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후원자가 말하는 “<21>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긍정적 역할” “심층 취재” “소외계층 보도”
편집장이 무작정 전화해본 후원자 6명의 ‘내가 후원하는 이유’
등록 2021-05-16 22:47 수정 2021-05-18 07:45
2020년 11월8일 <한겨레21> 독자·후원자 모임에 참석한 독자·후원자들과 기자들 모습. 박승화 기자

2020년 11월8일 <한겨레21> 독자·후원자 모임에 참석한 독자·후원자들과 기자들 모습. 박승화 기자

<한겨레21> 편집장이 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구독 수익과 광고 수익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후원 수익은 꾸준히 늘어나고 그 힘으로 <21>은 추운 겨울을 버텨내고 있습니다. 늘 궁금했습니다. 누가, 왜 <21>을 후원하는지. 그러나 코로나19 탓에 후원자를 직접 만날 기회를 좀처럼 만들지 못했습니다.

더는 미룰 수 없습니다. 2021년 5월 <21> 후원제가 온·오프라인 공간이 연결되는 새로운 형태로 거듭나는 이때, 후원자에게 그 소식을 전해야 했습니다. 5월11~12일 이틀간 <21> 후원자 명단을 뽑아 들고 휴대전화 번호를 무작정 눌렀습니다. 김남정(48), 김소라(40), 김현식(47), 변정희(53), 이남희(57), 조아무개(69) 등 후원자 여섯 분과 짧게는 5분, 길게는 25분 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갑작스러운 전화에 후원자분들은 처음에 당황스러워했지만 곧이어 <21>에 대한 응원과 걱정을 쏟아내셨습니다. 세 분은 <21>을 구독하면서 동시에 정기 후원하는 ‘구독자’이자 ‘후원자’였고, 또 다른 세 분은 <21>을 인터넷에서 만나며 힘을 보태는 정기 후원자였습니다. 가장 궁금한 것을 첫 번째 질문으로 던졌습니다.

위에서부터 창간독자 이남희씨와 독자·후원자 김현식씨가 보관하고 있는 <한겨레21> 과월호들. 이남희 제공

위에서부터 창간독자 이남희씨와 독자·후원자 김현식씨가 보관하고 있는 <한겨레21> 과월호들. 이남희 제공

“탐사보도는 인력과 돈이 많이 필요하니까”

후원을 왜 시작하셨나요?

변정희 “후원해야 언론이 똑바른 뉴스를 제공하지 않을까 싶어서다. 광고에만 의존하면 치우칠 수 있으니까. 한겨레는 다른 언론보다 조금 더 팩트(사실)에 근거해 쓰는 것 같아서 잘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요즘 매체가 무분별하게 많은데 (내 후원으로) 한겨레가 인터넷 등에 더 많이 노출되고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면 한다.”

김현식 “사회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 돈 내고 (<21>을) 보는 사람이 드무니, 그러다가 없어지면 어쩌나 싶어 (후원)하고 있다. <21>을 구독하기 전 월간지 <말>을 봤는데 그게 없어졌잖아. 그걸 목격하고 나니까 힘닿는 데까지 (<21>을 후원)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기 구독자인 두 분은 <21>의 가치와 역할에 주목하며 후원하고 있었습니다. <21>이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다시 물었습니다. “사회에서 주목받아야 하는 사건을 계속 발굴해 이슈화하지 않나. 그것이 필요한 일이다.” 김현식 후원자는 심층취재를 그 사례로 들었습니다. “일간지는 그날그날 일어난 일을 잠깐 알아보고 오후에 기사를 마감하잖나. 뉴스를 전달할 수는 있지만 구조적으로 깊이 있는 기사를 쓰기가 어렵다. 시사주간지가 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21> 후원은 심층취재에 힘을 보태는 마음에서 비롯됐다고 김남정 후원자도 말합니다. “집중취재는 잘 몰랐던 사실을 독자가 알 수 있게 하기에 의미가 크다. (내가) 탐사보도에 관심 갖고 후원하는 이유다. 그런 보도는 인력이 많이 필요하고 돈도 많이 드니까. 앞으로도 (<21>이) 탐사보도, 집중취재를 잘했으면 한다.”

최근 인력과 돈을 쏟아부은 <21>의 대표적 심층취재라면 디지털성범죄 끝장 프로젝트 ‘너머n’이 있습니다. 2020년 아카이브(stopn.hani.co.kr)를 구축하고 디지털성범죄 관련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끈질기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성범죄 연구자로 제주대에서 강의하는 김소라 후원자는 그 프로젝트에 후원합니다. “(디지털성범죄 관련) 기사가 흘러가기 쉬운데 모아놓은 곳이 있으니까 편하다. 수업할 때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자주 보여준다. 글을 쓸 때도 인용한다. 특히 디지털성범죄 조직도를 많이 쓴다. 그 아카이브를 업데이트하는 데 (<21>이) 노력과 시간을 쓰는 거니까 후원하고 싶었다. 원래 작은 단체만 후원하는데 너머n 프로젝트는 취지가 좋아서 응원한다.”

1994년 <21> 창간 때부터 정기 구독해온 이남희 후원자는 사회적 소외계층에 대한 <21> 보도에 주목합니다. “<21>은 르포든 집중취재든 다른 언론에서 취급하지 않는 기사를 많이 쓴다. 마음을 무겁게 하는 부분이 있어, 경우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어나는 사회현상을 누군가는 알려야 한다. 그것이 돈이 안 되더라도 말이다. 어려운 일이니까 후원한다. (후원금을 내고) 나는 커피 한 잔 덜 마시면 되니까.”

코로나19 탓에 <한겨레21>은 지난 1년간 독자·후원자를 직접 만날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 김현식 제공

코로나19 탓에 <한겨레21>은 지난 1년간 독자·후원자를 직접 만날 기회를 만들지 못했다. 김현식 제공

“커피 한 잔 덜 마시면 되니까”

조아무개 후원자의 마음을 움직인 것도 소외계층 보도였습니다. “18살이 되면 보육원에서 나와야 하는 ‘고아들의 18 청춘’ 이야기(제1255호)를 (인터넷에서) 읽고 이런 보도는 계속하는 게 좋겠다고 싶어서 시작했다. 사회적 약자에게 관심 갖는 그 태도가 내 마음에 와닿았다. (세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비슷한 사람이 열심히 하는 것, 아주 보기 좋다. 그래도 (언론이) 장사는 돼야 하는데 싶었고 나라도 힘을 보태야지 했다.”

두 번째 질문은 망설여졌지만 용기 내어 물었습니다.

<21>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도 있나요?

김남정 “인터넷으로 보는데 이상한 뉴스도 종종 있다. <조선일보>와 비슷한 느낌의 기사가 눈에 띌 때가 있다. 내가 후원하는데 이상한 기사를 쓰는구나 싶어서 기분이 안 좋아진다. 그런 일이 많이 줄었으면 좋겠다.”

김현식 “2012년부터 (정기) 구독했는데 이번에 연장할 때 망설였다. 요즘 여성 문제를 많이 다루는데 너무 여성 쪽으로 쏠려 있어 마음에 안 든다. 예전에는 기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도 빼놓지 않고 다 읽었는데 최근에는 안 읽는 기사도 생겨났다. 그렇지만 논조가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다고 구독을 끊는 게 옳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남희 후원자는 “<21>과 헤어지고 싶은 마음이 들 때도 있었지만 어느 순간, 사라지면 안 될 것 같은 마음이 커졌다”고 말합니다. 그가 탐사·심층·기획 보도를 강화하는 ‘취재 후원’ 대신 ‘구독 후원’을 선택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구독 후원을 하면 가정 형편이 어려운 청소년과 대학생 등에게 <21>이 보내집니다. “종이잡지를 안 보는 시대지만 동네 도서관 등에 깔아놓으면 누군가는 보지 않을까 싶었다. 한두 사람이 보더라도 말이다. 모르잖나, 그들이 (<21>을 만나) 어떻게 (삶이) 달라질지. 한겨레 창간주주이기도 하고 어렵다고 할 때 (재창간 등에) 십시일반의 마음도 얹어놨다.”

“누군가 <21> 만나 삶이 달라지기를”

후원자들과의 전화를 마무리하며 저는 ‘동지’라는 단어를 떠올립니다. 평소 쓰지 않던 말이라 새삼스레 국어사전을 찾아봅니다. “목적이나 뜻이 서로 같음. 또는 그런 사람.”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후원자 여러분, 당신들 덕분에 <21>의 미래는 불안하지만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손을 맞잡고 지치지 않고 더 힘껏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정은주 편집장 ejung@hani.co.kr

*이어진 기사 - <한겨레21> 후원제가 더 커집니다 
http://h21.hani.co.kr/arti/reader/together/50358.html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