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혁명은 진보일까 퇴보일까? 구원의 손길일까 멸망의 전조일까?
21세기를 확연히 다른 세기로 만들어준 컴퓨터·텔레비전·인터넷·스마트폰 융합의 디지털 문명 도래는 인간을 이런 양극단의 고민 속으로 몰아넣고 분열시켰다.
<가장 멍청한 세대> 인물과사상사 펴냄. 마크 바우어라인 지음. 김선아 옮김. 1만4500원.
2005년
에모리대학 영문과 교수로 미국 국립예술진흥회에서 문화와 삶에 대한 연구를 이끌면서 특히 위기에 처한 독서문화를 연구한 마크 바우어라인은 저서 (The Dumbest Generation)에서 디지털 혁명을 이처럼 희망적·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소개하면서 그것을 정면으로 뒤엎는다.
그는 주장한다. 디지털 세대의 형편없는 지식·독서 수준, 지나친 영상문화 탐닉, 역사상 가장 풍성해진 학습 환경을 배반하는 최악의 학습 수준, 전통 가치 거부 등이 미국이 쌓아올린 물적·정신적 자산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토대부터 망치고 있다고. 미국 청소년을 멍청이로 만든 가장 큰 원인이 디지털 혁명이라는 그에게 “디지털 혁명은 진화가 아니라 탈선”이었다.
바우어라인의 책이 나온 게 2008년이니, 미국 사회는 디지털 혁명에 대한 이런 양극단의 평가로 이미 오래전부터 골머리를 앓아온 셈이다.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공개한 게 2007년이니까, 바우어라인의 책은 스마트폰 초기 역사가 만들어낸 변화까지 담고 있다.
이후 다시 10년 가까이 세월이 흐른 지금 바우어라인의 문제의식과 문제제기에 대해 미국 사회, 나아가 세계는 어떤 답을 내놨을까? 아직도 정답은 없고 문제는 진행 중이다. 그건 곧 바우어라인의 문제제기 또한 여전히 유효하다는 얘기가 된다.
바우어라인은 디지털 지식이 온전히 디지털 세대 자신의 것이 되지 못하고 그저 재빠르게 훑어보며 스쳐지나가는 의미 없는 지식 쪼가리일 뿐이며, 또래들의 반응에 신경 쓰면서 비슷한 디지털 공간을 배회하는 그들의 세계는 동일 차원을 맴돌 뿐이라고 얘기한다. 디지털에 탐닉하면 새로운 지적 확장에 필수적인 어휘력이 늘지 않으며, 미국 젊은이들의 지적 능력 퇴락, 빈곤한 독서·작문 능력도 그 때문이라고 그는 본다. 충분한 지적 정보의 확보와 판단 능력 없이 제대로 된 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해결책은 아날로그적 독서
그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아날로그적 독서다. 차분하고 끈기 있게 종이 책을 읽으며 깊이 사색하고 토론하는 것이다. 디지털에 탐닉하면서 세계에 대한 총체적 판단 없이 돈·성공·출세를 향해 무한 경쟁을 벌이며 스펙 쌓기에 미친 듯 골몰하고 있다는 미국 청소년들. 우리 현실과도 별로 다르지 않은 그런 풍토를 바로잡는 처방전으로 아날로그적 독서를 제시한 바우어라인의 주장에 여러분은 동의하는가?
한승동 문화부 책지성팀 선임기자 sdhan@hani.co.kr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당 초선 72명 내란 음모죄 고발”
[영상] ‘도대체 언제까지’…광장 시민, 탄핵 지연 헌재 향한 ‘불안한 분노’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냉장고-벽 사이에 82세 어르신 주검…“얼마나 뜨거우셨으면”
[단독] ‘내란’ 김용현, 군인연금 월 540만원 받고 있다
최상목, 2억 상당 ‘미 국채’ 매수…야당 “환율방어 사령관이 제정신이냐”
한국도 못 만든 첫 조기경보기 공개한 북한…제 구실은 할까
주불 잡은 경북 북부, 곳곳서 ‘불씨 박멸’…“헬기 30대 투입”
4월 탄핵 선고 3가지 시나리오…윤석열 파면·복귀, 아니면 헌재 불능
조국혁신당 “마은혁 월요일까지 임명안하면 한덕수 탄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