수 김광석을 사랑했던 이들에게 하모니카는 특별한 존재다. 그의 하모니카는 노랫말 사이사이에 끼어들어 때론 경쾌하게 때론 구슬프게 곡의 감정을 살려줬다. 겨드랑이에 낀 기타와 함께 하모니카는 김광석을 상징하는 하나의 아이콘이었다.

그런데 이 하모니카로 오케스트라 연주를 하는 이들이 있다. 코리아하모니카오케스트라가 주인공이다. 이 오케스트라는 지난 2001년 꾸려졌다. 당시 모임을 주도한 이는 우미경(43) 한국하모니카교육협회 회장. 대학 때 피아노를 전공한 우 회장은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니 다른 악기는 엘리트 교육 중심인데다 다루기가 어려웠다”며 “남녀노소가 다 즐길 수 있는 악기가 과연 뭘까 고민하다 하모니카를 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대만과 일본까지 찾아가 하모니카 고수들에게 연주법을 배우기도 했다.
광고
어떻게 하모니카로 35명에 이르는 오케스트라를 꾸리고 연주를 할 수 있을까? 하모니카도 4가지 종류로 나뉜다. 흔히 쓰는 하모니카는 복음이라고 하는데 이보다 저음을 내는 베이스 하모니카가 따로 있다. 또 반음을 낼 수 있는 크로매틱이 있고 코드 하모니카는 리듬을 잡는 타악기 구실을 한다. 한 종류당 8∼9명의 연주자가 모여 오케스트라를 구성한다.
다루기가 쉽다 보니 오케스트라의 구성원도 초등학교 3학년부터 60대 할아버지까지 다양하다는 게 우 회장의 설명이다. 직업을 봐도 주부부터 교수까지 넓게 포진해 있다. 연주 땐 지휘자도 따로 둔다. 현재는 곽준영 관동대 음대 강사가 지휘봉을 잡고 있다.
연주하는 장르도 구분이 없다. 동요부터 가요, 팝송, 재즈 그리고 클래식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음악이란 음악은 모두 하모니카로 소화해낸다. 다음달 30일에는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에 있는 협회 강당에서 여성 4중주인 ‘모두모아’팀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모차르트부터 조용필의 노래까지 들려주는 무료 연주회를 열 계획이다. 협회에는 오케스트라 말고도 연령대별로 3중주·4중주 여러 팀들이 활동 중이다.
우 회장은 “하모니카는 그 음색이 다른 악기에 비해 사람 목소리에 가장 가까운 특징이 있다”며 “치매노인을 위한 공연을 할 때면, 피아노나 장구 등 다른 악기에는 잘 반응을 하지 않다가도 하모니카를 불어주면 웃고 울고 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사무처장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 절차 작동돼야”
천주교 신부·수도자 3462명 “교만한 헌재, 국민에게 승복하라”
김문수 “한 총리가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후임 지명해야”
‘강진 초토화’ 미얀마, 구조에 코끼리 동원…“아무런 지원 없다”
기약 없는 탄핵심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4·18 이후 대비하는 여야…국힘 “문형배·이미선 후임 임명”, 민주 “임기 연장”
대구 팔공산·비슬산·앞산 등 ‘전면 출입금지’…시 “산불 예방”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미국 채권 살까?…나라가 망하든 말든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