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정동영 복귀 프로그램?

등록 2004-12-31 00:00 수정 2020-05-03 04:23

천·신·정 중심으로 당의장 1년 단축 논의…재야파는 ‘편의적 발상’이라 비판

▣ 박창식 기자 cspcsp@hani.co.kr

“당의장 임기를 현행 2년에서 1년으로 줄이는 게 어떠냐?”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천정배 원내대표, 신기남 전 당의장을 중심으로 한(속칭 ‘천·신·정’ 그룹) 열린우리당의 당권파 인사들이 이런 이야기를 물밑에서 부쩍 자주 하고 있다. 국회의 ‘비상 상황’ 때문에 드러내놓고 주장하진 않지만, 내년 4월 전당대

회를 앞두고 포석에 들어간 느낌만은 분명하다.

2006년 4월 뽑힐 당의장이 대선 유리

당권파의 한 핵심 인사는 임기 단축 논거를 이렇게 설명했다. 첫째, 1년에 한 차례씩 ‘컨벤션 이펙트’(전당대회 효과)를 내어 당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끌어모으는 유력한 수단이 된다. 둘째, 2006년 6월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 강력한 지도부를 그때 맞춰 구성해야 한다. 셋째, 2년 임기제로 운영해봤더니 현실적으로 2년을 가지 못하더라. 즉, 정동영-신기남-이부영 등으로 몇달 만에 지도부 교체가 거듭되지 않았느냐는 주장이다.

이 방안대로라면 내년 4월 선출될 당의장은 2006년 4월까지 집무한다. 다음 당의장은 2006년 6월 지방선거를 지휘하고 2007년 4월에 임기를 마친다. 그러나 2007년 4월에는 차기 대선후보 당내 경선을 실시하게 된다. 즉, 2006년 4월에 뽑힐 당의장이 지방선거 지휘권과 함께 그 다음해 대선후보 당내 경선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십상이다.

이런 로드맵 때문에 당의장 임기 1년론은 정동영 장관의 당 복귀 프로그램과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즉, 2007년 봄까지 장관을 계속하기에는 대선후보 경선 대비 시간이 부족하다는 판단과, 적어도 당내 인사 가운데선 대중적 지지도가 선두인 지금의 구도에서 2006년 4월에 ‘승부’를 내자는 계산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런 논리에 따르면 내년 4월에 뽑힐 당의장은 ‘실세형’보다는 ‘관리형’ 리더가 된다. 당권파 인사들은 한명숙 상임중앙위원을 당의장감으로 종종 거론하는데, 그 이면에 이런 숨은 그림이 읽힌다.

임기 단축론자들은 ‘노심’도 간간이 거론한다. 당권파의 한 중진은 “노무현 대통령도 지난 3월 열린우리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의장 임기를 줄이고 전당대회를 1년에 한 차례씩 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사견을 피력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노 대통령이 어떤 맥락에서, 그리고 얼마나 무게를 실어 한 이야기인지는 분명치 않다.

그러나 당내 세력의 다른 한 축을 형성한 재야파의 생각은 다르다. 내년 당의장 출마를 시사 중인 장영달 의원은 “의장을 1년짜리로 하면 다음 전당대회를 겨냥해 연중 당권 경쟁이 벌어져 리더십의 안정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을 대리해 원내 구심점 역할을 하는 이인영 의원도 “김 장관의 복귀 시점도 결과적으로 비슷해질 것같긴 하다”며 “그러나 특정인을 염두에 두고 제도를 바꾸는 것은 편의적 발상”이라고 말했다.

임시국회 뒤 수면으로 떠오를 듯

당의장 지망생으로 분류되는 문희상, 김혁규 의원 등 그 밖의 진영에도 부정적 견해가 많다. 기왕 당의장직에 도전하려는 주자들로서는 ‘의장 격하’가 달가울 리 없는 셈이다.

지금은 4대 입법 등에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인식 때문에 이 쟁점은 아직 물밑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연말연초까지 해서 임시국회가 끝나면 당의장 임기 단축 문제는 곧 수면 위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 시점에서 당내 공론이 어느 쪽으로 모일지는 아직 예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문제가 매우 흥미로운 관찰 포인트가 될 것만은 분명하다. 당의장 임기 논쟁에 당내 차기 대선후보 경쟁의 전초전 성격이 담겼기 때문이다.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