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인 이용구(77)씨가 3월20일 경남 거창군 두부자공방을 취재차 찾은 기자에게 맨 처음 한 말이다. 찢어지게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이용구씨는 7살 되던 해 남의 집 머슴으로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 방짜 징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1천 도를 넘나드는 불을 다루고 하루 종일 방짜 징과 방짜 유기를 두들기며 얻은 것은 오직 세끼 밥이었다. 허기진 배를 채우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10년 만에 그곳에서 독립한 이용구씨는 징과 유기를 만드는 일을 천직으로 여기며 살아왔다. 그러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본격화하자 방짜 징과 방짜 유기의 일감이 현격히 줄어 2년여 허송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그 세월이 방짜 징과 방짜 유기를 절실하게 느끼게 했고, 결국 그는 다시 작업장에 나섰다. 70여 년을 한결같이 징을 만들어온 그는 1993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징장으로 지정됐다.
이용구씨는 이제 남은 생을 막내아들 이경동(47)씨에게 방짜 기술을 전수하는 일에 매달리고 있다. 평생 쇠를 두들겨 얻은 관절통증을 이겨내며 마지막 투혼을 아들과 함께하고 있다. 아들의 아들, 또 그 아들의 아들까지 고유의 방짜 기술이 이어지기를 기원하며.
거창=사진·글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윤석열 방탄’ 도시락 먹으며 관저 지킨 국힘 의원 44명
물리학자 김상욱의 ‘응원’ “한남동 키세스 시위대는 우주전사”
윤석열 지지율이 40%?…극우 결집 불쏘시개 된 ‘명태균식 여론조사’[영상]
영장 재청구 뒤 ‘2차 집행’ 시동…“경호처, 또 막으면 현장 체포”
골대 뒤로 숨은 심판 [그림판]
‘극우 준동’ 합세한 국힘…체포영장 막고, 헌재·경찰 전방위 압박
‘관저 김건희 개 산책 사진’ 어디서 찍었나…“남산에서 보인다길래”
‘거위털 80%’ 후아유 패딩, 실제는 ‘오리털 70%’…이랜드월드 공식 사과
“돈 들어갈 곳 아직 많은데”…940만 ‘마처세대’ 은퇴 쓰나미 이제부터
유튜브 애청자 윤씨의 ‘안간극장’ [그림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