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 원각사 무료급식소를 찾은 어르신들이 4월20일 탑골공원 담장을 따라 길게 늘어서 있다.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하고 체온 측정과 소독을 거친 뒤 음식을 받을 수 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00/600/imgdb/original/2020/0424/2615877091532433.jpg)
서울 종로 원각사 무료급식소를 찾은 어르신들이 4월20일 탑골공원 담장을 따라 길게 늘어서 있다.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하고 체온 측정과 소독을 거친 뒤 음식을 받을 수 있다.
감염병 확산을 막으려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서로를 염려하는 시민들의 생활양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생계를 위해 또는 업무 속성상 거리를 둘 수 없는 사람들도 있다.
코로나19 확산 뒤 많은 무료급식소가 문을 닫았다. 서울 종로 탑골공원 주변에서 노인들에게 무료급식을 해온 원각사 무료급식소도 2월 말 서울시로부터 급식 중단을 요청받았다. 그렇지만 이 급식소의 자광명 소장은 바이러스가 두려워 굶고 살 순 없다며 급식을 계속했다. 대신 마스크를 나눠주고 체온 측정과 소독을 한 뒤, 식판에 담아주던 음식을 주먹밥으로 바꿔 배식했다. 대부분 급식소가 문을 닫아 탑골공원 급식 행렬은 더 길어졌다.
출퇴근길 시민들은 서로 어깨를 부딪히며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판매직 노동자도 하루 내내 고객과 밀접하게 만난다. 감염병 역사를 보면, 사회경제적 약자라는 이유로 더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건 비단 ‘코로나 시대’만의 특징은 아니었다. 마스크·장갑보다 질기고 두터운 공감과 배려로 이웃과 나를 함께 지켜야 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출근시간 전철 안은 여전히 비좁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00/600/imgdb/original/2020/0424/641587709153338.jpg)
출근시간 전철 안은 여전히 비좁다.
![무료급식소에서 식사를 준비하는 자원봉사자들. 코로나19 확산 뒤 식판 배식 대신 주먹밥으로 바꿨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00/600/imgdb/original/2020/0424/5215877091533709.jpg)
무료급식소에서 식사를 준비하는 자원봉사자들. 코로나19 확산 뒤 식판 배식 대신 주먹밥으로 바꿨다.
![한 대형마트 판매직 노동자들이 고객이 구매한 상품을 계산하고 있다.](https://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00/600/imgdb/original/2020/0424/3315877091533032.jpg)
한 대형마트 판매직 노동자들이 고객이 구매한 상품을 계산하고 있다.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대한민국 1호 헌법연구관 “윤석열, 헌재 전원일치로 파면될 것”
광주서 ‘탄핵반대 집회’ 예고한 극우…시민들 “올 테면 오라”
체감 영하 18도에 ‘키세스 담요’ 외침…“윤석열을 파면하라” [포토]
반바퀴 남기고 중국 선수와 ‘쾅’…쇼트트랙 여자단체 메달 무산
법원 폭동날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단독] “내가 명태균 태워줘…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가져가”
여자 스피드스케이팅 500m도 금·은 쓸어담아…김민선·이나현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김용현 변호인 만난 여인형·이진우…민주 “내란 일당이 증인 회유”
대학생 시국선언 “작은 윤석열까지 몰아내자”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