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극작가가 쓴 일본군 위안부의 삶 국내 공연…“할머니들이 고맙다고 하더군요”
▣사진·글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의 실상이 잘 알려지도록 한 것은 뉴스나 통계자료가 아니라 안네 프랑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연극이었습니다. 이번 공연이 일본군 위안부의 실체를 더 알리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으면 합니다.”
광고
미국 극작가 라본느 뮬러가 위안부 문제를 다룬 희곡 (4월30일∼5월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의 국내 공연에 맞춰 한국을 찾았다. 역사적 아픔을 담아낸 희곡을 주로 써왔던 뮬러는 1990년대 초 일본에 체류하던 중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접하고 여기에 시적 상상력을 더해 을 완성했다. ‘특급호텔’이라는 제목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막사의 실제 이름에서 따왔다.
위안부 여성 네 명이 자신의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일본군에 유린당하고 성 노예가 될 수밖에 없었던 네 여인의 삶을 호소력 있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고, 뮬러는 미국에서도 기회가 닿는 대로 강연 등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전해왔다.

광고
하지만 그의 바람대로 연극을 통해 위안부의 실상을 알리는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에서 두 차례 워크숍을 열고 관객의 충격과 호응을 이끌어냈으나, 민감한 사안인 만큼 제작자들이 꺼리는 바람에 본격적으로 공연되지 못한 것이다. 서울연극제의 공식 참가작으로 올려지는 이번 공연이 의 세계 초연인 셈이다. 뮬러는 “배우들의 멋진 연기와 훌륭한 연출에 무척 기뻤다”고 한국 공연을 미리 본 소감을 전했다.
뮬러는 이번 방한 기간에 ‘일본군 성노예 문제의 연극화’와 관련한 세미나와 각종 강연에도 참석한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도 동참했고, 지난 4월20일에는 경기 광주시 ‘나눔의 집’을 방문해 희곡의 주인공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교감을 나누기도 했다. “할머니들이 연극 소개를 듣고 연극 전단지를 꼭 끌어안으며 이 문제를 다뤄줘서 고맙다고 하더군요. 늘 생각해왔던 것을 직접 현실로 봐서 무척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극단 초인은 공연에 위안부 할머니들을 초청하는 한편, 로열석 수익의 50%를 나눔의 집에 기부할 예정이다.
광고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헌재 사무처장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 절차 작동돼야”
오세훈 부인 강의실 들어갔다가 기소…‘더탐사’ 전 대표 무죄 확정
‘김건희 명품백 사건’ 처리 뒤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영주권 있어도 공항서 체포·추방…공포에 질린 미국 교민들
4·18 이후 대비하는 여야…국힘 “문형배·이미선 후임 임명”, 민주 “임기 연장”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김새론 유가족 요청으로 유튜버 이진호 접근금지 ‘잠정조치’
대구 팔공산·비슬산·앞산 등 ‘전면 출입금지’…시 “산불 예방”
서울청 경비부장 “김봉식, ‘조 청장 지시’ 포고령 따라야 한다 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