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겨레 자료
정말 왜 그런 걸까요? 전국의 아주머니들이 파마머리로 단결이라도 한 걸까요? 이수연 독자님도 “중년 여성 대부분은 왜 짧은 커트 머리를 할까”라고 비슷한 질문을 해주셨네요. 같이 답해드릴게요.
가족앨범에서 본 옛날 사진이 기억납니다. 흑백사진 속 30대 중반의 어머니는 파마머리가 아니었습니다. 지금의 ‘근혜 언니’ 같은 헤어스타일이었죠. 느닷없이 어머니께 전화 드려 여쭤봤습니다. “엄마, 처음 파마한 게 언제야?” “그건 왜? 용돈 줄라고?” “… 그냥 머리 기르면 안 되나?” “나이 들어서 머리 길면 귀신 같아서 안 돼야~. 근데 돈도 없을텐데 계좌번호 알지?”
졸지에 효자됐습니다. 흔히 ‘파마’로 불리는 퍼머넌트 웨이브의 유래가 궁금했습니다. 퍼머넌트는 ‘영구의, 영속의’, 웨이브는 ‘물결’이라는 뜻. 모발에 전열기 등의 열이나 약을 사용해 장기간 웨이브 형태로 고정시키는 일, 또는 그 머리형을 말한다. 전자를 히트 웨이브, 후자를 콜드 웨이브라고 한다. 퍼머넌트는 독일의 카를 네슬러가 1905년경 런던에서 발표했고, 미국에서 1915년경 실용화되었으며, 유행한 것은 1922년경부터다. 일반적으로 줄여서 ‘펌’이라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한 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국에 파마가 첫선을 보인 것은 1937년이라네요. 한국 최초의 미용사 오엽주씨가 종로 화신백화점에 근대식 미장원을 연 것이 1933년이니까, 파마의 보급이 더딘 편이었습니다. 일제 시기 퇴폐 풍조로 금지되기도 했던 파마가 해방 이후 1950~60년대에는 ‘숯파마’로 진화하기도 했습니다. 전기가 부족했던 시절, 숯불에 파마 집게를 데운 뒤 은박지를 대고 머리를 마는 식이었죠. 잘못하면 ‘숯검댕이’가 될 뻔하기도 했다네요.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파마 비용은 비쌌습니다. 경력 50여 년의 미용 명장 이온숙(79)씨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가난한 우리네 아주머니들은 한번 파마를 할 때 풀리지 않게 최대한 뽀글뽀글 말아달라고 부탁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른바 ‘아줌마 파마’의 시작이었습니다. 그 이후 80년대 전성기를 거쳐 오늘날 아주머니들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것이죠.
그렇다면 아주머니들이 파마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제가 종종 가는 미용실 팀장님에게 물었습니다. “우선은 헤어스타일을 오래 유지하는 게 목적이죠. 파마를 하면 모발에 웨이브가 생겨 볼륨감이 커지고 커트 후 손질이 쉽거든요.” 결국 나이 들면 머리숱이 적어지고 모발에 힘이 없어지는데, 이를 만회하려고 파마한다는 것입니다. 별로 나이 들지 않았는데 머리숱이 적고 모발에 힘이 없어지는 K기자가 파마하는 이유를, 같은 처지이면서도 파마를 안 하는 또다른 K기자에게 파마가 필요한 이유를 이제야 알겠더군요.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이재명, 개헌 동시투표 반대 뜻…“내란 종식이 먼저”
‘죽은 윤석열’ 누가 먼저 버릴까, 극우·국힘·검찰 [4월7일 뉴스뷰리핑]
[단독] 헌재, 프린트도 안 썼다…선고요지 보안 지키려 ‘이메일 보고’
‘윤석열의 멘토’ 신평 “윤 예언자적 점지로 국힘 대선후보 뽑힐 것”
한덕수, 내란문건 봉인하나… ‘대통령기록물’ 되면 최대 30년 비공개
신동호, EBS 부서장 인사 강행 움직임…노조 “불법적 시도”
[속보] 우원식 또 “대선·개헌 동시투표 위해 국민투표법 개정하자”
이재명, 재판 증인 다섯번째 불출석…법원 “더 소환 않겠다”
머스크, 트럼프 관세 발표 사흘 만에 “미국-유럽 무관세 필요”
대형견 차에 매달고 90분 넘게 질주한 70대 “내 개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