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다리를 되찾았다. 삶의 희망도 되찾을 수 있을까?’ 지난 11월12일 국제적십자·적신월사(ICRC)가 운영하는 아프가니스탄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한 소녀가 엄마의 새 의족을 신기한 듯 만져보고 있다. REUTERS/ JERRY LAMPEN
잃어버린 게 어디 팔, 다리뿐일까. 폭약이 훑어내린 몸뚱이, 꿈도 희망도 한꺼번에 사라졌으리라. 치명적인 그날, 곁에 있던 가족마저 떠나갔다면…. 살아남은 게 더 이상 축복은 아닐 터다. 전쟁이 만들어낸 무간지옥, 그 땅에 갇혀 사람이 살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서부 알리아바드, 카불대학로 한쪽에 국제적십자·적신월사(ICRC)가 운영하는 정형외과센터가 자리잡고 있다. 1987년 카불에 사무소를 마련한 ICRC가 이듬해 가장 먼저 시작한 사업이 정형외과센터였다. 전쟁으로 찢기고 상한 육신에 새 희망을 가져다주는 일은 지금껏 계속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공식 통계조차 없는 아프간, ICRC는 현재 아프간에 이동 장애가 있는 이들만 약 8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 중 약 4만 명은 몸의 일부를 잘라낸 이들이다.
‘삶은 오래 지속된다.’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진료를 마친 한 소녀가 한 손으로 목발을 짚고 다른 손은 엄마에게 맡긴 채 집으로 돌아가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광고
‘꿈, 되찾을 수 있을까?’ 목발에 의지해 센터를 찾은, 다리를 잃은 한 아프간 소녀가 처연한 표정으로 진료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소아마비로 장애를 겪고 있는 한 아프간 어린이가 센터에서 보행 보조기를 낀 채 어머니의 손을 잡고 걷기 연습을 하고 있다. AP PHOTO/ ALTAF QADRI
센터에서 일하는 현지인 직원은 300명, 이들은 모두 장애인이다. 한 직원이 자신의 의족을 고쳐 끼우고 있다. REUTERS/ JERRY LAMPEN
‘누군가의 손이 되고 발이 될….’ 이곳 센터에선 한 달 평균 1800여 개의 의족을 만들어낸다. REUTERS/ JERRY LAMPEN
광고
세계 최대 규모의 재활시설 중 하나로 꼽히는 카불 정형외과센터에서 일하는 현지인 직원은 모두 300명을 헤아린다. 이들 모두 장애인이다. 한 해 이곳에서 제작하는 의수·의족은 약 1800개, 휠체어와 목발 등 보행 보조기도 각각 1천 개와 6천 개가량 만들어진단다. 센터가 문을 연 뒤 지금까지 약 9만1천 명이 이곳을 거쳐갔다. 소아마비나 뇌성마비 등 질병에 의한 장애도 돌보고 있지만, 환자의 약 80%는 전쟁이 만들어냈단다. 전쟁은 오늘도 불을 뿜지만, 삶은 계속돼야 한다.
글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윤석열 탄핵심판 지연에 경찰 피로도 극심…1월 초과근무 113시간
검찰, ‘칠불사 회동’ 천하람 불러…김건희 공천개입 폭로 논의 조사
“농담 아냐, 방법 있다”…트럼프 헌법 금지된 3선 도전 언급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1년5개월 만에 공매도 돌아온 첫날…코스피 지수 장중 2500 깨져
나란히 앉아…[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