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기업 노동자 한광호씨가 자결했다. 함께 노동조합 활동을 했던 동료들은 비통한 심정으로 장례식장을 지키고 있다. 어디서부터 잘못됐던 것일까. 2011년 5월, 직장 폐쇄 뒤 호형호제하던 동료들과 무기를 들고 마주해야 했을 때였을까. 동료들이 목숨을 건 고공농성을 진행하던 때였을까. 아니면, 노조 활동을 이유로 유성지회 조합원에게만 고소·고발과 징계를 쏟아붓던 때였을까. 그 모든 일의 피로감 때문이었을까.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뀐 현실에 화가 나고 억울했을까.
얼마 전 유성기업 노동자 중 우울증 고위험군이 무려 43.3%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노조 파괴 시나리오가 밝혀지고 심지어 현대차의 지배 개입 사실마저 드러났다. 그러나 그 책임자들은 수년이 흐르는 동안 아무도 처벌받지 않았다.
2012년에는 직장 폐쇄 이후 ‘구사대’ 활동을 강요받았던 유성기업 노동자 유아무개씨가 우울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복수노조를 악용한 노조 파괴 시나리오는 현재진행형이며 여전히 현장에는 서슬 퍼런 긴장감이 흐른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됐을까. 답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사회에서 희망을 찾지 못한 숨결이 한 명씩, 한 명씩 사그라든다.
광고
사진·글 워커스 정운
※카카오톡에서 을 선물하세요 :) ▶ 바로가기 (모바일에서만 가능합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영주권 있어도 공항서 체포·추방…공포에 질린 미국 교민들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사제들 “억장 무너지고 천불이 난다…재판관들, 정의롭게 결정하라”
‘김건희 명품백’ 담당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그냥 이대로 살까? 순방은? [그림판]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몸 못 가눈 어르신 ‘화장실도 천리길’…화마가 드러낸 인구소멸지역 민낯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