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퍄티 도심 건물에 그려진 벽화(그라피티) 뒤로 사고가 난 제4호 원자로가 보인다. 4월 원자로는 납과 시멘트 등으로 봉해져 있다.
한 유치원 창가에 버려진 어린이용 방독면과 신발
프리퍄티.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에서 북쪽으로 100km 떨어진 도시.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는 옛 소련의 잘 만들어진 계획도시였다. 주로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종사자들이 살았던 이 도시는 160개 아파트 블록에 약 1만4천 가구 5만여 명이 거주했으며, 옛 소련 정부의 전폭적 지원으로 각종 교육·의료·보건·문화 시설 등을 갖춘, 가장 성공적인 계획도시로 성장해갔다.
1986년 4월26일.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가 폭발했다. 그 뒤로 36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4만5천 명의 시민이 대피했고, 프리퍄티는 유령도시가 됐다. 그리고 25년의 세월이 흘렀다. 당시 세워진 건축물과 도로 등은 세월의 흔적을 안은 채 그대로 남아 있지만, 여전히 이곳은 일반인의 접근이 통제된 유령의 도시다. 과학자들은 900년이나 지나야 안전해질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죽음의 도시가 돼버린 프리퍄티. 체르노빌 발전소와 이 도시가 건설될 당시 소련 정부가 내세운 슬로건은 “안전한 원자력”이었다.
광고
25년이 지난 유령의 도시와 대재앙이 발생하기 전 잘 꾸며진 도시의 모습을 비교해 보며 좁은 국토에서 원자력 신화에 매몰된 우리의 모습을 다시 생각해본다.
사진 로이터·글 윤운식 기자 yws@hani.co.kr
녹슨 채 방치된 놀이기구
사고가 일어나기 전인 1982년 잘 정돈된 도시 모습(위)과 죽음의 도시로 변한 2011년 현재의 스산한 모습(아래)
광고
사고가 일어나기 전인 1982년 잘 정돈된 도시 모습(위)과 죽음의 도시로 변한 2011년 현재의 스산한 모습(아래)
사고가 일어나기 전인 1982년 잘 정돈된 도시 모습(위)과 죽음의 도시로 변한 2011년 현재의 스산한 모습(아래)
사고가 일어나기 전인 1982년 잘 정돈된 도시 모습(위)과 죽음의 도시로 변한 2011년 현재의 스산한 모습(아래)
사고가 일어나기 전인 1982년 잘 정돈된 도시 모습(위)과 죽음의 도시로 변한 2011년 현재의 스산한 모습(아래)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장제원, 성폭행 뒤 돈봉투”…경찰, 피해상황 담긴 글 확보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속보] 최상목 “10조원 필수 추경 추진…여야 동의해 달라”
전한길, 불교신자 후보에 안수기도…“재보궐서 보수우파 꼭 승리”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