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삼척시 하장초교 갈전분교의 마지막 졸업사진. 2월15일 본교에서 졸업식을 마친 뒤 분교로 돌아와 찍었다. 왼쪽부터 졸업생 최민지양, 김은지양, 최태헌군. 4학년이 되는 남영희양과 황경순 교사가 함께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잘 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선생님 저희들은 물러갑니다/ 부지런히 더 배우고 얼른 자라서/ 새 나라의 새 일꾼이 되겠습니다.”( 2절)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 하장초등학교 갈전분교. 삼척 시내에서 자동차를 타고 댓재를 넘어 1시간여를 달려야 다다르는 곳. 중봉산 자락 끝에 자리잡은 학교 옆으로는 중봉계곡에서 시작한 물이 골지천을 이뤄 흐르고, 이 물은 정선까지 흘러 조양강과 합쳐진다. 이 학교 최태헌·민지 쌍둥이 남매와 김은지양은 2월15일 광동리 하장초교에서 열린 제72회 졸업식에서 본교생들과 함께 를 불렀다. 이들은 갈전분교의 마지막 졸업생이다. 갈전초교 64회 졸업생. 이들의 졸업으로 갈전분교는 본교에 통폐합된다. 1943년 5월1일 개교해 1990년대까지는 추동·중봉 등 2개 분교를 거느렸던 갈전초교는 1999년 9월1일 하장초교 갈전분교가 됐고, 그로부터 11년6개월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68년 동안 모두 1380명이 졸업했다.
“글쎄요….” 3명 모두 그러고는 끝. 졸업생들은 학교가 없어지는 것이 아직은 실감나지 않는 눈치다. “그걸 어떻게 말해요.” 학교가 없어지는 아쉬움과 새 학교에서 만나게 될 친구들에 대한 기대감 중 어느 것이 더 크냐는 물음에 오빠·언니들의 졸업으로 혼자 남게 된 남영희(8)양은 말끝을 늘이고 몸을 꼬며 부끄러워했다. 기대감이 더 크다는 뜻일 게다. “슬픈 일이죠.” 지난 1년 동안 이 4명을 가르친 황경순 교사는 착잡한 표정으로 짧게 답했다. 갈전초교 11회 졸업생 남진훈(65) 갈전초교 총동창회장은 “어린 학생들이 없어져 폐교되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고 섭섭하다”고 말했다.
광고
시간이 흘러도 공간은 남겠지만 이제 ‘학교’는 기억 속에만 남게 됐다. 100년 만에 내린 큰 눈이 녹고 운동장의 흙이 드러날 때쯤이면 태헌이와 민지, 은지는 하장중학교에서, 4학년이 되는 영희는 하장초교 본교에서 새 친구들과 새로운 추억을 만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새 나라의 새 일꾼’이 될 무렵에는 사라진 학교에 대한 추억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며/ 우리나라 짊어지고 나갈 우리들/ 냇물이 바다에서 서로 만나듯/ 우리들도 이다음에 다시 만나세.”(〃 3절)
삼척=사진·글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졸업식에서 갈전분교 졸업생들이 ‘갈전초교 총동창회’에서 주는 장학증서를 받고 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광고
은지(왼쪽)와 민지가 졸업 가운과 사각모가 어색한지 쑥스러워하고 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졸업식이 끝난 뒤 민지(가운데)와 은지가 축하를 받고 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갈전분교 교무실. 폐교 준비로 집기가 대부분 치워져 썰렁한 모습이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갈전분교 아이들과 선생님이 교실을 둘러보고 있다. 이 교실에서 4명의 아이들이 함께 공부했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마지막 학생상황표. 6학년 3명이 졸업하면서 3학년 영희 혼자 남게 돼 폐교가 결정됐다.한겨레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계엄·포고령·국회장악…하나라도 중대 위헌이면 윤석열 파면
아이유, 극우 ‘좌파 아이유’ 조롱에 “감당해야 할 부분”
‘MBC 적대’ 이진숙,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
“윤석열, 국민 무서운줄 몰라” 시민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초등학교서 마시멜로 태우며 화산 실험…14명 병원행
“저희 어무니 가게, 도와주세요” 1억 클릭…거기가 어딥니까
한덕수·최상목·이복현 ‘눈치게임’ 시작 [그림판]
윤석열 운명, ‘헌법 수호 의지·국민 신임’ 두 잣대에 달렸다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부총리가 경거망동 안 된다며 만류”
국힘 박충권 “마은혁은 공산주의자” 고함에 몸싸움 직전까지 간 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