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암울기에 사회복지사의 입을 대표해 인터뷰를 신청했다”는 독자 김기철(35·경북 안동시 종합사회복지관)씨는 밤늦은 시간 급작스레 이뤄진 전화 인터뷰인데도 전혀 당황하지 않고 이야기를 술술 풀어냈다. 그런데도 인터뷰를 마친 뒤 두 차례나 정성이 가득 담긴 장문의 전자우편을 보냈다. “술 한잔 하고 들어와 정신이 없었다”며 추가 답변을 보내온 것이다.
1. 뭐 그리 맺힌 게 많기에 ‘복지 암울기’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인터뷰 신청을 했나.우리 복지관이 지원하는 할머니들 중에 지난 추석 때 청와대에서 쌀을 받은 분이 20여 분 계시다. 그분들이 하나같이 “노무현 때는 아무것도 없었는데, 이명박이 최고다. 정치는 이렇게 해야 한다”고 하시더라. 실질적 복지 예산은 줄어들었고, 저소득층은 더욱 살기 어려워졌는데, 어르신들이 본질적인 문제는 못 보시는 게 답답하다.
2. 홀몸 어르신 지원 업무를 하나.내가 맡은 건 결식아동 지원사업이다. 자원봉사자와 사회복지사들이 결식아동 50명에게 매일 도시락을 배달해준다. 이 분야 예산도 많이 깎였다.
3. 아이들을 만나다 보면 기억에 남는 추억이 많을 텐데.추억보다, 아이들이 수치심을 느낄까봐 걱정이 많이 된다. 도시락을 전해주던 자원봉사자나 사회복지사가 바뀌면 아이들이 한동안 집에서 잘 안 나온다. 아이들이 원하는 건 따뜻한 마음이다. 자기한테 남는 돈을 주는 걸로 봉사했다고 생각하면, 아이들은 도움받는 걸 부끄럽게 여길 뿐 고마워하지는 않는다.
4. 대안도 많이 고민하겠다.돈은 없어도 밥상에 숟가락 하나 더 놓고 이웃과 나누는 마음이 있던 옛날처럼 이웃끼리 서로 힘을 북돋워주는 게 중요하다.
5. 모아둔 로 길을 내면 평양까지 갈 수 있을 정도라고 했다.창간주주 집안이고, 도 창간 때부터 봤다. 사춘기 때부터 대학 시절까지 삶의 이데올로기를 잡아준 게 고, 사회복지사로 10년을 지내면서 내 일의 바이블로 여기는 게 과 다.
6. 과찬이다.지난 9월 태어난 둘째딸 이름을 부모 성을 함께 써서 ‘김이한겨레’로 짓고 싶었는데, 어른들 반대가 심해서 부모 성만 쓰게 됐다. 셋째는 꼭 ‘김이한겨레’로 지어서 에 글을 보내겠다.
7. 가장 먼저 챙겨보는 기사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내용이겠다.최근엔 식당 아주머니를 다룬 ‘노동 OTL’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 기사를 본 뒤로는 고깃집에서 사람들이 고기가 빨리 안 나온다고 역정내면 “퇴근 뒤에도 복지는 계속된다! 우리가 말 한마디 잘못하면 사람의 마음이 죽는다”고 말린다.
8. 에 아쉬운 부분은.사실 아쉬운 점이 없다. 나한텐 완벽한 바이블이다.
9. 어째서 그런가.사회복지사는 약한 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싸워야 하는데, 엔 그런 내용이 담겨있다. 전국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을 권한다.
10. 너무 칭찬만 하면 인터뷰 못 나간다.음…. 도 그렇지만 은 처럼 공격적이지 못하다. 엉뚱한 생각이긴 하지만, 에 맞장 코너를 만들어서 와 를 비교해보는 건 어떨까. ‘사설 대 사설’ 이런 식으로 두 신문을 비교해서 가 어떤 신문인지 공격적으로 드러내 보여주는 거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이름이 백골단이 뭡니까”…윤석열 지지자들도 빠르게 손뗐다
경찰, 윤석열 체포 동원령…조폭·마약사범 잡던 베테랑 1천명
전광훈 “대통령감” 소개에…윤상현 “너무 존귀하신 목사님” 90도 인사
“최전방 6명 제압하면 무너진다”…윤석열 체포 ‘장기전’ 시작
젊은 해병대원 죽음 모욕한 수사 외압 사태…정점엔 윤석열
헌재 사무처장 “12·3 계엄 포고령, 현행 헌법 부합하지 않아”
1월 10일 한겨레 그림판
25년 경호 공무원의 조언 “대통령 ‘개인’ 아닌 ‘공인’ 지키는 것”
경호처 균열 생겼나…다급한 윤석열 “체포 대신 구속영장” 왜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