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독립영화들의 저력이 빛났던 2011년의 흐름은 2012년에도 이어질까? 가 1월12일 첫 시험대에 오른다. 2011년 부산국제영화제가 시작되기 전 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영화가 상영되자 존엄사와 가족의 문제를 다룬 무거운 주제의식 속에 숨어 있던 구원의 메시지가 고개를 들었다. 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영화의 오늘 비전 부문 시민평론가상, 한국영화감독조합상 여배우 부문상을, 독립영화제에서는 대상을 받았다.
“정말 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
영화 는 신아가·이상철 두 감독의 공동 연출작이다. “회생 가망성이 없다”는 판정을 받은 할머니의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하기까지 가족이 겪는 갈등을 다룬다. 신아가 감독의 개인적 체험에서 나왔다고 한다. 각본을 쓴 신아가 감독은 “이 영화는 정말 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였다. 다른 식으로 에둘러 말하려고 해봤는데 안 되더라. 그러나 이렇게 털어버리니까 이젠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라고 말했다.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신 감독의 1년 후배로 프로듀서와 보조카메라를 맡은 이상철 감독도 “신의 문제는 내게 화두였다. 이 영화는 종교라는 갈등 속에서 결국 인간을 들여다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광고
이단 종교에 빠져 호흡기를 떼는 것을 막고 나선 현순(황정민)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병원비 한 푼 보태지 않으면서 형제들을 심판하고 단죄하는 현순은 극단적 개신교인 이미지에 가까운데다 민폐형 가족으로 한국 관객이 싫어할 특징을 고루 갖췄다. 그런데 현순이 왜 자신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느냐고 신 앞에 몸부림칠 때 관객의 거부감이 누그러든다. 우리는 모두 끝 모를 불행 앞에서 결국 자신을 돌아보는 인간의 형상을 한 탓이다. 영화는 다른 모든 가족도 실은 현순과 다를 바 없다는 사실을 들추지만 고발하거나 비판하는 시선은 아니다. 오히려 영화는 모든 인간은 타인의 죽음 앞에서 서로를 애틋하게 여기고 서로를 구원하는 윤리적인 존재라는 종교적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관객의 마음을 위안한다.
| |
사랑이라는 주제의 소통 가능성
영화 는 1월12일부터 CGV 무비꼴라쥬 등 12개 관에서 상영을 시작한다. 5천만원도 안 되는 적은 제작비로 만든 이 초저예산 영화가 관객의 마음을 두드릴 수 있을까. 신아가 감독은 “삼대를 물려지는 밍크코트처럼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호소력을 지닐 것이라 기대한다”고 했다. 이상철 감독은 “영화제를 거쳐보니 비호감 주인공을 내세운 이 영화가 관객에게 가닿더라. 사랑이라는 주제로 소통을 이룰 가능성을 보며 격려받았다”고 했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선고 지연되면, 문형배 직권으로 선고일 지정해야”
국힘, 이재명·김어준 포함 72명 ‘내란음모’ 혐의로 고발한다
행님 내는 2번을 찍었는데, 후회한다
‘연쇄 탄핵’이 ‘내란’이면, ‘윤석열 내란’은 뭔가? [3월31일 뉴스뷰리핑]
정권 교체 57.1%·연장 37.8%…이재명 무죄 뒤 격차 커져 [리얼미터]
윤석열 탄핵심판 지연에 경찰 피로도 극심…1월 초과근무 113시간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