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시대의 신곡 (I Got A Boy)에서 멤버 윤아는 이렇게 랩을 한다. “나, 깜짝! 멘붕이야!” 노래가 공개되던 날 사람들의 반응도 그랬던 것 같다. 변검(變瞼)이라도 하듯 별의별 스타일이 계속 나타났다 사라지는 곡 구성에 많은 이들이 당황했다. “이런 노래로 장사를 하겠다는 패기를 높이 사고 싶다”는 댓글을 어디서 봤더라? 팬들은 가파르게 오르는 유튜브 조회 수를 체크하고 해외 매체의 리뷰를 번역하며 비판에 맞대응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예전에 비해 냉랭해 보인다. 일급 아이돌 그룹의 신곡답게 공개 즉시 음원 차트 정상에 오르긴 했지만 이내 백지영의 와 MBC 예능 프로 에서 발표된 이벤트성 싱글 에 자리를 내줬다.
온갖 장르와 스타일의 ‘컷앤드페이스트’
발표 전의 기대를 밑도는 반응은 현재 아이돌과 케이팝(K-Pop)이 처한 상황을 은연중에 반영하는 것인지 모른다. 우선 아이돌 자체의 하락세다. 2012년에만 스무 팀이 넘는 신인이 나왔지만 그중 ‘대박’을 터뜨린 그룹은 없었다. 기존 인기 아이돌들도 원더걸스·빅뱅·소녀시대 같은 ‘국민적 그룹’이 되겠다는 목표보다는 대규모(인 동시에 컬트적인) 팬덤의 지지를 기반으로 음원시장에서 ‘치고 빠지는’ 전략 쪽으로 기운 듯 보인다. 혹은 그럴 수밖에 없게 되었거나. 또한 싸이의 이례적인 성공은 역설적으로 매체와 산업이 그렇게 강조하던 케이팝 열풍을 대중이 더 냉정하게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그렇다고 해서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 케이팝의 기존 플랫폼이 싸이의 성공에 크게 공헌했다는 점을 간과하면 부당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생각하고 싶은 것은 복잡해진 케이팝이다. 최근 몇 년간 G드래곤, 빅뱅, 2NE1, 샤이니, 동방신기 등의 신곡에서는 겹겹이 쌓아올린 일렉트로닉 사운드와 비트를 기반으로 수시로 바뀌는 구성과 무드 속에서 온갖 장르와 스타일을 ‘컷앤드페이스트’ 하는 경향이 종종 드러난다. 샤이니의 (Sherlock)처럼 아예 두 곡을 뒤섞는 경우도 있다. 대형 기획사니까 가능한 시도 아니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시장을 선도하는 것 역시 그들이다. 그에 자극받아서인지 모르겠지만 ‘밴드와 댄스’를 모두 만족시키겠다는 ‘트랜스포머 아이돌’에다 가상 악기 프로그램인 보컬로이드가 ‘멤버’로 참여하는 그룹까지 등장하는 마당이다. 케이팝의 복잡화는 그룹 멤버들의 파트 배분이라는 현실적 문제 때문일 수도, 더 많은 걸 더 다르게 보여줘야 한다는 야심의 산물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케이팝의 대표적 ‘명곡’들이 갖고 있던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훅(Hook)과 신선한 감각이 그런 야심에 희생됐다는 뜻일 수도 있다.
다시 를 들어보자. 이게 그렇게 괴상한 곡일까? 언뜻 듣기에는 방바닥에 되는 대로 벗어던진 옷가지들처럼 산만해 보이지만 몇 번 돌려 들으면 예상외로 잘 정리된 곡이다. 클라이맥스에 이르는 길도 뿅뿅거리며 하강하는 신시사이저 라인을 중심으로 확실하게 닦여 있고, 스타일이 바뀔 때마다 매력적인 훅이 튀어나온다. 물론 SM엔터테인먼트 음악만의 시그니처인 ‘절정에서 상쾌하게 뻗는 고음’도 빠지지 않는다. (The Boys)에 이은 힙합 스타일의 수용은 미국 시장을 향한 그룹의 의지와, ‘대화’를 주고받는 부분이나 몇몇 지점의 편곡은 멤버들의 뮤지컬 출연 경력과 무리 없이 연결된다. 그리고 이 모든 요소는 “발리우드 영화가 생각난다”는 소리를 듣는 격렬하고 호화로운 안무와 번쩍거리는 비디오(일부 멜로디도 그렇다)에 잘 맞아떨어진다. 그럼에도 이 곡에서 소녀시대의 예전 히트 싱글들이 줬던 활력과 도전적인 신선함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보다는 야심을 감당 못해 뒤뚱거리는 쪽에 더 가깝다. 멤버들은 ‘일반적인 훅송과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생각해보면 그룹의 최고 히트곡 중 하나인 (Gee)가 처음 나왔을 때도 비슷한 얘길 했다. 하지만 그때는 대중의 반응이 지금 같지 않았다. 그저 ‘새로운 도전’이 문제가 아닌 것이다.
“발리우드 영화가 생각난다”아마 는 오로지 케이팝이라는 특정한 스타일에서만 나올 수 있는 곡일 것이다. 긍정적 의미로도, 부정적 의미로도 그렇다. 좀 호들갑을 떨자면, 1990년대 후반 아이돌 음악이 팬덤의 환호와 ‘진정한 음악 팬’의 조소 속에 첫 발걸음을 내디뎠던 과거부터 케이팝이라는 이름을 얻으며 ‘국가적 브랜드’가 된 현재에 이르는 지난한 과정이 압축된 곡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미래는 어떨까? 물론 ‘아이돌 이후’를 논하는 건 지금으로서는 성급하다. 2012년 히트작 중 하나인 버스커버스커와 나얼의 음악도 언젠가 도래할 트렌드의 ‘베타버전’처럼 보인다. 여전히 시장은 아이돌·케이팝의 것이고, 소녀시대는 그 꼭대기에 있다. 그럼에도 가 영광의 시절을 살짝 지난 시점에서 터진, 지나치게 크고 화려한 나머지 어안이 벙벙해지는 폭죽처럼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다.
최민우 음악평론가·소설가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영상] 김문수, “내란공범” 외친 시민 빤히 보면서 “경찰 불러”
한덕수, 오늘 양곡법 등 6개 법안 ‘거부권’ 무게
‘내란당’ 오명 반성은 어디로…‘이재명 혐오 확산’ 사활 건 국힘
경호처가 윤석열 수사 거듭 막는데…한덕수 ‘강 건너 불구경’
‘기억의 습작’ 그룹 전람회 출신 서동욱 별세…향년 50
‘수취 거부’ 버티는 윤석열…탄핵심판 결론은 언제 나올까
‘권’모술‘수’ 세트 [그림판]
1호 헌법연구관 “윤석열 만장일치 탄핵…박근혜보다 사유 중대”
[단독] 동덕여대에 대자보 쓴 아빠 심정 “학교, 학생들 인격 무시”
‘야당 비판’ 유인촌, 결국 사과…“계엄은 잘못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