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은 아름답다. 정보기술(IT) 업체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는 김유경(26)씨는 하고 싶은 것 많고, 알고 싶은 것 많은 씩씩한 청춘이다. 명품보다 ‘경험’이 중요하다며 모은 돈으로 홀로 여행을 다닌다는 그는, 자기가 사는 세계에 대한 궁금증으로 건강해 보였다. 건강함은 공감 능력을 낳는 것이어서, 그는 고공농성을 하는 노동자들의 이야기인 을 읽고 자꾸 마음이 쓰였다. 인간이 존중받는 사회를 위해 이 더 분투해달라고 말하는 이 조숙한 젊은이는 요새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읽는 것으로 무더위를 이기고 있다고 했다.
1
=가끔 사보다가 지인의 권유로 지난 5월부터 정기구독을 시작했다.
광고
=그런가. 하긴 을 통해 몰랐던 세상을 많이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렇기도 하다. (웃음)
=을 챙겨 읽는다. 눈앞에 안 보인다고 존재하지 않는 게 아니라는 걸, 세상에 고난받는 사람이 여전히 많다는 사실을 아프게 배우고 있다. 어서 빨리 문제가 해결돼 그들이 무사히 땅으로 내려오길 바란다.
=딱히 그렇다고 말하긴 어렵다. 다만 노동문제가 너의 문제만이 아니라 나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린 같은 노동자니까.
=뭐, 별로 없는데 굳이 꼽자면 조금 어렵다. 시사를 잘 모르는 사람도 읽기 쉽도록 조금 쉽고 친절하게 써줬으면 한다.
광고
=아직 못 갔다. 여행을 가려고 월급을 쪼개 돈을 모으고 있다.
=인도를 한 번 더 가고 싶다. 몇 년 전에 갔는데 아직도 잊을 수 없다. 적게 가지고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걸 인도가 가르쳐줬다.
=말만 이렇다. 여전히 예쁜 옷을 보면 사고 싶은 철부지다. (웃음)
=남다른 방법은 없고, 시원한 차림으로 책을 읽는다든지 다른 데 집중하는 편이다. 얼마 전에 읽은 하루키 신작의 영향으로 요새 하루키의 예전 작품들을 다시 읽고 있는데 그 맛이 쏠쏠하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마은혁 불임명 직무유기”…비상행동, 한덕수 공수처 고발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8대 0으로 파면하라!”…시민들, 헌재 향한 ‘집중 투쟁’ 돌입
윤석열 변론 종결 38일 만에 마침표…법조계 ‘탄핵 인용’에 무게
“상법 개정안에 직 걸겠다”던 이복현, 한덕수 거부권에 사의 표명
[단독] 이진숙 ‘4억 예금’ 재산신고 또 누락…“도덕성 문제”
‘65살’ 노인 연령 기준, 44년 만에 손보나…논의 본격화
세상의 적대에도 우아한 68살 배우 “트랜스젠더인 내가 좋다”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