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3월 미국의 이라크 침공을 떠올리면 될까? 거짓 정보에 기댄 주류 언론의 특종과 이를 둘러싼 음모, 때맞춰 울려퍼지는 전쟁의 북소리까지 고스란히 닮아 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둘러싼 한 편의 ‘소극’을 바라보는 마음이 편치 않은 이유다.
“아마추어의 사기극일 가능성 높다”
11월27일
취재원 보호를 위해 ‘익명’을 사용하는 것은 언론의 오랜 관행이다. 흔치 않은 것은, 기사에서 취재원의 신원은 물론 출신 국가까지 익명으로 처리했다는 점이다.
좌우 종축으로 핵폭발 지속 시간에 따른 폭발력과 발산된 에너지양을 표시한 문제의 그래프는 이란의 공용어인 파르시어로 돼 있다. 그런데 단위를 나타내는 표식 등 주요한 내용이 영어로 함께 적혀 있다. 이를 두고 미 월간 의 로버트 라이트 기자는 트위터에 “사악하기 짝이 없는 비밀 핵폭탄 개발 실험에 대한 그래프까지 친절하게 영어를 병기한 걸 보니, 이란인들은 정말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모양”이라고 적었다.
“공개된 그래프에는 두 개의 곡선이 그려져 있다. 시간에 따른 에너지양 변화와 시간에 따른 폭발력 변화를 각각 나타낸다. 문제는 두 곡선의 결론이 들어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에너지 곡선이 정확하다면, 그래프에 나오는 최대 폭발력은 제시된 것보다 무려 100만 배가량 낮게 나타나야 한다. …이 정도 그래프는 대학 고학년이나 대학원생 수준의 핵물리학 과목을 수강하면 누구나 그릴 수 있다. 인터넷만 뒤져도 찾아낼 수 있는 수준이다. 문제의 그래프는 엉터리로 분석한 것이거나, 아마추어의 사기극일 가능성이 높다.”
앞선 IAEA 폭로전의 배후에도…
남는 의문은 두 가지다. 누가, 그리고 왜 이런 짓을 벌였을까? 영국 일간지 은 12월10일치에서 “IAEA가 이란의 과거·현재의 핵 활동에 대한 조사를 벌이는 상황에서, 이란의 핵 위협을 부풀리려는 쪽에서 일부러 흘린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빈 외교가에서 만난 복수의 유럽연합(EU) 출신 외교관들의 말을 따 “앞선 IAEA 때도 ‘폭로전’이 잇따랐고, 그 배후에 이스라엘이 있었다. 이번에도 이스라엘 쪽이 무리수를 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현재까지 이란은 핵무기 개발 의혹을 사고 있는 파르친 핵시설에 대한 IAEA 사찰단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미국은 늦어도 내년 3월까지 IAEA 사찰단의 현지 조사를 허용하지 않으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다시 소집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지난 몇 달 동안 ‘이란 핵시설 타격’을 들먹여온 이스라엘은 내년 1월22일 총선을 앞두고 있다. 대충, 그림이 그려진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마은혁 불임명 직무유기”…비상행동, 한덕수 공수처 고발
[단독] 이진숙 ‘4억 예금’ 재산신고 또 누락…“도덕성 문제”
윤석열 변론 종결 38일 만에 마침표…법조계 ‘탄핵 인용’에 무게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65살’ 노인 연령 기준, 44년 만에 손보나…논의 본격화
“8대 0으로 파면하라!”…시민들, 헌재 향한 ‘집중 투쟁’ 돌입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보수 가치 외면하는 ‘보수 여전사’ 이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