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자료사진
Q. 내가 뀐 방귀 냄새는 그다지 심하지 않은데 다른 사람의 냄새는 아주 심하게 느끼는 경우가 많지요. 같이 사는 배우자도 마찬가지로 느끼고 있으니 저만의 경우는 아니겠지요? 심리적인 이유일까요, 아님 내 몸에서 나온 것이기에 내 몸의 성분이 포함돼 있어서 거부감이 덜 느껴지는 걸까요?(독자 이응구)
A. 독자 이응구님께서는 ‘예전부터’ ‘항상’ 궁금했던 질문이라고 하셨습니다. “처음 방귀를 트는 긴장의 시간이 지나다 보면 아무리 사랑스러운 배우자라도 냄새는 어쩔 수 없다”라고 고백하셨습니다.
방귀는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등으로 구성된 무색무취의 가스입니다. 색이 있거나 냄새가 심하다면 이것은 음식 분해 결과물과 그 분해물질로 나온 암모니아 때문입니다.
광고
우선 최근 결혼한(또는 연애를 시작한) 동료들에게 물었습니다. “방귀를 텄느냐?” 다섯 커플 모두 100%입니다. “냄새가 나더냐?” 웃자고 한 질문에 쉽게 대답한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두 사람은 “냄새가 안 나는 게 이상한 것 아니냐”고 쿨하게 답했고, 한 사람은 “메뉴에 따라 다르다”는 바라지도 않은 디테일한 묘사를 해댔습니다. 두 명은 끝까지 “냄새만은 노코멘트”로 일관했습니다. 아마도 당사자의 신분을 노출할까 두려웠기 때문이거나 방귀로 사랑의 정도를 시험받는 게 유치하다 여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세 번째 질문입니다. “내 것보다 그이의 것이 훨씬 역하더냐?” 냄새에 대해 언급한 두 사람은 “솔직히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다른 사람의 방귀 냄새가 더 지독하게 느껴지는 이유, 전문가에게 물었습니다. 서울가정의학과의원 심병택 원장의 첫 대답은 “…”였습니다. 마지막 진료를 마친 목요일 저녁 6시30분에 할 수 있는 의학 상담으로는 적절치 않다고 판단할 수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심 원장은 “일단 그것에 대해서는 의학적으로 설명하기보다 의학 ‘상식’으로 설명하는 게 적절할 듯하다”며 진지하게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감각 중에 낯선 환경에 상대적으로 빨리 적응하는, 달리 말해 둔감해지는 것이 바로 후각입니다. 특히나 자극적인 냄새에는 더 빨리 둔감해집니다. 그래서 아무리 냄새가 역한 환경이라도 금방 적응이 됩니다. 그런데 내 몸에서 나는 방귀 냄새는 하루에도 수차례 맡을 수밖에 없습니다. 건강한 성인은 하루 평균 14회에서 25회까지 배출하게 됩니다. 그 횟수만큼 냄새에 적응하게 되는 것입니다. 타인의 방귀 냄새도 같은 이치입니다. 역한 냄새가 적응되지 않은 상태로 갑자기 코로 흡입되니 그 자극은 자신의 적응된 냄새보다 더 강하게 인식될 수 있습니다.
혹시 배우자와 방귀를 트지 못하는 이유가 배우자가 방귀를 뀌지 않아서라면 양파·당근·바나나 등을 권하시면 횟수가 급격히 늘어 이른 시일 안에 방귀를 트실 수 있습니다. 그 반대로 방귀가 잦아 창피하기 이를 데 없다면 토마토·생선 등이 횟수를 줄인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최상목, 국회서는 “외환 안정 문제 없어”…뒤로는 ‘강달러’ 투자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