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천 년 동안 대마는 의복과 식량 등 석유제품으로 생산하는 대부분의 것들을 만드는 데 써온 원재료입니다. …마리화나는 여러분을 기분 좋게 하고 웃게 만들지만, 숙취는 없어요. 알코올과는 달리, 술집에서의 싸움이나 아내 폭행으로 이어지지도 않습니다. 이렇게 무해한 식물이 왜 불법일까요? 마리화나를 시작하면 마약의 길로 빠져드나요? 아닙니다. 술 때문에 마약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더 큰데도, 술은 무지막지하게 광고를 합니다. 내 생각에 대마가 불법이 될 만한 유일한 이유는 ‘주식회사 미국’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의회’를 쥐고 있는 ‘주식회사 미국’은 팍실·졸로프트·자낙스(이상 항우울제 계열 의약품) 등 중독성 약품을 여러분에게 팔면서 그 이익의 일부를 챙기는 게, 여러분이 집에서 대마를 재배하는 것보다 이익이라고 생각한 거죠. 정말 우스꽝스러운 정책입니다. 에너지 자원의 국외 의존도를 높이는 데도 한몫 거든 게 분명하고요.”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은퇴를 선언한 펀드매니저 앤드루 라드가 자신의 투자자들에게 남긴 편지의 일부다. 라드는 편지 대부분을 워싱턴 정가와 월가에 대한 쓴소리로 채운 뒤, 마지막에 대마초 합법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마치 그의 소원이 이뤄지기라도 한 듯이, 2014년 1월1일 미국엔 대마초의 전면적인 유통을 허락하는 주가 탄생했다. 콜로라도주다.
콜로라도주에서는 136개의 대마초 판매허가권이 발급됐고, 주도이자 최대도시인 덴버에선 18곳의 가게가 이날부터 대마초 판매를 시작했다. 말린 잎, 쿠키, 빵 등 형태도 가지가지다. 워싱턴주도 올해 안으로 같은 조처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래스카·오리건·애리조나·캘리포니아·메인·매사추세츠·몬태나·네바다 등 8개 주에선 2016년까지 합법화에 대한 투표가 실시될 전망이다. 델라웨어·하와이·메릴랜드·뉴햄프셔·로드아일랜드·버몬트 등 6개 주에서도 입법안이 추진 중이다.
캘리포니아 등 8개 주 합법화 투표 앞둬
어느 나라가 됐건, 마약 정책은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논쟁을 수반한다. 개인의 권리와 집단의 권리에 대한 철학적 고민이 배경에 깔려 있기도 하다. 과거 유럽과 미국은 이 지점에서 갈라졌다. 네덜란드는 젊은 층 사이에 대마초 사용이 광범위하게 퍼지던 1960년대 후반 대마초 비범죄화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대마초 사용이 일탈을 부추기진 않을 것’이라는 데 이르렀고 1976년 비범죄화를 결정했다. 1990년대 이후 스위스·독일·스페인·벨기에·이탈리아·포르투갈 등은 네덜란드와 같은 길을 걸었다. 영국도 2004년 ‘재분류’를 거쳤다.
반면 미국의 약물 정책은 1990년대까지 철저한 금지주의를 택했다. 마약에 대한 형사처벌을 강화했다. 국외로부터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급지를 파괴하는 등 ‘공급 차단’ 정책을 실시했다. 약물 사범에겐 어떤 관용도 허하지 않고 범죄자로 다루는 ‘수요 차단’ 정책도 나왔다. 약물 사용이 범죄와 연관되는 경우가 늘었고, 사용자들은 범죄자로 다뤄졌다. 약물은 종류에 따라 소비 패턴이 있으므로 저마다 규제 및 관리 방안이 달라야 한다는 주장은 묻혔다. 대마초를 코카인·헤로인 등과 더불어 ‘마약’으로 통칭하며 그 사용자가 범죄와 무관해도 범죄자로 다뤄지는 한국 사회의 시각은, 따지고 보면 미국식인 셈이다.
지금도 미 연방정부는 같은 태도를 고수한다. 연방정부는 어떤 목적으로도 대마초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식품의약국(FDA)이 신약에 대해 요구하는 엄격한 임상시험과 과학적 조사를 거쳐 승인을 얻어야 한다는 원칙론이다. 대마초가 함유한 500개 물질 가운데 일부는 약학적으로 성분이 규명돼 처방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안전성 면에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한겨레 인기기사
‘받는 사람 : 대통령님♥’…성탄카드 500장의 대반전
김용현 요구로 ‘북 개성 송전탑 철거영상’ 계엄 날 공개됐다
이준석 “여성 높은 집회 참여율? 치안 좋아서…남성들은 군대에”
이승환, 구미 공연 취소에 스태프 보상금…“그들 없인 무대 없어”
숨진 북한군 손편지 “로씨야에서 생일 맞는 나의 동지야”
끝이 아니다, ‘한’이 남았다 [그림판]
국힘 권영세 “헌법재판관 임명안 통과하면 헌법소원 간다”
응원봉 물결친 남태령의 밤…난 농사를 더 열심히 짓기로 했다 [기고]
광복회장 “윤석열 부친, 아들이 뭐 모르고 자랐다며…”
윤석열, 2차 출석요구도 불응…공수처 “향후 대응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