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 부다페스트(헝가리)=사진 AP연합·
‘임계질량.’(Critical Mass)
핵분열 물질이 연쇄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선 어느 정도 이상의 질량을 넘어서야 한다. 한계량을 넘어서지 않으면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1992년 9월25일 금요일 오후 6시. 미 서부 샌프란시스코에서 첫선을 보였을 때만 해도 참가자는 스무 명 남짓에 불과했다. 이후 매달 마지막주 금요일이면 어김없이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뜨거워지는 지구를 살리자’는 거창한 구호 따윈 애초 내걸지 않았다. 그저 시간과 장소를 정해 도시를 관통하며 무리로 달렸다. ‘크리티컬 매스’의 떼거리 ‘잔차질’은 그렇게 시작됐다.
[%%IMAGE4%%]
지난 4월20일 일요일, 동유럽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에 수천 명의 자전거 동호인들이 몰려들었다. ‘지구의 날’을 이틀 앞둔 이날 ‘크리티컬 매스’는 부다페스트를 관통하며 즐거운 ‘시위’를 벌였다. 떼거리 질주를 마친 참가자들이 자전거를 머리 위로 치켜든다. 지구라도 들어올릴 기세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상식 저버렸다…당장 파면하라”
‘김건희 명품백 사건’ 처리 뒤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영주권 있어도 공항서 체포·추방…공포에 질린 미국 교민들
그냥 이대로 살까? 순방은? [그림판]
헌재 사무처장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 절차 작동돼야”
평생 삶터 불탔는데 “파괴의 미학”이라는 경북지사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