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한국화 화단의 최고 실력자인 이종상(69) 서울대 명예교수. ‘국제통’ 기획자라는 이용우(59) 광주비엔날레 전 예술감독.
광고
광주 비엔날레의 이사, 감독 선정위원으로 재단운영을 주도해온 두 사람이 때늦은 ‘신정아 후폭풍’을 만났다. 예술감독 선정 배후 논란이 새삼 불거지면서부터다. 재단의 감독 선정위가 유력 후보의 고사로 감독 선정에 실패하고 5월25일 다시 연 회의가 빌미였다. 이들 두 인사가 회의에서 재단 이사장에게 감독 선임권을 아예 맡기자고 제안한 것이 의혹의 싹을 키웠다. 그들 뜻대로 제안이 통과된 뒤 논외였던 신정아씨가 전격 지명되면서 파문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앞서 이 교수는 신씨를 후보로 추천했는데, 계속 함구했다가 최근 언론에 추천서가 공개됐고, 충분한 경력 검토 없이 추천했다는 의혹도 제기되면서 난처한 처지에 놓였다.
의 취재 결과 막역한 두 사람은 회의에서 후보 감독의 최종 선정 권한을 이사장에게 위임하자는 제안을 같이 꺼내들었다. 이용우씨는 “먼저 제안을 꺼낸 것은 선정소위원장이자 사회자인 이 교수였고, 나는 그뒤 찬성 제안을 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가 재투표해서 감독을 뽑는 안과 이사장에게 추천 후보를 올리고 선정을 위임하는 안 가운데서 고르자고 제안했다는 것. 뒤이어 이씨가 사전 인터뷰를 조건으로 이사장에 선정권을 위임하자는 찬성제안을 내놓았다는 설명이다.
반면 다른 일부 위원들은 적잖은 반론이 나왔으나 이 교수와 이씨 등이 이사장 위임안을 편드는 발언으로 분위기를 몰아갔다고 증언했다. 강연균 위원은 “의사진행에 객관적이던 이 교수가 그날따라 위임안 위주로 몰아가는 느낌이 들어 항의했다”고 밝혔다. 다른 위원도 “사실상 선정위원이 추천위원으로 전락하는 안을 두 사람이 왜 그렇게 주장하는지 의아했다”며 “두 인사가 비엔날레 운영권자인 광주시장과도 절친한 만큼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다”는 주장도 했다.
두 이씨가 앞장선 격이 된 감독선정 위임안 통과는 최악의 선택을 낳았다. 한갑수 당시 이사장이 가짜 박사 신씨를 낙점했고, 비엔날레는 최대 위기로 내몰렸다. ‘고사하는 후보들이 많아 위임안이 꼭 필요했다’고 해명한 이용우씨는 이사진에 유임됐다. 선정위 절차가 아주 잘된 것이라고 강조한 이 교수는 퇴장했고, 비엔날레 파행의 장본인이란 눈총까지 받고있다. 대학 시절부터 천재적 필력으로 승승장구해온 이 교수는 “신정아를 띄운 언론을 믿은 죄밖에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이진숙 임명’ 신동호 EBS 사장 취임 제동…법원 “집행 정지”
‘어른 김장하’ 장학생 문형배, 자폐아 키우며 세상 이해한 김형두 [영상]
‘개헌’ 거리 둔 민주, 힘 실은 국힘…다른 셈법에 대선변수 안 될 듯
윤석열, 파면 나흘째 관저에 버티기…“증거인멸 가능성 커져”
[단독] 파면 결정문, 윤석열 아닌 ‘회사동료 김OO’ 대신 수령
시민단체 “전광훈 구속해야”…경찰 “모든 가능성 열고 수사”
이천수 “건진법사 1억 받을 때 현장에서 봤다” 진술
명태균, 여론조사 결과 독촉 “윤석열이가 볼 건데, 안 주면…”
[단독] 헌재, 프린트도 안 썼다…선고요지 보안 지키려 ‘이메일 보고’
한국 -5%, 중국 -7%, 일본 -8%…트럼프 관세 폭탄에 ‘초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