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파괴된 사회를 비추는 파괴된 사나이

유괴된 딸을 찾는 목사 아버지의 사투를 좇는 영화 <파괴된 사나이>
‘형식과 내용의 불일치’ ‘윤리 없는 미학’의 극단적 전시
등록 2010-06-23 20:48 수정 2020-05-03 04:26
영화 〈파괴된 사나이〉

영화 〈파괴된 사나이〉

유괴범에게 딸을 납치당한 뒤 8년, 목사인 아버지는 믿음을 잃은 채 피폐한 삶을 살고, 어머니는 미친 듯이 딸을 찾아헤맨다. 는 8년 만에 딸이 살아 있다는 유괴범의 전화를 받은 아버지가 딸을 구하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영화다. 영화는 두 요소가 섞여 있다. 첫째는 딸을 빼앗긴 부모의 ‘파괴된’ 삶이고, 둘째는 유괴범과 아버지의 대결이다. 와 가 만난 꼴이랄까? 괜찮은 조합일 수 있다. 문제는 부모의 ‘파괴된’ 내면이 초반 이후 평면적 설정 이상의 힘을 갖지 못하는데다, 후반부에서 주력하는 추격 장면들 역시 의 박진감을 보여주지 못하는 데 있다.

영화의 시작은 아주 좋다. 암전 상태에서 ‘그놈 목소리’가 들리고, 아이스링크에서 돈가방을 들고 허둥대는 아버지(김명민)의 모습과 뉴스클립이 겹치면서, 교회에서 성의를 입은 그가 용서에 관한 강론을 펼친다. 경건한 목소리로 “일곱 번의 일흔 번까지 용서하라”는 말씀을 전하다 미간이 움찔댄다. 옷가지가 발견된 장면이 다시 삽입되면서 강론을 마친 주인공이 성의를 벗어던지고 앞으로 걸어나오며 “×까구 있네”를 뇌까린다.

라는 타이틀이 뜨기 전 불과 몇 분 만에 8년 전 상황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편집 솜씨와 한 번의 롱테이크 속에 신실한 목사의 얼굴에 깃드는 불신의 그림자와 지독한 냉소를 그대로 이어가는 김명민의 연기는 진가를 뽐낸다. 하지만 이런 만듦새는 뒤로 갈수록 힘이 빠진다. ‘파괴된’ 남자가 딸에 대한 믿음을 불씨 삼아 아버지로서 행동에 나설 때, 그의 내면은 평면적으로 도식화된다. 또 하나 중요한 감정의 축인 어머니는 일찌감치 의식을 잃은 채 보험금으로만 남는다. 영화의 마지막, 주인공이 ‘한 번도 잊은 적이 없냐’는 딸의 질문에 만감이 교차되는 표정을 지을 때, 관객 역시 영화가 처음 중요하게 다룰 듯 제기한 ‘믿음을 잃은 자가 다시 신심을 회복해가는 내면의 과정’이 도중에 망실돼버렸음을 깨닫게 된다.

파괴된 사나이 < 그놈 목소리+추격자

는 에 많은 것을 빚지고 있다. 범인이 평범해 보이는 하층계급 노동자로 예술적 감각이 뛰어나고, 교회의 작업을 해주고, 목회자를 범행 대상으로 삼았다는 설정은 와 겹친다. 두 사람의 첫 마주침이 하필 차를 빼라는 실랑이고, 마지막 두 사람이 현관문에서 딱 마주치는 장면까지 를 연상시킨다. 택배기사 부부가 범인에게 어이없이 도륙당하는 장면도 의 ‘개미슈퍼’ 장면을 닮았다.

그러나 악역에 대한 묘사는 와 큰 차이가 있다. 엄기준이 표현하는 악역은 하정우가 지닌 ‘모호한 섬뜩함’이 없다. 정말 공포스러운 캐릭터는 관객이 그의 표정을 봐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인물이다. 하지만 엄기준이 표현하는 악역은 백지장처럼 얇은 피부 두께를 지닌데다 눈맞춤(eye contact)도 잘돼, 무슨 생각을 하는지 훤히 들여다보인다. 얄팍하고 변덕스러운데다 투명하기까지 한 그는 관객에게 둔중한 공포 대신 혼란스러움과 신경질을 유발한다. 그러나 이는 사이코패스의 인격적 특징이다. 사이코패스는 감정능력이 현저하게 부족하기 때문에, 감정은 피상적이고 단기적이다.

영화가 사이코패스를 통해 말하려는 바는 분명하다. ‘내용과 형식의 완벽한 분리’라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리얼하게 풍자하는 것이다. 주인공이 ‘믿음을 잃은 목사’라는 불일치를 견딜 수 없어 옷을 벗을 때, 그는 아직 진실하다. 그러나 그가 타락했을 때, 로비하는 술판에서 멋들어지게 를 부르면서도, 가사의 의미와 불일치를 인식하지 못한다. 범인이 교회에 기도하는 자세로 앉아 있고, 목사의 “살인하지 말라”는 강론이 들린다. 범인은 지그시 눈을 감고 듣지만, 그는 메시지가 아니라 음향을 들을 뿐이다. ‘귀가 있는 자는 알아들으라’ 하였지만, 그는 예민한 귀로 ‘들을’ 뿐, ‘알아듣지’ 못한다. 기능과 의미의 불일치. 그는 끔찍한 범죄를 통해 얻은 돈으로 최고의 음향기기를 사려 한다. 감금된 소녀가 눈물 흘리는 장면과 나체의 범인이 진공관의 울림 하나하나를 살갗으로 느끼며 눈물짓는 장면은 ‘내용 없는 형식’, 즉 ‘윤리 없는 미학’의 극단적 광경을 신랄하게 전시한다.

그런 의미에서 는 의 대우명제다. 가 ‘아름다움의 추구는 궁극적으로 윤리적 결단을 도출할 수밖에 없음’을 전한 영화라면, 는 ‘아름다움의 추구가 윤리적 감수성과 전혀 만나지 못하는 상황’의 역설을 사이코패스를 통해 전한다.

사이코패스 친화적인 자본주의

사이코패스는 타인의 감정이나 고통에 무관심하고, 타인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에만 관심이 있다. 이들이 모두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자본주의 경쟁사회에서 성공하는 경우도 많다. 사람들 사이의 감정적 교류는 말살되고, 물질과 화폐를 매개로 한 물신적 관계가 주를 이루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사람의 마음이 없는’ 사이코패스가 ‘호모 이코노믹스’로서 최상의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건 당연하다.

아기 손의 금반지를 갖기 위해 손가락을 자르거나 돈을 얻기 위해 아이를 유괴하는 범죄자에게는 치를 떨지만, 개발이익을 위해 주민을 쫓아내거나 기업 합병을 통해 노동자를 해고하는 ‘성공한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요구하는 ‘품성’이 바로 ‘사이코패스-되기’라는 사실은 자주 간과한다. 성공한 사이코패스들이 윤리 없는 미학에 도취돼 악어의 눈물을 흘리는 오늘날, 얼마나 많은 ‘파괴된 사나이’들이 믿음을 잃고 딸을 찾아헤매는가?

황진미 영화평론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