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독자 인터뷰 주인공은 제주도민이다. 제주도에서 무슨 일을 하느냐고 물었더니 제주대학교에 있으시단다. 알고 보니 변호사이자 교수님이시다.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교수로 재직 중인 박선아(37)씨는 “제주도에 와서 학교에 있다 보니 사회로 잘 나가지 않게 되고, 또 세 아이를 키우는 데 정신없어서 세상일에 무지해가고 있다고 생각하던 차였는데 때마침 에서 전화를 받게 됐다”고 말했다. 어쩐지 전화 걸기를 잘한 것 같다. 뿌듯하다.
1. 제주도에는 언제부터 살았나.
3년 됐다. 오기 전에는 대구에도 살았고, 서울에도 살았다. 제주도에 올 때 1살, 4살, 6살이던 아이들이 커서 지금은 4살, 7살, 9살이 됐다.
2. 태풍 피해는 없었나.
잠시 외국에 나갔다가 돌아와 바로 고향인 경북 상주에 올라가 있었다. 한 달 정도 집을 비운 사이에 태풍이 지나갔다. 제주대학교 교직원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내가 없어서 남편이 혼자 집을 지켰다. 태풍 때문에 창문이 깨지는 줄 알았다고 하더라.
3. 학교에 재미있는 일은 없나.
제주도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3학기째 ‘리걸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법학 이론 교육과 실습을 함께 하려고 만들었다. 성과라면 제주도 거주 외국인 인권 조례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다문화축제 등에도 참여해 상담도 하며 어울린다.
4. ‘아름다운 동행’ 캠페인으로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을 후원하더라.
변호사가 되고 나서 공익을 위해 일한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알게 됐다. 내가 할 수 없는 일들을 그분들은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후원한다.
5. 은 언제부터 구독했나.
정기구독을 시작한 건 변호사가 된 이후니까 2003년부터였던 것 같다. 그 전에는 생각날 때마다 사봤다. 창간 당시 제호 공모 소식을 듣고 ‘한겨레21’이 좋겠다는 생각도 했더랬다.
6. 제호가 정해지기 전에 ‘한겨레21’을 생각했다는 얘긴가.
그렇다. 새로운 시사주간지의 지향점 소개글을 읽다가 기숙사에서 “그렇다면 ‘한겨레21’이지”라고 얘기했던 게 기억난다.
7. 최근에 본 기사 중 기억에 남는 기사는.
‘노동 OTL’ 시리즈가 지금까지도 생각난다.
8. 꼭 다뤘으면 하는 기사는.
농촌과 농업이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지를 다뤄줬으면 한다.
9. 은 어떤 의미인가.
이 있어 숨통이 트인다.
10. 바라는 점이 있다면.
앞으로도 소외계층을 꾸준히 다뤄주면 좋겠다. 다른 매체가 하지 못하는 역할이다. 중산층이 없어 반토막 날지도 모르는 사회다. 경제적 약자가 정치적 약자 아닌가.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명태균은 다리 피고름 맺혀도”…명씨 변호사, 윤석열 병원행 분개
[속보] “윤석열, 일체 조사 거부”…공수처, 강제구인 무산
김진홍 목사 “윤석열 부탁으로 성경 넣어줘…대통령직 복귀하길”
‘아님 말고’ 권성동 “문형배, 이재명 모친상 조문 내가 잘못 들어”
김성훈, ‘김건희 해군함정 술 파티’ 의혹에 “폭죽은 샀다”
‘윤석열 생일파티’ 간호장교도 동원…김성훈 “당연한 행사”
공수처 “대통령실·관저 압수수색 진행 중”
‘서부지법 난동’ 58명 중 56명 구속…“도주 우려”
윤석열, 군·경호처도 검사처럼 무한 복종할 줄 알았나
여기가 내란의 나라입니까?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