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권하는 사회’라는 표현이 가슴을 친다. 다른 나라에서 불법체류하는 우리 국민도 있지만, 막상 우리 땅에서 그런 상황이 벌어졌을 때 우리도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사에 소개되지 않은 가슴 아픈 이야기들은 또 얼마나 많을까? “교육에서 소외된 채 노동하고 살아가는 아이들이 결집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며 아이들을 잘 길러낸다면 엄청난 인적 자원이 되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재앙”이라는 전문가의 말을 새삼 곱씹어보게 된다. 다양한 사연을 접하면서 그들의 삶을 한 번 더 생각해볼 수 있었는데, 각 케이스에 대해 어떤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할지 또 실태는 어떤지에 대한 후속 보도가 있기를 바란다. 인권 관련 기획이 30회나 이어진다니 자못 기대된다. popula
광고
대통령은 단란주점 철수시켜라
‘2차 돼요? 남자 하기 나름이죠’를 읽었습니다. 기사 내용으로는 아직까지 법적으로만 본다면 문제가 안 되겠지만 도의상 이 건물에서는 단란주점 등의 업소는 자진 철수하는 것이 나중을 위해서도 좋을 듯합니다. 어차피 조만간 문제가 되어 문을 닫아야 할 텐데 미리 하면 좋은 소리를 듣겠지요. 김영해(kiminorg12)
광고
‘권력의 표준어 경상도 말’을 읽고
저는 마산에서 태어나 쭉 자랐고 서울 근처에서 4년간 직장생활을 한 뒤 현재는 창원에 살고 있습니다. 서울 사람들이 흔히 하는 ‘지방’(마산·창원을 시골이라 해서 깜짝 놀랐습니다)이라는 말과 지방 사투리는 서울 중심 사고에서 나온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서울이라는 개념보다 수도권이라고 하죠. 이십 몇 년 전만 해도 용인, 오산이 어디 수도권이었습니까. 지금은 천안까지도 수도권이라 하죠. 조금 더 화끈하게 대구까지 수도권이라 하는 게 좋지 않겠습니까. 공장들이 거의 떠나가고 인구마저 줄어드는 지방. 그 지방에 사는 젊은이들에게 모든 것이 몰려 있는 수도권과 서울말은 하나의 로망이 아닐까요. 내가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고 지방, 지방 하지 마시고 지방 사람들도 이 조그만 나라에서 자기 고향말 사용하는 것을 부끄럽다 맙시다. 조포가이(wideroot2)
광고
‘표준어’가 사라진 한국 사회
‘권력의 표준어 경상도 말’이란 표현에서 현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사고를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지역주의를 조장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우리가 사투리를 사용하는 일에 편견을 갖지도 말아야 할 것이다. ‘표준어’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사용하는 서울 말’인데 서울과 인천, 경기 모두 하나의 생활권이 되다 보니 서울말에도 사투리가 만들어졌다. 그러므로 언어도 각 지방마다 하나의 문화이다. 문화는 우열이 없다. 현 사회는 권력이 문화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와 지역주의에 민감한 것 같다. 한국 사회에서 지역주의와 언어에 대한 편견은 빨리 사라져야 할 과제다. 표준어 없이도 한국 사회에서 의사소통하는 데는 별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제도가 아닌 마음이 상대방을 헤아리는 데 큰 역할을 하지 않을까 한다. 박종형(myplaza21)
한나라당 대표 누구는 안 된다?
한나라당 당대표 문제가 복잡하게 얽히고 있다. 강재섭 대표는 당대표로서는 능력이 없는 것 같다. 당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복당 문제를 거론하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 공성진 의원의 “박근혜, 정몽준은 당대표 출마하지 말라”는 발언은 좀 유치하게 들린다. 자신 있으면 정정당당히 경쟁해야 하는 것 아닌가? 서울 압승을 공성진 의원의 공으로 생각하는 것도 모순이다. rlawornjs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나경원의 ‘태세 전환’, 윤 파면되니 “이런 결과 예상”
파면된 윤석열 사과도 승복도 없이…“국힘, 대선 꼭 승리하길”
헌재, 윤석열의 ‘적대 정치’ 질타…야당엔 관용과 자제 촉구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금리 내려라” “못 내린다”…파월, 트럼프와 정면충돌
시장도 환호했다…헌재 결정 20분간 원화가치 급등
“아이유 ‘탄핵 집회 선결제’는 혜안” 여연갤 성명문…팬덤 사칭 논란도
김동연 경기지사 “대한민국 파괴하려던 권력 국민 심판에 무너져”
“윤석열이 파면되이 와 이래 좋노∼” 대구·경북 시민들 축제
검찰독재정권 2022.05.10~2025.04.04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