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열렬한 평화주의자의 웃음을 통한 사회진단

아리스토파네스의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2>
등록 2011-07-10 19:32 수정 2020-05-03 04:26
아리스토파네스의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2>

아리스토파네스의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1·2>

그리스 3대 비극작가(아이스킬로스·소포클레스·에우리피데스)의 비극 전집을 옮긴 바 있는 그리스·라틴 고전 번역가 천병희 단국대 명예교수가 이번에는 그리스 희극의 대표 작가 아리스토파네스(기원전 445?~380?)의 희극 전집을 번역해 두 권으로 펴냈다. 아리스토파네스는 모두 40여 편의 작품을 쓴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중 11편이 온전히 전한다. 이 번역 전집에 11편이 모두 담겼다. 기원전 5세기에 만들어진 그리스 ‘고희극’ 수백 편 가운데 현전하는 것은 아리스토파네스의 이 작품들뿐이다.

보수적으로 신랄하게

아리스토파네스는 페리클레스가 아테네를 이끌던 민주주의 전성기에 태어나 펠로폰네소스 전쟁기(기원전 431~404)에 주로 활동했다. 그는 공동체의 전통적 가치관을 존중하고 유지하는 것을 사명으로 알았던 듯하다. 그는 자신의 작품을 보수적 관점을 드러내는 장으로 삼아, 새로운 흐름이나 위험한 경향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특히 당대의 유명 정치인이나 지식인을 표적 삼아 실명으로 혹은 익명으로 가혹하게 풍자했다.

특히 소크라테스를 일종의 ‘지식 사기꾼’으로 그린 이라는 작품은 직접적인 인신공격이다. 이 작품은 소크라테스를 그른 것도 옳은 것으로 뒤집을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악질 소피스트로 묘사한다. 아리스토파네스의 보수적인 눈에는 상대주의적 요설로 가치 기준을 어지럽히는 소피스트나, 낡은 신념을 고수하는 사람들을 모두 가차 없이 비판해 아테네의 ‘등에’(Gadfly·잔소리꾼) 노릇을 하던 소크라테스나 똑같이 공동체의 안정을 흔드는 부류로 보였던 것이다. 놈팡이 아들 때문에 막대한 빚을 진 의 주인공 남자는 아들을 소크라테스에게 보내 교묘한 논리와 말솜씨를 배워오게 한다. 그리하여 채권자들을 따돌리고 돈을 갚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된 것까지는 좋았는데, 이번에는 아들이 아버지를 두들겨 패고 나서 소크라테스에게서 배운 논리로 자신이 정당함을 입증하기에 이른다.

광고

은 애초 기원전 423년에 써서 그해 경연에 냈던 작품인데, 거기서 꼴찌(3등)를 하는 바람에 몇 년 뒤 다시 고쳐 썼다. 지금 전해지는 것은 이 개작 판본이다. 희극 장르의 중간에는 ‘파라바시스’(앞으로 나섬)라는 장치가 있는데, 배우들이 모두 퇴장한 상태에서 코로스(합창대)와 코로스장이 앞으로 나서서 관객에게 직접 말을 건다. “나는 사실 여러분이야말로 가장 올바른 관객이며, 여기 이 희극이야말로 내 희극들 중 가장 지혜로운 작품이라 믿었소. 그래서 내게 가장 많은 노고를 안겨주었던 이 희극을 맨 먼저 감상하도록 내놨으나, 부당하게도 하찮은 자들에게 져 물러났소.” 파라바시스에서는 통상 작품의 플롯과 무관한 주제로 관객과 이야기하는데, 이 작품에서 아리스토파네스는 관객에게 ‘왜 내 작품을 안 뽑아주었느냐’고 서운한 마음을 털어놓는 것이다.

(기원전 411)는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중 내용이 가장 많이 알려진 작품일 것이다. ‘섹스파업’이라는 센세이셔널한 가상의 사건을 그렸기 때문이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계속돼 도시가 피폐해지자 아테네의 여자들이 적국 스파르타의 여자들과 공모해, 남자들이 전쟁을 끝내는 그날까지 잠자리를 거부하기로 결의한다. 아리스토파네스의 작품은 해학·조소·야유·풍자의 성찬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작품에서는 특히 외설스런 표현이 거의 포르노그래피에 육박한다. 파업 지도자 리시스트라테가 여자들을 앞에 놓고 “앞으로 우리는 남근을 삼가야 해요”라고 말하자, 여자들이 일제히 대든다. “난 못해요. 전쟁이야 계속되든 말든.”

은밀한 일상의 희극적 묘사

이들이 주고받는 대화는 2400년 전 아테네라는 고대도시의 일상생활, 아니 은밀한 사생활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생생히 그려보게 해준다. “아모르고스산 속옷을 입되 아랫도리에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삼각주의 털을 말끔히 뽑은 채 남편들 앞을 지나가면 남편들은 발기되어 하고 싶을 거예요. 그때 딱 잘라 거절하는 거예요. 그러면 남편들은 서둘러 휴전하게 될 거예요.” 바로 이 생동감 넘치는 묘사의 활력이 아리스토파네스를 최고의 희극작가로 만든 힘일 것이다.

고명섭 기자 한겨레 에디터 부문 michael@hani.co.kr "_top">michael@hani.co.kr

광고

* 아리스토파네스 지음, 천병희 옮김, 숲 펴냄, 각 권 2만5천·2만8천원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광고

4월3일부터 한겨레 로그인만 지원됩니다 기존에 작성하신 소셜 댓글 삭제 및 계정 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라이브리로 연락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