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국제 뉴스가 이젠 더 이상 나라 밖에서 일어난 소식이 아닙니다. 요즘 같은 격변기에는 우리의 생존이나 국가전략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우리의 문제죠.”

한-미 관계 등 국제문제 전문가인 재미 언론인 김민웅(48)씨가 8월30일 교육방송 FM 시사프로그램 (월~토 오후 4시)의 진행자로 데뷔했다. 성공회대에서 ‘인권과 평화’ ‘세계체제론과 미국’ 등의 강의를 맡아 최근 귀국한 김씨는, 세계 속의 한국과 한국 속의 세계를 차분하게 돌아보면서 안목을 키울 수 있는 특색 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씨는 국제 뉴스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1997년 말 외환위기를 예로 들었다. 그는 “당시 우리 언론이 동남아의 경제 상황의 변화를 추적하고 라틴아메리카의 사례를 보도했더라면 우리나라의 대응이 달라졌을 수 있다”며 “대선이라는 정치적 사안에 몰두하면서 우리에게 닥쳐오는 위기를 파악하지 못했던 과오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라크 전쟁이나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사례도 국제 뉴스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 좋은 사례로 꼽았다. 는 전체 프로그램의 절반가량을 국제 뉴스에 할애하면서, 20개국 30여명의 통신원을 연결할 계획이다.
광고
미국 뉴욕에 살면서 주로 신문·방송 등 언론매체를 통해 한국 사회를 만나온 그는, 방송이 낯설지는 않지만 진행을 맡은 것은 처음인 탓에 몇 가지 시선을 부담스러워했다. 반전평화, 한-미 관계 등에 관해 개성 강한 칼럼을 써온 그가 공정한 진행을 할 수 있겠느냐는 시선도 그 중 하나다. “진행자라고 해서 주요 사안에 대한 제 견해를 바꿀 생각은 없습니다. 하지만 객관적 중립이 아닌 내용적 중립과 진행자로서의 품격을 유지하고 청취자들에게 안정감과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죠.” 정치권 입문의 전 단계로 경력쌓기용이 아니냐는 질문도 많이 받는다고 했다. 김씨는 “현실 관심사를 학술적·이론적으로 정리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고 답했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전한길, 불교신자 후보에 안수기도…“재보궐서 보수우파 꼭 승리”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이 불난리를 겪고도…산불 위험에도 ‘불법 소각’ 여전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