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시민방송 RTV 상임부이사장
정권의 방송 장악 기도가 한국방송이나 문화방송, YTN에만 뻗친 것은 아니다. 대표적 시청자 제작 채널인 시민방송 RTV는 정권이 갖고 싶은 방송이 아니라 버리고 싶은 방송이다. RTV에 근무하는 12명의 직원 가운데 급여를 받는 직원이 올해부터 단 한 명도 없는 까닭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RTV에 주던 방송발전기금 15억원을 2009년에는 주지 않기로 했다. 또 케이블·위성방송이 전체 12개 가운데 6개를 의무 전송해야 하는 공익채널에서도 빼버렸다. RTV는 위성 ‘스카이라이프’와는 별도 계약을 맺었으나 올해 중순 이뤄질 케이블 채널 조정 때는 빠지게 된다. 500만 가구 시청자를 빼앗기는 동시에 연간 시청료 수입 5억원도 날아가게 됐다. 결국 1년 예산 25억원 가운데 5억원만 남았다.
방통위는 왜 그랬을까? 정권이 촛불의 배후로 지목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운영위원과 프로그램 제작 등에 참여하는 RTV가 눈엣가시였기 때문이란 게 RTV 사람들의 생각이다.
광고
RTV는 이주노동자 단체를 비롯해 장애인 단체, 독립영화 단체, 일반 시청자 등 ‘작은 목소리’들이 직접 만드는 프로그램을 90% 방영하고 나머지 10%는 다문화 사회 등을 주제로 한 공익 목적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틀고 있다.
전체 21명 직원 가운데 김영철 상임부이사를 비롯한 12명은 올해부터 급여를 전혀 받지 않고 자원봉사 개념으로 RTV를 꾸려가고 있다. 직원들은 방송사 운영, 편성, 제작지원 등의 일을 다 해야 한다. 이런 선택의 배경을 놓고 김 부이사는 “시청자 참여 채널에 대한 방통위의 몰지각이 소멸될 때까지 유일한 시청자 제작 전문 채널의 생존을 계속 끌고 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에도 사회적 약자, 소수자들의 목소리가 전파를 탈 수 있도록 평상시와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전한길, 불교신자 후보에 안수기도…“재보궐서 보수우파 꼭 승리”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공군 부사관 인력난에…필기시험 ‘합격선’ 없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