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절반의 역사, 여성의 역사를 원시시대부터 추적한다. 여성 억압의 기원과 여성의 일상적 삶과 역사를 분석했다. 고대사회의 모권제 논의, 중세의 마녀사냥, 근대 세계대전 속에서의 여성, 현대 자본주의 시대의 여성과 지구화 시대의 여성의 모습 등 잘 아는 듯했지만 사실은 몰랐던 여성사의 숨은 이야기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광고
베스트셀러에 반영된 한국의 지난 30년을 돌이켜 읽는다. 1980년대는 김지하의 등 민주화 열망을 품은 책이 많이 출간됐다. 1990년대 초반에는 경제성장과 함께 성공신화를 꿈꾸는 독자들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등이, 후반에는 국제통화기금(IMF) 사태로 지친 사람들을 위로하는 등이 서점가를 채웠다. 2000년대는 인터넷의 발달로 개인이 부상했다. 등 자기계발서가 서점을 점령한 점이 흥미롭다.
광고
17명의 지은이는 도래하는 식량위기 시대에 생존 가능한 대안은 채식이라고 말한다. 이들은 완전 채식을 권하거나 축산영농업의 궤멸을 주장하지는 않는다. 다만 고기의 감칠맛에 취해 육식문화가 사료 생산으로 지구온난화를 심화시킨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최악의 작업 환경에 놓인 육류가공 노동자와, 성장촉진제를 맞고 생명권을 침해당하는 동물들의 고통을 외면해선 안 된다고 말한다.
세계는 여전히 평화롭지 못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전쟁만 꼽아보더라도 한국·베트남·아랍-이스라엘·걸프·아프가니스탄·이라크전쟁을 비롯해 최근 이집트와 리비아 내전까지, 세계 곳곳에서는 여전히 총을 겨누고 피를 흘리는 전장이 현재한다. 21세기, 인류는 안정적으로 풍요를 누릴 수 있음에도 왜 전쟁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걸까? 1990년대 앨빈 토플러가 쓴 책이 재번역된 판본으로 출간됐다. 20여 년이 흐른 지금도 경고의 목소리는 오늘 하는 이야기처럼 처절하다.
광고
한겨레21 인기기사
광고
한겨레 인기기사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전한길, 불교신자 후보에 안수기도…“재보궐서 보수우파 꼭 승리”
산 정상에 기름을 통째로…경찰, 화성 태행산 용의자 추적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윤 탄핵’ 촉구 성명 추동한 세 시인…“작가 대신 문장의 힘 봐달라”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공군 부사관 인력난에…필기시험 ‘합격선’ 없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