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용후핵연료’라 부르는 ‘고준위핵폐기물’ 관리정책 결정을 앞두고 핵발전소 주변 지역주민과 시민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 때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해 논의를 시작했지만, 지역주민을 배제한 비민주적 구성과 운영 끝에 일방적인 권고안을 내놓고 활동을 종료했다.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국정과제 60번’에 올려 재공론화를 약속한 문재인 대통령은 2019년 5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를 공식 출범시켰다. 하지만 1년 넘게 재검토위를 이끌었던 정정화 위원장도 2020년 6월26일 “이번 재공론화가 숙의성·대표성·공정성·수용성을 담보하지 못한 채 파행을 거듭하고 있으며, 박근혜 정부에 이어 두 번째 공론화도 실패했다”고 선언한 뒤 중도 사퇴했다.
잘못된 재공론화에 대한 진단과 반성·사과를 해야 할 산업통상자원부는 위원장 사퇴 닷새 만에 화상 임시회의를 열어 새로운 위원장을 선출했다. 또 전국공론화와 지역공론화를 동시에 추진한다. 전국공론화에 참가한 시민참여단 501명은 수십 명씩 나뉘어 토론한다. 이들은 공론화를 한다면서도 참여자들에게서 비밀을 준수하겠다는 ‘윤리·보안 서약서’를 받았다. 반대 집회를 원천 봉쇄하려는 듯 토론회 일정과 장소도 여러 차례 바꾸고 화상회의 형식으로 진행한다. ‘비밀주의’ ‘게릴라식’ 등을 고집하면서 토론회는 파행으로 치닫고 있다.
공론화 과정에는 월성핵발전소에서 7㎞ 거리에 있는 울산 주민들이 배제됐다. 울산 북구에서 시민사회가 주관한 주민투표에 5만 명 이상 참여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맥스터) 건설에 94.8%가 반대 의사를 밝혔지만 외면당했다. 7월18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기로 했던 지역공론화 150명 시민참여단 토론회도 코로나19 방역을 핑계로 화상회의로 바꿔 진행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시민참여단 집을 가가호호 방문해 노트북을 설치하기까지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를 치르면서 “이윤보다는 생명” “나라다운 나라”를 말했다. 문 대통령이 말한 ‘제대로 된 공론화’가 이런 방식이었는지 지역주민들은 묻는다. 산업부가 대통령의 뜻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도 묻는다. 미래 세대를 위한 ‘10만 년의 책임’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답하고 결단하기를 기대한다.
경주·울산=사진·글 장영식 사진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대답하라고 악쓴 윤석열…총 쏴서라도 끌어낼 수 있나? 어? 어?”
‘윤체이탈’ 윤석열…“살인 미수로 끝나면 아무 일 없었던 게 되냐”
15억 인조잔디 5분 만에 쑥대밭 만든 드리프트…돈은 준비됐겠지
계엄 ‘수거 대상’ 천주교 신부 “순교할 기회 감사”
홍장원 “내가 피의자로 조사받는 거 아니잖냐” 받아친 까닭
윤석열, 의원 아닌 “간첩 싹 잡아들이라 한 것” 누가 믿겠나
“급한 일 해결” 이진숙, 방송장악 재개?…MBC 등 재허가 앞둬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WSJ “트럼프, 불법이민자 관타나모 수용소 이송…군대 투입”
김용현 “애국청년 위로하려”...‘서부지법 난동’ 30여명에 영치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