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 color="darkblue"> ‘강남 호스트’ 영화 의 윤종빈 감독, 남성성 얻기 위해 비남성적이 되는 아이러니한 먹이사슬을 그리다 </font>
▣ 글 김경욱 기자dash@hani.co.kr
▣ 사진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그들의 밤은 우리의 낮보다 화려하다. 온 세상이 환한 낮, 그 가운데 작은 빛들은 보잘것없다. 그러나 사방이 어둠에 휩싸이면, 눈앞의 라이터 불빛조차도 화려해진다. 3년 전 군대 안 권력관계를 다룬 영화 로 충무로의 눈길을 받았던 윤종빈 감독의 신작 는 이런 아이러니를 이야기하는 영화다.
영화는 다큐멘터리처럼 서울에서 가장 화려한 밤을 자랑한다는 청담동의 유흥업소, 이른바 ‘호스트바’에서 여성 고객을 상대하는 호스트들의 생활상을 날것 그대로 보여준다. 몸값 높이려고 헬스클럽에서 몸 가꾸고, 각종 명품옷과 액세서리를 걸치고 베엠베(BMW) 등 외제차를 몰며 강남 거리를 질주하고, VIP 고객에게 안부전화 돌리고, 바의 복도와 객실에서 여성 고객의 선택을 기다리는 모습 등등. 영화 속 호스트들의 밤 풍경은 윤계상·하정우라는 두 주연배우만큼 흥미롭다.
윤 감독은 한국 영화에서 눈여겨보지 않던 호스트들의 삶과 그들의 일그러진 욕망을 짚어냈다. 그를 만나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font color="#216B9C">왜 청담동 호스트들인가?</font>
집을 사도, 애들 학교를 보내도 ‘강남’ ‘강남’ 하는 세상이다. 비강남 사람에게 강남은 스트레스다. 상대적 박탈감 때문이다. 강남은 한국 사회의 욕망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라고 생각했다. 그 욕망을 그려보고 싶던 차에 오래전부터 친구한테 들어온 호스트 이야기가 생각났다.
<font color="#216B9C">그들의 어떤 점이 영화적으로 매력이 있겠다고 생각했나?</font>
남성성을 얻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돈과 권력. 권력은 잡기 힘드니까 많은 남자들이 돈으로 남성성을 얻으려 한다. 호스트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들이 남성성을 얻어가는 과정은 상당히 비남성적이다. 그러면서도 돈 있는 남성이 되려고 호스트의 삶을 접지 않는다. 고객 중 80~90%는 밤일하는 여성 호스티스들이다. 돈 많은 남자들에게 접대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오는 것이다. 호스트들은 고객으로 온 호스티스들을 접대하면서 그들이 남자들로부터 벌어온 돈을 다시 벌어간다. 뭔가 아이러니하고 먹이 사슬처럼 엮여 있는 구조가 있다. 한국 사회의 단면을 보여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font color="#216B9C">는 잘 아는 군대 이야기라 시나리오 쓰는 데 어려움은 없었던 듯하다. 이번 작품은?</font>
사전 취재를 많이 해야 했다. 호스트바에서 일하는 친구 소개로 바에서 한 달 동안 술과 안주 나르는 웨이터로 아르바이트를 했다.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font color="#216B9C">호스트들이 빚에 쪼들리는 모습으로 나오는데….</font>
실제 그렇다. 호스트들은 하루 100만~200만원을 벌더라. 그 돈으로 외제차·명품옷을 사고 도박도 한다. 쉽게 버니 쉽게 쓴다. 자신들이 하루에 번 돈보다 많이 쓴다. 왜? 다음날 또 벌면 되니까. 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니 빚이 쌓이는 건 당연하다. 100명 중 돈을 모으는 사람은 1명도 채 안 된다. 얘들은 다른 일 못한다. 한 달에 1천만원, 2천만원씩 쓰던 애들이 월급 100만원짜리 일을 할 수 있겠나.
<font color="#216B9C">주인공 승우(윤계상)가 술 마시고 토하는 장면이 너무 사실적이다. 다른 영화와 달리, 4~5번 정도 토하는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주더라. 2번 넘어가니까 여성 관객들은 ‘악~’ 하고 소리를 지르던데. 진짜 토한 건가?</font>
모두 CG(컴퓨터그래픽)로 처리했다. 소리가 실감나 진짜라고 생각하더라. 창우(마동석)가 재현(하정우)의 손을 스패너로 내리치는 장면도 스패너는 고무로 만들었다. ‘딸랑’ 소리를 넣어 진짜 쇠처럼 착각하게끔 했다.
<font color="#216B9C">승우는 일할 땐 자신감 넘치고 매력적인데, 애인 앞에만 서면 ‘찌질’하게 변한다.</font>
유아적이면서도 마초적인 캐릭터다. 현실에서는 남성성을 획득할 수 없으니 한 여자를 통해 억눌린 남성성을 회복하려 한다. 지원(윤진서)은 일어도 잘하고, 업소의 다른 여자들과는 분명히 차이나는 면이 있다. 그 점에 승우는 호감을 느낀 것이다. 그러나 술집 여자이니 많은 남자를 상대했을 것이란 불안감은 있었을 거다. 그런 불안감들이 “혼자 사는 집에 칫솔이 왜 이렇게 많냐”, “그 남자랑 잤냐” 등의 대사로 순간순간 튀어나온다. 남자들은 사실 굉장히 유아적이고 유치한 면이 있다. 이를 보여주고 싶었다.
<font color="#216B9C">사회적 메시지를 던져야겠다는 생각을 했나?</font>
내 영화는 ‘내가 왜 이렇게 힘들지?’에서 출발하는 것 같다. 내가 힘들면 보통 사람들도 힘들다고 느낀다. 를 찍을 수 있었던 건 제대 뒤의 삶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고민해보니 군대 때문이더라. 그래서 찍은 거고, 이번 작품도 마찬가지다. ‘왜 힘들지’란 생각을 해보니까 돈 때문이더라. 학교 다닐 때는 선생 때문에 힘들었고, 군대 가니까 또 힘들고, 나오면 돈 때문에 힘들고. 대부분 그렇지 않나.
<font color="#216B9C">촬영은 세트에서 했나?</font>
룸살롱에서 촬영했다. 호스트바와 구조가 똑같고, 접대자와 손님의 성별만 다를 뿐이다. 룸살롱은 직장인들 쉬는 주말엔 영업을 안 한다. 그때 빌려서 찍었다. 안마시술소 장면은 세트에서 찍었다. 섭외가 안 되더라. 이번에 알게 된 건데, 거기는 연중 무휴였다.
<font color="#216B9C">제작비는?</font>
27억원 들었다. 전작이 2천만원이었던 데 비하면 어마어마하게 늘었다. 투자가 많이 되면 편한 점이 있다. 찍고 싶은 것을 찍을 수 있으니까. 그렇지만 창작 면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좀 줄어든다. 투자자가 있으니 독립영화 찍듯 자유로울 수는 없는 거다.
<font color="#216B9C">영화 보면서 결말이 상당히 궁금했다. 그런데 돌연한 살인으로 끝내더라.</font>
아니다. 칼에 두 번 찔렸지만 죽기야 했겠는가. 돈에 대한 욕망과 콤플렉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물을 찌르는 감정까지 간 거다. 내가 결론 내리기보다는 왜 이 인물이 이렇게 됐을까 하는 생각의 여지를 두고 싶었다. 또 이들의 삶은 이렇게 계속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했다.
<font color="#216B9C">일부에서 엉뚱하게도 ‘동성애 영화’라고 하던데.</font>
그런 반응들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다. 언론이 좋아하는 게 그런 쪽일 것이고, 기사를 많이 읽게 해야 하니까 야한 제목을 쓸 거고. 슬프지만 어쩔 수 없다.
<font color="#216B9C">올해 30살이다. 나이 어린 감독으로서 어려운 점은 없나?</font>
오히려 편하다. 배우들이 나를 힘들어하지 않으니까 이야기도 편하게 할 수 있는 것 같다. 어려서 사람들이 내 말을 안 듣는다고 생각하면 한도 끝도 없다.
<font color="#216B9C">차기작 구상은?</font>
부산을 배경으로 두 작품을 준비 중이다. 하나는 노태우 정권 때 검찰, 경찰, 조폭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고, 다른 하나는 조폭들이 모여사는 빈민촌에서 소년이 자라면서 역시 조폭이 되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다. 둘 다 할 거다. 시기는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한겨레21 인기기사
한겨레 인기기사
“자존심 무너져, 나라 망해가”…야당 ‘김건희 특검’ 집회도 [영상]
이시영, 아들 업고 해발 4천미터 히말라야 등반
‘윤 정권 퇴진 집회’ 경찰·시민 충돌…“연행자 석방하라” [영상]
숭례문 일대 메운 시민들 “윤석열 퇴진하라” [포토]
“잘못 딱 집으시면 사과 드린다”…윤, 운명은 어디로 [논썰]
“비혼·비연애·비섹스·비출산”…한국 ‘4비 운동’ 배우는 반트럼프 여성들
지구 어디에나 있지만 발견 어려워…신종 4종 한국서 확인
“대통령이 김건희인지 명태균인지 묻는다”…세종대로 메운 시민들
명태균 변호인, 반말로 “조용히 해”…학생들 항의에 거친 반응
금성호, 고등어 너무 많이 잡았나…해경 “평소보다 3∼5배 추정”