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기 독자편집위원회 네 번째 모임의 리뷰 대상은 964~969호 다. 네 번의 표지가 국정원 정치 공작 관련 이슈다. 표제를 순서대로 열거하면 964호 ‘삭제공화국’, 967호 ‘님의 침묵’, 968호 ‘51.6%의 비 밀’, 969호 ‘고발장 재중’이다. 국정원 이야기부터 시작했다.
구 혜 림 ( 이 하 구 ) 읽으면서 좋은 게 표지이야기에서 다룬 걸 칼럼니스트가 다시 언급하는 식으로 문제의식이 연결되는 것인데, 국정원이 지면을 장악해버리니 애독자의 이런 내밀한 기쁨 이 사라졌다. 국정원 문제 상황이 심각하게 지속되고 있다.
K 군 드러난 것만으로도 충분히 심각한 사안인데, 마치 누군가에 의해 길게 늘어지고 있는 것 같다. 사건이 꼬리를 물고 번져나가는 동안 중요한 사안들을 놓치는 것은 아닌가 우려스럽다. 이슈에 질려 버리지 않도록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며 끈기 있게 다루어야 할 것 같 다. 이런 접근법이 좋았다. 예를 들어 969호의 ‘제대로 메스 들이댈 수 있을까’는 긴 호흡을 끊지 않고 잘 짚었다.
임 성 용 ( 이 하 임 ) 964호 표지이야기에서 보듯, 디가우싱이 업무 의 연장이 되고 있다. 조선시대 화성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이 될 수 있었던 요인은 그 자체로도 유려하지만 화성성역의궤의 정교하고 상 세한 기록에 있다고 들었다. 덕분에 복원 역시 가능하다고 하더라. 하물며 조선시대도 그런데 지금은 보전은커녕 못 지워서 안달이라 니 서글펐다.
정 진 희 ( 이 하 정 ) 국정원이 여러 가지를 잘못했지만 그중에서 증 거인멸을 한 게 근원적인 잘못이다. 그것을 콕 집어서 표지이야기로 했다는 게 좋았다.
박 가 영 ( 이 하 박 가 ) 페이스북의 외국 친구들이 한국에 무슨 일 있느냐고 물어서 짧은 영어로 알려주면 진짜 그런 일이 생겼다는 걸 믿기지 않아 하더라. 964호 특집 ‘국정원 대수술, 대통령이 결단하라’ 는 표로 내용을 잘 보여준다. 지난해 대선 전부터 오랫동안 지속된 상황이라 방대한 양이 감당이 안 됐는데, ‘이런 일이 있었지, 잊고 있 었지’ 하며 짚어보게 되더라.
박 선 희 ( 이 하 박 선 ) 다른 시사주간지에 비해 이슈가 빨랐다. 김 무성 이야기도 그 전주에 다 했는데, 이후에 다른 시사주간지 표지 로 다뤄지는 식이었다. 좀 앞서나가는 게 좋은 건지 나쁜 건지는 모 르겠다. 좋은 부분이 훨씬 많긴 한데, 덜 와닿게 된다. ‘이거 큰 문제 지’에서 끝나고 만다. ‘이걸 어떻게 해야지’까지는 안 된다. 969호에 송 호균 기자가 쓴 부글부글 ‘국정원개색희야’는 매일 페이스북에서 공 유되는 것을 보았다. 이 호의 고발장이라는 형식은 기획력도 좋았지 만 이런 식으로 회자되는 글이 필요하다. 969호 고등학생 시국선언 기사나 968호 한홍구·서해성 대담 기획은 뭘 해야 되나 생각하게 만들었다. 이런 기획이 반향이 큰 듯싶다.
임 967호 일선 경찰의 고발문은 조직 내부에서 느끼는 현 상황에 대한 감정을 거침없이, 또 술술 읽히게 잘 쓴 듯하다. 경찰 지휘부 때 문에 잃었던 신뢰에 대한 희망을 다시 갖게 되는 글이었다.
정 주변 사람들은 마치 아무 일도 없는 것처럼 지낸다. 당연히 모 르지 않을 텐데. ‘나는 고발한다’가 시민이 더 많이 참여한다든가 해 서 적극적인 방식으로 발전해나갔으면 한다.
사장이 자기 지갑에서 1만원을 꺼내주다니박 선 민주언론시민연합 신문 모니터링을 했는데, 기사 내용은 그 게 아닌데 제목은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게 하루에 서너 면씩 있다. 북 방한계선(NLL) 기사가 실린 날은 6면을 다 털어서 왜곡됐더라. 전문 도 실었는데 가 다르다. 전문마저 편집한 것이다. 968호 ‘언론사에 길이 남을 치고 빠지기’는 언론 문제 를 짚어줘서 고마웠다. 청와대 등 보수언론만 볼 것 같은 곳에 보내주기 캠페인을 하면 좋겠다. (일동 웃음)
구 966호 특집으로 최저임금을 다뤘는데 그게 와닿지 않는다고 해야 되나, 그래서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아직 사용자의 입장에서 교 육을 받았던 프레임에 갇혀 있나 싶더라. 생계비 문제로 다가가보면 어떨까.
박 선 최저임금은 적어도 1만~2만원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부도 하고 여행도 하고 연애도 하면서 여유로운 애들이 있는데 과 외를 한두 탕 뛰는 애들이다. 과외비가 최저 시간당 1만5천원 정도 된다.
구 966호 홍기빈의 W 경제에 ‘화폐경제의 핵심이 배제’라는 말이 있다. 화폐경제에서는 인간의 가치가 좋은 대학, 좋은 회사, 내가 받 는 돈에 있다. 최저임금이 자존심의 값이기도 하다. 최저임금 5210원 을 받으면 자존심도 5210원이다. TV 오락 프로그램 에 서 개그맨이 2시간 일하고 난 뒤, 사장이 자기 지갑에서 1만원을 꺼 내 봉투에 넣지도 않고 주더라. 놀이공원 인형탈을 쓰고 일한 것에 대한 가치가 사장 개인 지갑의 1만원이라니. 돈을 다루는 것에 정신 적인 평가가 들어가 있다.
박 가 그래서 안 올려주는 것일까. 노동가치가 이만큼의 대우를 받 는 사람이다라는 생각이 들게 하니까, 부리기 쉽도록 싸게 매겨서. 돈이 아까워서라기보다는.
구 ‘동일노동 동일임금’에 동의하냐고 물으면 대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다’고 많이 대답한다더라. 969호 ‘2013 만인보’ 이응이씨 인터뷰 는 새로운 프레임으로 노동을 바라보게 한다.
박 선 그 글에 “월급명세서를 보면 짜증이 났어요”라고 나온다. 이응이씨처럼 깎이는 건 아닌데, 돈을 벌기 위해 알바를 하면 시간을 판다는 느낌이 든다. 노동을 판다는 기분이 아니라. 이런 기분이 강 해진다. 최저임금은 당연히 올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왜 오르지 않는가에 대해 거꾸로 접근해보기도 한다.
K 군 올라야 함에도 오르지 않는 데는, 오 르지 않아도 된다는 소극적 지지가 적지 않 기 때문인 것 같다. 큰 프랜차이즈보다는 동 네 편의점이 힘든 것처럼, 영세업자일수록 힘들 것 같다. 최저임금을 올렸을 때 생기는 이런 반대급부를 어떤 식으로 보완할지 고 민도 필요하다.
우리가 몰랐던 동네, 숨은 보물 찾기구 965호는 핵패밀리 이야기인데 기시감 이 든다. 2011년 핵 관련 산업의 회전문 인사 가 다뤄졌는데 그때와 프레임도 비슷하다.
박 선 969호 하승수의 오, 녹색! ‘핵의 핵 대전’을 보고 깜짝 놀랐다. 도시에 살면서 전 기만 아껴쓰면 된다는 식으로 남들한테 위 험을 미루고 있었는데.
정 재작년 스마트그리드 하다가 상업성이 없어서 프로젝트가 없어졌다. 전기 위기는 심각하다지만 다른 방법으로 해결하지 않기 로 했나보다.
박 가 시도별 전력 수급을 보면 서울과 대 구는 다른 도시가 없으면 아예 살 수 없더라.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작은 도시와 고압 전 송선이 예정된 경남 밀양 같은 데가 없으면 도시가 안 돌아가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전 기 없이 하루를 보낸 968호 레드 기획을 재 밌게 읽었다.
정 968호 통계 뒤집기 ‘단전의 심리적 간극’을 보면 놀랍다. 놀이공 원처럼 전기를 많이 쓰는 곳이나 싸게 전기를 쓰는 대기업 공장부터 끊을 것 같은데 실제로는 주택·아파트가 먼저다.
박 가 ‘우리가 몰랐던 동네’ 시리즈 966호 마포와 970호 해방촌 편 을 보고 이사가고 싶었다. 주민들은 숨은 보물을 찾아서 터뜨린 거라 꺼리지 않을까 싶던데.
구 집이 부동산으로서 교환가치를 지닌 곳이 아니라 사는 곳, 관 계를 맺는 곳이라는 이야기를 보는 게 좋았다. 시리즈가 부정기적이 라는 게 더 떨린다. 언제 놓칠지 모르니.
사회·정리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헌재 “윤석열 통보서 받은 걸로 간주…27일 탄핵심판 개시”
[단독] 입법조사처 ‘한덕수, 총리 직무로 탄핵하면 151명이 정족수’
민주 장경태 “김건희, 계엄 당일 성형외과에 3시간 있었다”
윤석열 쪽 “박근혜도 탄핵 인용 뒤 수사 진행”…수사 불응 공식화
[단독] “말 잘 듣는 장교들, 호남 빼고”…‘노상원 사조직’ 9월부터 포섭했다
선관위 “‘이재명 안된다’ 펼침막 불허는 섣부른 결정, 조치 보류”
이승환 “‘정치 언행 않겠다’ 서약 거부, 구미 공연 취소 통보 진짜 이유”
이승환 구미 콘서트 취소 후폭풍…“김장호 시장은 사과하고 사퇴하라”
계엄의 밤, 사라진 이장우 대전시장의 11시간…“집사람과 밤새워”
[단독] 윤석열, 3월 말 “조만간 계엄”…국방장관·국정원장·경호처장에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