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첩을 정리하다가 이 사진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20년쯤 된 졸업 사진입니다. 초등학교 시절 몇 장 안 되는 사진 중의 하나지요. 시골 학교라 졸업 앨범은 달랑 두 장이랍니다. ‘졸업 기념 제35회 ○○국민학교’라는 글자, 학교 전경, 직원 일동, 교가, 졸업생 사진이 전부고요. 학생 수는 두 반 합쳐 총 60명밖에 되지 않았답니다. 지금은 폐교가 되었답니다. 흑백 사진에 촌스러운 옷들, 70년대 시골에서 느낄 수 있는 그런 모습들이 향수를 불러일으킵니다. 오늘따라 친구들이 몹시 보고 싶습니다.
제 옆에서 사진을 함께 보던 여덟 살 난 아들은 처음에는 사진 속 엄마를 찾지 못했습니다. 12명의 여학생 중 일곱 번 만에 겨우 찾아내고선 “엄마 왜 이리 촌스러워요?”라고 묻더군요. 정말 제가 봐도 그렇습니다. 햇빛 때문에 찡그리고, 머리카락은 제멋대로, 옷은 언니에게서나 물려받은 듯한 추리닝. 지금과 너무나 다른 제 얼굴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았겠지요. 전 7남매 중 막내였습니다. 새 옷이 없었던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지요. 그 영향 때문인지 우리 아이도 옷 얻어 입는 데 아주 익숙합니다. 못 보던 옷을 입힐 때마다 “엄마, 이 옷은 누가 준 거야?”라고 익숙하게 물어봅니다. 남의 옷 입는 것을 당연한 일로 생각해줘 고마울 따름입니다.
대부분의 시골 학교가 그랬듯이 제가 다닌 학교도 참 가난했습니다. 전 높이뛰기 선수였는데 매트리스가 얇은 것밖에 없어서 가위뛰기를 했을 정도니까요. 긴 다리로 경상남도 대회까지는 나갈 수 있었지만 그 이상은 무리였지요. 두꺼운 매트리스만 있었다면 가위뛰기가 아닌 배면뛰기로 전국대회까지 나갈 수 있었을 텐데…. 아직도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광고
장윤영/ 서울시 노원구 중계동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어른 김장하’ 장학생 문형배, 자폐아 키우며 세상 이해한 김형두 [영상]
‘죽은 윤석열’ 누가 먼저 버릴까, 극우? 국힘? 검찰? [4월7일 뉴스뷰리핑]
‘이진숙 임명’ 신동호 EBS 사장 취임 제동…법원 “집행 정지”
윤석열, 파면 나흘째 관저에 버티기…“증거인멸 가능성 커져”
헌재 “한덕수, 마은혁 임명할 헌법상 의무 있다” 국회에 답변
경남 하동군 산불 확산…옥종면 주민 대피령
[단독] 헌재, 프린트도 안 썼다…선고요지 보안 지키려 ‘이메일 보고’
‘그 짝에 있는 건 다 달아요’ [그림판]
시민단체 “전광훈 구속해야”…경찰 “모든 가능성 열고 수사”
한덕수, 내란문건 봉인하나… ‘대통령기록물’ 되면 최대 30년 비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