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손석춘] 2년 달린 새사연, 10년 앞서 준비 중

등록 2008-03-14 00:00 수정 2020-05-03 04:25

▣ 류이근 기자ryuyigeun@hani.co.kr
▣ 사진 박승화 기자 eyeshoot@hani.co.kr

“새로운 사회를 꿈꾸십니까? 그게 어떤 사회인지 다들 생각이 조금씩 다르겠지요.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www.cins.or.kr)에서 제시하는 길은 어떨까요?”
새사연이 창립 2돌을 맞았다. 원장을 맡고 있는 손석춘씨는 지난 2006년 “삼성경제연구소와 맞장을 뜰 수 있는 진보진영의 싱크탱크를 만들겠다”며 노동자와 농민, 중소기업 경영인, 전문 직업인, 종교인과 문화예술인 등 100여 명의 ‘생활인’과 뜻을 모아 새사연을 설립했다. 새사연의 지향점은 창립 2돌 초청장에 “신자유주의와 분단 체제를 넘어서는 대안 정책의 수립”으로 잘 요약돼 있다.

3월7일 서울 서교동 삭녕빌딩의 새사연 사무실에서 만난 손석춘 원장은 지난 2년의 ‘성과’를 말했다. “독특하게도 권력과 자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아래로부터 생활인이 만들고 또 꾸려나가고 있다. 아직 삼성과 맞장 뜰 정도는 아니지만 진보진영 내 ‘새사연 모델’을 배우자고 할 만큼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연구원 목표의 특성상 새사연의 성과를 측정하기란 쉽지 않다. 다만, 손 원장은 을 시작으로 다섯 권의 새사연 신서와 지식캠프 등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이들에게 지적 자극을 줄 만한 단행본들을 냈다. 올해부터 부쩍 언론의 관심도 늘었다고 한다. 아직도 갈 길이 멀지만 수입의 10%를 연구원에 내는 운영위원 120명과 2만원 안팎의 회비를 내는 500명의 회원은 새사연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손 원장은 “이제 12명의 상근 연구원을 지닌, 진보진영의 대표적 싱크탱크로 자리잡았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그는 인터뷰 내내 ‘시민’이 아닌 ‘민중’이란 단어를 썼다. ‘왜 다시 민중인가’란 그의 생각을 전달하기엔 긴 설명이 필요한데, 그는 이렇게 말한다. “신자유주의 폐해로 빚어진 20 대 80의 사회에서 비정규직 노동자, 농민, 빈민, 영세 자영업자, 몰락한 중산층을 어떻게 호명할 수 있겠냐? 시민? 아니다. 민중이다! 우리 스스로가 민중이란 단어를 쓰길 주저하는 건, 지배세력의 틀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그가 말하는 새로운 사회도, “민중이 경제활동에서 실질적 주권을 확립하는 사회”다. 그는 10년 뒤쯤 그런 ‘새로운 사회’가 올 것으로 믿고 있었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