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국가가 미쳤어

9·11 이후 미국인의 공권력 불신을 보여주는 <크레이지>
등록 2010-04-16 12:58 수정 2020-05-03 04:26
〈크레이지〉는 조지 로메로의 〈분노의 대혈투〉를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이 영화의 진정한 공포는 미친 사람들보다 더 강한 폭력성을 지닌 국가다.

〈크레이지〉는 조지 로메로의 〈분노의 대혈투〉를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이 영화의 진정한 공포는 미친 사람들보다 더 강한 폭력성을 지닌 국가다.

미국 영화 는 좀비영화의 대부 조지 로메로의 (1973) 리메이크작이다. 바이러스로 마을 사람들이 미쳐서 서로 죽인다는 설정만 보면 ‘좀비가 나오지 않는 좀비영화’쯤 되겠다. 하지만 의 진정한 공포는 ‘미친 사람들’이나 ‘괴바이러스’에 있지 않다. 영화의 진정한 공포는 미친 사람들보다 훨씬 강한 폭력성을 지닌 ‘국가’이다. 영화의 가치는 기존 미국 영화들과 전혀 다르게 국가를 사유하며, 국가라는 폭력기구의 작동 원리를 근본적으로 회의하는 데 있다.

생존자 총살·마을 소각…

첫 시퀀스, 소도시 학교 운동장에서 야구 경기를 하던 중 장총을 든 주민이 걸어 들어온다. 보안관은 술에 취했다는 판단하에 제지하려 하지만, 위험을 감지해 사살한다. 이 장면은 영화 전체의 화두를 품은 발문에 해당된다. 누구도 보안관을 탓하지 않는다. 정당한 법집행이었으며, 기민한 대처가 없었다면 많은 이들이 위험해졌을 것이라 생각한다. 오직 희생자의 처자식만이 과잉 공권력 행사에 항의한다. 아내는 “주정뱅이 한 명 쏘았을 뿐이라고 발표할 것이냐”고 따진다. 그러나 시신에선 술도 마약도 검출되지 않는다. 두 번째 시퀸스, 아내는 어쩐지 이상한 남편의 상태를 눈치채고 불안해하지만, 남편은 괜찮다고만 한다. 한밤중 아버지가 칼을 들고 있다며 무서워하는 아들과 아내가 옷장에 숨자, 그는 옷장을 걸어잠그고 불을 지른다. 그러곤 평온하게 휘파람을 부는 가장. 이 장면 역시 영화 전체의 요약본이다.

상수원에 생화학무기를 실은 비행기가 추락한 사실을 안 보안관이 임의로 수도를 끊고 임신한 아내를 대피시키려는 순간, 완전무장한 군인들이 들이닥친다. 군인들은 아무것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주민들을 버스에 실어 임시 막사에 부려놓고 체온계 하나로 감염자를 분류한다. 강압적 조처에 항의하는 주민은 총살한다. 동요하는 주민들로 갑자기 통제선이 뚫리자 군은 철수하지만, 이후 생존자를 수색해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총살하고 화염방사기로 소각한다. 전화·인터넷 등 통신망을 끊고, 고속도로를 봉쇄하고, 헬기로 차량을 폭파하는 무시무시한 위력의 군은 주민들에겐 대면조차 되지 않는 ‘괴물’이다. 주인공들은 아무것도 모르고 작전에 투입되었다는 방독면 속 신병의 얼굴이나, “그럼 전세계로 감염이 퍼져나가야 되겠냐?”고 묻는 기술자의 말을 들을 수 있을 뿐이다. 위성사진으로 내려다보며 폭탄 투하로 인구 1200명의 마을을 불태우는 군은 끝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주인공들이 구사일생으로 인접 도시로 탈출하지만, 위성사진은 인구 12만 명의 인접 지역에 대한 2차 폭격을 예견한다.

헐리우드 재난영화가 달라졌다

기술자의 논리는 첫 시퀀스 보안관의 행위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던 모두의 논리와 같다. 위험인자의 조속한 제거이자, 대(大)를 위한 소(小)의 희생이다. 보안관은 첫 시퀀스에선 ‘대’를 대의했지만, 이후 ‘소’가 되어 아무리 능력을 발휘해도 ‘대’의 폭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소’는 술에 취했든 안 취했든, 감염이 됐든 안 됐든 배제되고 박멸되어야 할 존재다. 그런데 그 ‘소’가 점점 확대된다. 두 번째 시퀀스처럼, 국가는 다시금 두려움에 떠는 국민을 가둬놓고 불바다를 만들고 나서, 유유히 휘파람을 불 것이다. 뉴스에는 연쇄 폭발사고가 일어났다는 보도가 나갈 뿐이다.

수많은 할리우드 재난영화에서 국가는 재난의 원인을 인지하고, 주민을 대피시키고, 재난에 맞서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9·11 사태 이후 국가는 그다지 미덥지 않게 그려진다. (2004)에서 국가는 대피령만 내리고 대책을 마련치 못하며, (2005)에서 일반 국민에게 국가의 존재는 미미하다. (2008)에선 너무 늦게 도착했고, (2008)에선 재난이 커지자 감당하지 못하고 사라진다. 그러나 여전히 군은 구원자로 보이고, 무능하긴 해도 국가의 통치성 자체가 의심받진 않았다.

반면 의 국가는 대단히 유능하다. 다만 국민을 적으로 삼는 게 문제다. 실로 놀라운 인식 변화다. 물론 국가에 의한 바이러스 누출과 주민 학살은 원작의 설정이다. 그러나 베트남전과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인한 ‘국가에 대한 불신’을 담았다고 평가되는 원작에서도 과학자들은 치료제를 찾으려 노력하고, 폭격이라는 ‘최종 해결책’은 고려되기만 할 뿐 실행되진 않는다. 그렇다면 첨단 위성기술로 야구장 상황을 감지한 지 이틀 만에 주민을 몰살하고, 폭격 대상 지역을 더 확대하는 ‘아쌀한’ 국가에 대한 인식은 어디서 온 것일까?

제국의 몰락, 미국인의 공포

9·11 이후 애국법에 따라 감시와 언론통제가 강화된 미국. 두 군데 동시 전쟁과 부자들에게 감세하는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재정 파탄에 이른 미국. 예산과 병력 차출로 재난관리에 구멍이 뚫려 인재에 가까운 카트리나 참사를 초래한 미국. 차도 없는 흑인들에게 대피령만 내린 뒤 치안 부재의 악선전을 해대며 늑장 대처한 미국. 걸어서 백인 거주지까지 간 수백 명의 주민들 머리 위로 경찰부대가 총을 쏜 미국. 빈민 거주지를 신도시로 개발하려는 시정부에 의해 흑인들의 80%가 집에 못 돌아간 미국. 금융위기로 집을 빼앗긴 ‘서브프라임’ 국민은 버려두고 천문학적 세금으로 부자 금융가를 구제한 미국. 이러한 국가를 목도한 뒤 인식의 전환이 생긴 게 아닐까?

영화 의 ‘삽질’ 정부가 외환위기 이후 한국인들의 국가에 대한 불신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듯이, 자국민을 상대로 내전을 벌이는 의 국가는 ‘제국의 몰락’을 경험하고 있는 2010년 미국인들의 국가에 대한 불신과 공포를 여실히 드러낸다. 미국이 변하고 있다. 4월8일 개봉.

황진미 영화평론가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