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영 주먹과 행동으로 부숴야 할 벽
우선 국문과 출신 독자로서 최승자 시인의 시를 적절히 인용해준 기자분께 ‘브라보’! 특집1 ‘관용에서 연대로’는 다문화주의의 부정성을 알맞은 시점에 지적해주었다. 관용의 정신으로 무장한 채 모른 척 돌아가려는 독자의 발목을 붙잡고 굳건한 콘크리트 성벽을 가리켰달까. 정신만으로는 저 두꺼운 차별의 벽을 부술 수 없다, 필요한 것은 주먹이며 행동이다. 갇혀 있는 것은 벽 너머의 누군가만이 아니라 벽 이쪽의 나이기도 하다. 기사의 메시지가 강렬한 시구만큼이나 생생하게 마음을 두드렸다.
권채원 나도 소수자다, 이주민이다
광고
경기도 수원 여성 납치 살인사건 등을 바라보는 복잡한 심정 안에서도, 다문화주의야말로 현상이나 윤리를 지칭하는 통 큰 개념이자 해결책이라고 이해해온 이들을, 특집1 ‘우리는 모두 이주민이다’는 또 한 걸음 이끈다. 값싼 노동력 이주로 인한 지배와 착취, 빈곤 불평등을 가리려는 장막으로 이용되는 다문화주의의 불편한 진실. 방법은 간단하다. 나도 어느 곳에서 어느 순간 ‘소수자’이며 ‘이주민’이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해 인종적 타자에 대한 진정 어린 존중으로 연대해야 한다는 것.
이정주 뜨거운 남자, 장하준
그가 지나간 자리엔 늘 논쟁의 불이 붙는다. 그가 던진 한마디에 한국 지식인들은 기존 구도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찾지 못해 당황해한다. 표지이야기 ‘장하준 넌 누구냐’는 그래서 뜨거운 감자다. 기존 진영 논리나 역사의식으로 그를 해석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대안이 없다는 약점에 시달리던 진보 진영에 그는 소금 같은 존재다. 그를 중심으로 한 이 논쟁이 계속되길 바란다. 반복되는 레퍼토리, ‘불가피한 현실적 선택’이라는 명분으로 정체됐던 대한민국이 변화할 수 있는 신선한 충격이기 때문이다.
장슬기 희망과 기대와 응원을 보내며
광고
짧은 인터뷰(정치 ‘날아오르지 말자, 빛나려 하지 말자’)에서 감동을 느꼈다면, 그 인생의 진정성은 주목할 만하다. 이타적 삶을 살다 감옥 생활까지 감내한 사회운동가가 자신이 ‘오만했다’는 겸손한 고백을 했고, 지금의 20대에게는 미안함을 표시했다. 이런 멋진 사람이 곧 국회에 들어간다. 민주통합당 비례대표 은수미 당선인, 그녀는 자신의 소명이 누군가를 날아오르게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비록 이번 총선이 패배와 상처로 얼룩졌지만 그를 통해 더 나은 세상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되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최상목, 국회서는 “외환 안정 문제 없어”…뒤로는 ‘강달러’ 투자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정권찬탈용 악성코드” “IS식 협박”…한덕수 재탄핵 언급에 나경원·윤상현 발끈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